View : 713 Download: 0

최승희 판소리와 지성자 가야금병창 비교 연구

Title
최승희 판소리와 지성자 가야금병창 비교 연구
Other Titles
The Comparative Studies between‘Pansori’of Choi Seunghui and‘Gayageum Byeongchang’of Ji Seongja : Focused on Chunhyangga
Authors
전현정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영근
Abstract
I made a comparative study between ‘Pansori’ of Choi Seunghui and ‘Gayageum Byeongchang’ of Ji Seongja about four parts ‘Cheonjadwitpuri’, ‘Haesosik’, ‘Lee Mongryong, go to visit Chunhyang's house’, ‘ChunhyangBangchire’ among ‘Chunhyangga’ at this thesis. Through above,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understanding characteristic of ‘Gayageum Byeongchang’ which derived and changed from ‘Pansori’, and I have done a comparative analysis about lyrics, melody and ‘Buchimsae’ by transcribed record of Choi Seunghui and Ji Seongja as method of analysis. I classified melody ‘same form’ when Ji Seongja’s changing frequency of sound and beat is less than 2 times in one rhythm, ‘complex form’ when beat divided more than 2 times by various sounds emerged at same beat, ‘simple form’ when beat getting longer if appearance frequency of sound is getting shorter less than 2 times at same beat based on Choi Seunghui’s melody. I compared ‘Buchimsae’ style to set notes to jangdan(korean traditional rhythm) dividing large rhythms of the large tunes and diagonal attachment, and classified large rhythms of the large tunes type based on management of beat in lyrics and breathe technique. The result is as like below. At first, lyrics of Ji Seongja and Choi Seunghui are almost same when we examine them lyrics. Lyrics of ‘Pansori’ of Choi Seunghui and ‘Gayageum Byeongchang’ of Ji Seongja shown minute different at number of rhythms but they has same contents and meaning. These proves Ji Seongja succeed ‘Pansori’ of her teacher Choi Seunghui without any changes. The second, I compared mode, range and emerged sound at melody. When we examine range of them music, Choi Seunghui use treble 3 tones higher than Ji Seongja at ‘Cheonjadwitpuri’, Choi Seunghui and Ji Seongja use same treble and bass at ‘Haesosik’ part, Ji Seongja use 2 tones lower bass and Choi Seunghui use 2 tones higher treble at ‘Lee Mongryong, go to visit Chunhyang's house’ part. When we examine emerged sound at each part, common emerged sound of Choi Seunghui and Ji Seongja is ‘d-e-g-a-b-c'-d'-e'-g'’ sound at ‘Cheonjadwitpuri’ part and ‘b’ sound emerged one more time at Choi Seunghui’s melody. At ‘Haesosik’ part, common emerged sound of Choi Seunghui and Ji Seongja is ‘g-a-b’ sound from first rhythm to third rhythm and it changed from 4thrhythm to 33th rhythm so common emerged sound is ‘A-d-e-f-g-a-b-c'-d'-e'-f'-g'-a'-b'’ and ‘B’ sound is emerged one more time at Ji Seongja’s melody. At ‘Lee Mongryong, go to visit Chunhyang's house’ part, common emerged sound of Choi Seunghui and Ji Seongja is ‘A-B-d-e-g-a-b-c'-d' -e'-g'-a'’ and emerged ‘c’ sound at Choi Seunghui’s melody and also emerged ‘G’, ‘b'’ sound more at Ji Seongja’s melody. At ‘ChunhyangBangc hire’ part, common emerged sound of Choi Seunghui and Ji Seongja is ‘A-d-e-g-a-b-c'-d'-e'’ and emerged ‘g’ sound one more time at Choi Seunghui’s melody. In general, number of emerged sound of Choi Seunghui has one more sound at ‘Cheonjadwitpuri’ and ‘ChunhyangBangchire’ part and number of emerged sound of Ji Seongja has one more sound at ‘Haesosik’ and ‘Lee Mongryong, go to visit Chunhyang's house’ part. In terms of mode, ‘Cheonjadwitpuri’, ‘Lee Mongryong, go to visit Chunhyang's house’ and ‘ChunhyangBangchire’ part are ‘d-e-g-a-b’ mode which ‘G’ key note pyung jo(aka. Sol mode), ‘Haesosik’ part is ‘d-g-b-a’ mode which ‘G’ key note kyemyun jo(aka. La mode), and rest three parts are pyung jo (aka. Sol mode). Each part use one type rhythm that using jungjungmori rhythm at ‘Cheonjadwitpuri’ part, using jungmori rhythm at ‘Haesosik’ and ‘ChunhyangBangchire’ part, using Jinyangjo rhythm at ‘Lee Mongryong, go to visit Chunhyang's house’ part. It is classified as same form, complex form and simple form that emerged melody type of each part from these rhythms. The result emerged same form has highest frequency at the rate of 77.5% and next is simple form by 17.25%. Although complex form didn’t show up at ‘Cheonjadwitpuri’ and ‘ChunhyangBangchire’ part, it emerged 5.25% totally at ‘Haesosik’ and ‘Lee Mongryong, go to visit Chunhyang's house’ part. Therefore, we can verify simple form is used more than complex form. This shows that sound and beat of Ji Seongja‘s ‘Gayageum Byeongchang’ is simplified and also singing simple more than Choi Seunghui. The third, when we examine ‘Buchimsae’, the type of ‘Buchimsae’ at jungjungmori rhythm i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riple time, binary time, three-second time mixed type, and two-third time mixed type. Buchimsae type of jungmori rhythm is same with Buchimsae type of jungjungmori rhythm and Buchimsae type of Jinyangjo rhythm is classified binary time, four-second time mixed type, and two-fourth time mixed type. Choi Seunghui and Ji Seongja use large rhythms of the large tunes three times type 100% at ‘Cheonjadwitpuri’ of jungjungmori rhythm part and didn’t use diagonal attachment. Choi Seunghui used large rhythms of the large tunes binary time at rate of 61% and Ji Seongja used 70% at ‘Haesosik’ of jungmori rhythm part. Choi Seunghui used diagonal attachment at rate of 39% more than 9% by Ji Seongja used 30%. Therefore, at ‘Haesosik’ part, Choi Seunghui used diagonal attachment more than Ji Seongja, and then again Ji Seongja used large rhythms of the large tunes more than Choi Seunghui. At ‘Lee Mongryong, go to visit Chunhyang's house’ part, Choi Seunghui and Ji Seongja used same 69% four-second time mixed type large rhythms of the large tunes and also 31% diagonal attachment. Therefore, at ‘Lee Mongryong, go to visit Chunhyang's house’ part, Choi Seunghui and Ji Seongja used same rate of large rhythms of the large tunes and diagonal attachment. At ‘ChunhyangBangchire’ part of jungmori rhythm, Choi Seunghui and Ji Seongja used same 40% of binary time large rhythms of the large tunes and 60% of diagonal attachment. Therefore, Choi Seunghui and Ji Seongja used same rate of large rhythms of the large tunes and diagonal attachment and ‘ChunhyangBangchire’ part is used diagonal attachment more than large rhythms of the large tunes when I compared other three part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Ji Seongja use almost same lyrics of pansori which studied under Choi Seunghui. Nevertheless, it has difference in melody and Buchimsae that treble of Ji Seongja emerged lower than Choi Seunghui’s. At emerged sound and mode, it has characteristic that Ji Seongja sing lower from half tone to one tone than Choi Seunghui and also made song simplified or same at melody and Buchimsae mostly. In conclusion, I argue that transmission of song is tend to simplified and be monotonous in the process of ‘Pansori’ transforming to ‘Gayageum Byeongchang’.;본 연구에서는 춘향가 중 ‘천자뒤풀이’, ‘해소식’, ‘이몽룡, 춘향집을 찾어간다’, ‘춘향방치레’의 네 대목에 대해서 최승희 판소리와 지성자 가야금병창을 비교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판소리로부터 파생되어 변형되어 불리어지는 가야금병창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주목적이며, 연구 방법으로 최승희와 지성자의 음반을 채보하여 사설과 선율 그리고 붙임새를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선율비교 에서는 최승희의 선율 기준으로 한 장단 내에서 지성자의 음과 박의 변화의 빈도수가 2회 미만이면 동일형이고, 음의 출현빈도수에 따라 박의 분할이 2회 이상 늘어나 음이 다양해지면 복잡형이며, 음의 출현빈도수가 2회 이상 적어져서 박의 길이가 길어지면 단순형으로 분류하였다. 붙임새는 대마디 대장단과 엇붙임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으며, 대마디 대장단은 대목별 사설내 박의 운용과 호흡법을 기준으로 유형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설을 살펴보면 최승희의 사설과 지성자의 사설은 대부분 동일하다. 최승희 판소리와 지성자 가야금병창의 사설은 장단 수에 있어서는 미세하게 차이를 보였지만 그 내용과 뜻은 일치하며 이것은 지성자가 스승 최승희의 소리를 변화 없이 그대로 이어 받았음을 나타낸다. 둘째, 선율에서는 음역과 출현음 및 선법을 비교하였다. 먼저 음역을 살펴보면 ‘천자뒤풀이’ 대목과 ‘춘향방치레’ 대목에서 보면 최승희가 지성자보다 최고 음을 3도 높게 사용하며, ‘해소식’ 대목은 최승희와 지성자가 최저음 최고음 동일하며, ‘이몽룡, 춘향집을 찾어간다’ 대목은 지성자가 최저음 2도 낮고 최고음을 2도 높게 사용하고 있다. 출현음을 각 대목별로 살펴보면 ‘천자뒤풀이’ 대목에서 최승희와 지성자 공통 출현음은 ‘d-e-g-a-b-(c')-d'-e'-g'’ 이고, 최승희의 선율에서 ‘b'’ 음이 한번 더출현한다. ‘해소식’ 대목에서 최승희와 지성자 공통 출현음은 1번째 장단부터 3번째 장단까지 ‘g-a-(b)’음이며, 4번째 장단부터 33번째 장단까지는 변조되어 공통 출현음은 ‘A-d-e-f-g-a-b-c'-d'-e'-f'-g'-a'-b'’ 이고, 지성자의 선율에서 ‘B’ 음이 한번 더 출현한다. ‘이몽룡 춘향집을 찾어간다’ 대목에서 최승희와 지성자 공통 출현음은 ‘A-B-d-e-g-a-b-c'-d'-e'-g'-a'’ 이고, 최승희의 선율에서 ‘c’ 음이 출현하며, 지성자의 선율에서 ‘G’, ‘b'’ 두음 더 출현한다. ‘춘향방치레’ 대목에서 최승희와 지성자 공통 출현음은 ‘A-d-e-g-a-b-c'-d'-e'’ 이고, 최승희의 선율에서 ‘g'’ 음이 한번 더 출현한다. 전체적으로 출현음의 수에 있어서 ‘천자뒤풀이’ 대목과 ‘춘향방치레’ 대목에서는 최승희의 출현음 회수가 한음 더 많고, ‘해소식’ 대목과 ‘이몽룡, 춘향집을 찾아간다’ 대목에서는 지성자의 출현음 회수가 한음 더 많이 나타난다. 선법은 ‘천자뒤풀이’, ‘이몽룡, 춘향집을 찾어간다’, ‘춘향방치레’ 대목에서 ‘d-e-g-a-b’ 으로 G본청 평조이며, ‘해소식’ 대목은 ‘d-g-b-a’ 으로 G본청 계면조이다. 따라서 네 대목 중에서 ‘해소식’ 대목은 계면조이며, 나머지 세 대목은 평조이다. 각 대목에서는 1개 종류의 장단이 사용되는데, ‘천자뒤풀이’ 대목에서는 중중모리 장단, ‘해소식’ 대목과 ‘춘향방치레’ 대목에서는 중모리장단, ‘이몽룡, 춘향집을찾어간다’ 대목에서는 진양장단이 사용된다. 이러한 장단이 출현하는 대목별 선율의 유형은 동일형, 복잡형, 단순형으로 분류된다. 결과는 동일형이 77.5%로 가장 빈도수가 높게 출현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단순형이 17.25%로 출현하였다. 복잡형은 ‘천자뒤풀이’ 대목과 ‘춘향방치레’ 대목에서 나타나지 않았으며, ‘해소식’ 대목과 ‘이몽룡, 춘향집을 찾어간다’ 대목에서만 출현하며 전체에서 5.25% 나타난다. 그러므로 복잡형 보다는 단순형이 더 많이 사용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것은 최승희보다 지성자의 소리가 음과 박자가 단순해져서 더 간략하게 부르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붙임새를 살펴보면 중중모리 장단의 붙임새 유형은 3박형, 2박형, 3·2박 혼합형, 2·3박 혼합형이다. 중모리 장단의 붙임새 유형은 중중모리 장단 붙임새 유형과 동일하며, 진양 장단 붙임새 유형은 2박형, 4·2박 혼합형, 2·4박 혼합형으로 각각 분류된다. 중중모리 장단 ‘천자뒤풀이’ 대목에서는 최승희와 지성자가 대마디 대장단 3박형을 동일하게 100% 사용하였으며, 엇붙임은 사용하지 않았다. 중모리장단 ‘해소식’ 대목에서는 최승희가 대마디 대장단 2박형을 61%로 사용하고 지성자는 70%로 사용하였다. 엇붙임은 최승희가 39%이고 지성자는 30%로 최승희가 9% 더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해소식’ 대목에서 최승희는 지성자에 비해 엇붙임을 더 사용하는 반면에 지성자는 최승희보다 대마디 대장단을 더 사용하였다. 진양 장단 ‘이몽룡, 춘향집을 찾어간다’ 대목에서는 최승희와 지성자가 대마디 대장단의 4·2박 혼합형을 동일하게 69%로 사용하였으며 엇붙임 또한 최승희와 지성자가 동일하게 31%로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이몽룡, 춘향집을 찾어간다’ 대목에서 최승희와 지성자는 대마디 대장단과 엇붙임을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중모리장단 ‘춘향방치레’ 대목에서 최승희와 지성자는 대마디 대장단 2박형을 동일하게 40%로 사용하였으며, 엇붙임은 최승희와 지성자가 동일하게 60%로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춘향방치레’ 대목에서 최승희와 지성자는 대마디 대장단과 엇붙임을 동일하게 사용하였으며, 다른 세 대목과 비교할 때 ‘춘향방치레’ 대목은 대마디 대장단보다 엇붙임이 더 많이 사용되는 특징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지성자는 최승희로부터 사사받은 판소리의 사설을 거의 동일하게 옮기고 있다. 그러나 선율과 붙임새에서는 차이가 나타나는데 음역에서는 지성자의 최고음이 최승희보다 낮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출현음 및 선법에서는 지성자가 최승희보다 반음에서 한음을 낮게 부르는 특징이 나타나며, 선율 과 붙임새에서는 주로 동일하거나 단순해지는 성향이 나타난다. 이것은 판소리가 가야금병창으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소리의 전승이 간략하고 단조롭게 되는 경향이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