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경희-
dc.contributor.author이자희-
dc.creator이자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7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5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6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522-
dc.description.abstract초반 대안학교는 성적위주의 교육과 획일화된 평가 등의 공교육을 비판하면서 이를 보완할 새로운 형태의 교육을 실시하고자 했다. 따라서 많은 학교들이 학교부적응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성과 자유를 중시하는 교육을 실시하여, 과학은 입시위주의 과목으로 분류되어 대안학교에서는 관심을 받지 못했다. 하지만 최근 대안학교의 이념과 자연과학 간을 연결시켜 과학을 가르치고자 하는 학교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점점 틀 박힌 일반학교보다는 좀 더 새로운 형태의 교육을 받기 원하는 학생들이나 학부모들이 늘어나면서 다양한 형태의 학교들이 생겨나면서 새로운 교육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안학교에서의 과학교과 편성 유무 및 시수, 개설과목 등 과학교육에 대한 전체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국내 비인가 대안학교에서의 학교개요와 과학교육목표, 내용, 교수ㆍ학습방법, 평가 등 과학교육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비인가 대안학교는 기존의 학교교육이 지닌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이념을 실천하려는 학교로 최근 다양한 방법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과학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대안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과학교육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대안학교의 발전적인 과학 교육과정 구성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대안학교의 과학교육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전국에 분포한 대안학교 81개를 대상으로 과학교과 편성 및 개설과목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비인가 대안학교의 과학교육과정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과학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수도권 내의 비인가 대안학교 27개 중에서 연구 참여에 동의한 20개의 학교를 대상으로 학교별 과학교육과정을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및 과학 담당 교사와의 면담 등을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는 학교에서 발간한 학교교육계획서와 학교홈페이지 등을 활용하였고, 면담은 방문 면담 및 이메일을 활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대안학교의 과학교과의 편성유무를 조사한 결과 학력이 인정되는 특성화학교의 경우, 교육과정의 30%의 자율성을 부여하지만, 교과목의 명칭, 시수의 편성, 평가, 담당교사의 임용 등이 일반학교와 같은 방식으로 규제되고 있어, 일반학교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며 다양한 교육을 실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학력이 인정되지 않는 비인가 대안학교에서는 대체로 과학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과학교과를 편성·운영하고 있는 편이지만 학력 인정을 위한 검정고시 교육의 실시라든가, 기자재 부족 혹은 과학 담당 교사의 부족 등으로 다양한 교육을 운영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비인가 대안학교의 과학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자연환경을 이용한 생활과학이나 생명, 지구과학영역이 많은 데에 비해 물리와 화학영역에서는 부족함이 보인다. 일반학교와 다르게 절기(節氣) 수업이나 대체에너지 수업 등을 통해 자연과의 친밀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적극적으로 환경 보호를 생활화하는 모습이 보인다. 또한 독서기반수업, 실험수업, 프로젝트수업, 통합수업 등 다양한 형태의 과학교육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재정적 문제와 과학 담당 교사의 수요에 있어 많은 제약과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The early alternative schools have emerged for criticism and redeem of public education to a new form of education. Therefore a lot of schools provided for maladjusted school students to character and to liberty of education, So science education was indifferent because of labeled as entrance examination of education. But lately alternative schools were connected to ideology of alternative school and natural science. So there increase to teach of science education. Also we want to receive a new form of education than the general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as they grow in recent years has given rise to various forms of schoo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proposal for developing curriculum of alternative school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science education's status and the analysis of authorized and un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The status of number of formations and units, subject of alternative schools in Korea and the analysis of educational objectives, education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valuations were investigated. This study was based on 81 selected alternative schools which were included among the number are 33 of specialized schools and 48 of un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In addition, the analysis were of case study and alternative schools' science education of un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o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materials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research review and interview. The research review, school education plans published by schools and school home pages were unutilized and interview consisted of direct interviews and telephone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these processe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number of formations and units, subject in specialized schools with general schools. and almost the whole un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was organiz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about science education. But It has difficulty variety of education in organization and management because of shortage for experiential tool, teachers. Therefore there teaches education for General Equivalency Diploma(GED). Second, the results of analysis of un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on Seoul metropolitan area that there compared to area of ​​life, earth science, life science or the natural environment that can be readily accessible to students using seems lacking in the area of physics and chemistry. they did the solar terms education and alternative energy education, unlike regular school. They are able to do a way of life not only improve intimacy with nature but also action the protection of environment. In addition, they are reading-based instruction, laboratory instruction, project, and integrated theme-based class are trying a variety of science education. But it seems to be too many constraints and difficulties for the financial problems and the demand for teach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C. 용어의 정의 3 1. 특성화학교 3 2. 비인가 대안학교 4 D.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A. 대안학교의 개요 5 1. 대안학교의 역사 5 2. 대안학교의 정의 및 특징 7 3. 대안학교의 유형 9 B. 국내 대안학교의 현황 12 1. 학력인정 대안학교 12 가. 특성화학교 12 나. 각종학교로서의 대안학교 15 다. 위탁형 대안학교 16 2. 학력비인정 대안학교 17 가. 비인가 대안학교 17 나. 다양한 형태의 교육기관 18 C. 선행연구 19 1. 국내외 대안학교에 관한 연구 19 2. 대안학교의 과학교육 21 Ⅲ. 연구 방법 24 A. 연구 설계 24 B. 연구 대상 25 C. 자료 수집 및 분석 27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29 A. 국내 대안학교의 과학교육 현황 29 1. 특성화학교의 과학교과 편성시수와 개설과목 29 2. 비인가 대안학교의 과학교과 편성 유무 31 B. 국내 비인가 대안학교의 학교개요와 과학교육과정 분석 33 1. 학교개요 33 가. 학교 급의 수 33 나. 교육 이념 34 다. 교육 목표 36 라. 교육 환경 37 2. 과학교육과정 39 가. 교육 목표 39 나. 교육 내용 42 다. 교수·학습 방법 45 1) 수업 유형 45 2) 과학교육 활동 46 라. 교육 평가 형태 49 마. 교육과정운영 52 1) 과학교과의 정규 유무 52 2) 교과 시수 52 3) 교재 53 4) 실험실 및 실험기구 유무 55 5) 교사 56 6) 과학교육 수업계획서의 유무 58 C. 국내 비인가 대안학교의 과학교육과정 운영 사례 59 1. 다양한 소재로의 과학수업: 더불어가는배움터길 59 2. 독서와 실험을 활용한 과학수업: 하나인학교 63 3. 프로젝트중심의 과학수업: 성장학교별, 성미산학교 65 4. 관찰과 여행을 통한 과학수업: 초등대안학교 68 Ⅴ. 결론 및 제언 71 A. 결론 71 B. 제언 73 참고문헌 75 참고사이트 77 ABSTRACT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519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국내 대안학교의 과학교육 현황과 비인가 대안학교의 과학교육과정 및 운영사례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atus of alternative schools' science education and the analysis of case study and curriculum of science education for unauthorized alternative school in Korea-
dc.creator.othernameLee, Ja-Hee-
dc.format.pagevii,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과학교육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