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5 Download: 0

전자조달법제의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Title
전자조달법제의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Electronic Public Procurement Law system
Authors
김진경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대인
Abstract
Today, most of the public procurement procedures in Korea are carried out electronically by KOEPS(Korea On-line E-Procurement System). For the public and government organizations to conclude contracts for purchase of goods, services, and construction of facilities, KOEPS is an on-line e-procurement system to make all the phases of the procedures electronically from notification, tender, contract, to payment. KOEPS, the administration service of Korea’s E-Government, shows an innovative case of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transparency of procurement by simplifying many past documents and complicated procedures. In addition, Korea is recognized for realizing one of the world’s advanced e-governments. Many countries are benchmarking KOEPS as the world’s best e-governmental practice model, as well as to import the system. Public Procurement accounts for a great part of GDP in each nation and emphasizes transparency and efficiency concerning to its market opening. The strategy of e-procurement is receiving attention for improving transparency and efficiency simultaneously. Therefore, developing KOEPS and supporting the legal system is important not only for exporting KOEPS and opening the procurement market, but also for enhan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Today’s administration features of public interest rather than government power and puts stress on public service. This feature is well presented in an e-Government, which sets the final goal as serving its people as a customer, providing a customer-oriented service, and promoting national benefit. In other words, an e-Government provides administrative service, while aiming for an e-Democracy, e-Constitutionalism, and e-Welfare. Through interactive and multidirectional communicative administration, democracy can be improved by disclosing information and providing a forum of communication. Furthermore, it is essential to increase the chance of administrative remedy and legal process through the effort of protecting information and preventing corruption, eliminating information gap, and using On-line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s this applies the same for e-Procurement, the specialty of the public law is emphasized as well. Despite the current revitalization of KOEPS, technical supplement is needed for advanced searching system that matches to the current cutting-edge IT environment. Additional effort is needed to stimulate the use of various methods of e-procurement, such as Electronic Auctions in EU. Particularly, many problems were pointed out in terms of legal system. The laws and rules that set the basis for operating the e-procurement were unsystematic and old. Accordingly, the Korean Government proposed a legislation of 「the Law to use and facilitate e-Procurement」 as a solution. Thus, legal foundation was established to build and utilize e-procurement through this legislation. Problems did not occur for laws were legislated, relating to the tim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e-documents, period of concluding a contract, commission for using e-procurement system. Measures were made to protect the information of e-procurement users and prevent illegal bid, export KOEPS and establish foundation of human resources, policies, R&D for long-term e-procurement development, and utilize KOEPS for public. However, the government must take more responsibilities as an administrator of the e-procurement system and a provider of the administrative service. The supplement for rules will be necessary to enhance accessibility for SMEs as in EU, improve public remedy regarding e-procurement contract process, and reform the legal foundation for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In addition, the judicial branch shall regard the public supply contract as a contract of jurisdiction, overcome the conventional wisdom and the precedent, and put effort to make more opportunities for public administrative remedy and legal control regarding e-procurement contract. It will be necessary to realize a one-stop total e-Procurement service system by making cyber adjustments of e-procurement and introducing the Online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오늘날 우리나라의 공공조달은 대부분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나라장터)를 통해 전자적으로 처리되고 있다.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은 공공기관 등이 물품 및 용역의 구매, 시설공사 등의 계약을 체결함에 있어서, 업체등록, 입찰 공고 및 입찰, 개찰, 낙찰, 계약, 대금지불까지의 모든 과정을 온라인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이며, 과거 많은 서류와 복잡한 절차를 필요로 하던 조달 과정을 간소화함으로써 조달행정의 효율성 및 투명성을 제고한 전자정부 혁신 사례이자 대표적인 전자정부 행정서비스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전자정부는 세계적으로도 선진적인 시스템을 구현하고 있다고 인정받고 있으며, 나라장터 또한 세계적으로 전자정부의 best practice model로서 많은 나라들의 벤치마킹 대상이자 수출 품목이 되고 있다. 공공조달은 각국의 GDP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또한 공공조달시장의 개방과 관련하여 투명성과 효율성이 강조되는 분야이며, 전자조달시스템은 투명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제고하는 전략적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나라장터의 고도화 및 법제적 뒷받침은 나라장터 수출 및 공공조달시장 개방이라는 현실에 있어서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도 중요한 일이다. 오늘날의 행정은 권력성 보다는 공익성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국민에 대한 서비스로서의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국민을 정부의 고객으로 상정하고 고객중심의 서비스 제공 및 국민 편익 도모를 최우선적인 목표로 하는 전자정부에서 더욱 두드러지는 특징이다. 즉 전자정부는 전자민주주의, 전자법치주의, 전자복리주의의 헌법적 지향점을 가지고 행정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하는바, 정보의 공개 및 소통의 장을 마련함으로써, 국민과의 쌍방향·다방향의 의사소통에 의한 행정을 통해 민주성을 제고할 수 있다. 한편 정보보호 및 부패방지 등의 노력과 정보격차의 제거, ODR 등 국민의 권리구제 및 행정통제의 길을 넓히는 것도 긴요하다고 하겠다. 이는 전자정부의 전자행정서비스로서의 전자조달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점으로서 전자조달법제의 공법적 특수성이 강조되는 점이다. 한편 나라장터는 시스템의 이용 활성화에도 불구하고, 최신 IT 환경에 걸맞는 고도화된 검색 시스템 등 기술적 부분에서의 보완이 필요하고, EU에서 경험에서 전자역경매 등의 다양한 전자조달수단의 활성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법제에 있어서는 전자조달 운용의 근거가 되는 법률의 산재 및 법규 사항이 고시에 규정되어 있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정부는 전자조달에 특유한 단일 법률인 「전자조달의 이용 및 촉진에 관한 법률」제정안을 마련하여 입법적인 해결을 꾀하고 있다. 즉 제정안을 통해 전자조달 구축 및 이용의 법률적 근거를 마련하고, 전자문서의 송・수신 시기, 계약의 성립시기, 전자조달시스템 이용수수료 등 주요 법규 사항을 법률로 규정하여 문제의 소지를 없앴으며, 전자조달 이용자의 정보보호 및 부정 전자입찰의 방지수단 마련, 나라장터 수출 및 장기적인 전자조달 발전을 위한 인력과 정책 및 연구개발의 근거 마련, 민간의 나라장터의 활용 근거의 마련 등의 개선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전자조달시스템 운영자이자 행정서비스 제공자로서의 행정주체의 책임성 강화 및 EU와 같이 중소기업 등의 접근성 강화를 위한 규정, 전자조달계약과정과 관련한 국민의 권리 구제, 전자조달에 특유한 분쟁해결제도를 위한 법적 근거는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사법부도 공공조달계약을 사법상의 계약으로 보고 있는 종래 통설과 판례를 극복하고 전자조달계약과 관련한 공법적 권리구제와 행정통제의 길을 넓힐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전자조달에 특유한 사이버 조정 등 ODR의 도입을 통하여 전자정부의 원스톱 토털 행정서비스 구현에 다가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