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성-
dc.contributor.author심현아-
dc.creator심현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6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2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6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28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문법 용어를 문법 교육어로 재개념화하여 문법 용어의 교육적 본질과 위상을 밝히고, 보다 효율적인 문법 교육을 위해 문법 용어의 사용 원리를 마련하는 것이다. 문법 교육 내에는 문법 용어의 사용에 대한 엇갈린 견해들이 존재하며 서로 다른 토대를 가진 각각의 주장은 쉽게 좁혀지지 않은 채로 존재하고 있다. 실제 교수․학습 상황에서 문법 용어의 사용은 교사의 판단에 따라 임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교육 내용과 교사, 그리고 학습자를 고려한 보다 체계적인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Ⅱ장에서는 문법 용어의 교육적 본질과 위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문법 교육의 목표에 대한 관점에 따라 문법 용어에 부여하는 가치와 문법 용어 사용에 대한 견해, 그리고 그 사용 양상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비교하였다. 다음으로는 문법 교육 내부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문법 교육의 이념과 내용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문법 용어의 가치와 문법 용어 사용의 의의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문법 용어를 ‘문법 교육어’로 재개념화하여 그 교육적 위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동안 문법 용어는 문법 교과 내에서 지식의 체계를 담고 있는 학문의 언어로서의 가치만을 인정 받아왔다. 그러나 문법 용어는 교육의 언어로서의 위상을 아울러 지니고 있으며, 교사에게는 그것의 사용에 대한 교육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Ⅲ장에서는 문법 용어 사용 원리 도출의 토대가 되어 줄 이론적인 분석과 실제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론적 분석에서는 문법 교육 내용의 중핵 요소와 문법 용어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교과서에 제시된 문법 용어를 교육적 기능에 따라 분류하였다. 실제적 분석에서는 학습 주체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문법 용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교수 주체인 교사를 대상으로 문법 용어 사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적절성의 원리’, ‘가치 가변성의 원리’, ‘접근 용이성의 원리’라는 세 가지 문법 용어 사용의 원리를 도출하였다. 문법 용어 사용에 관한 지식은 교과 지식이나 교사의 학문적 지식과는 별개인 교육적 지식이다. 문법 용어의 노출 시기와 방법은 학습자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언어적 자극이므로 문법 용어 사용에 대한 고민은 문법 교과 내에서 교육어에 대해 논의할 때 빠질 수 없는 주제이다. 이러한 관점을 토대로 문법 용어 사용에 관한 지속적이고 보다 상세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문법 교육어로서 문법 용어가 지니는 교육적 가치가 새롭게 확인되고, 도출된 문법 용어 사용의 원리가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보완되어 교육 현장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status and educational essence of grammar terminology and to set up the principle for the use of grammar terminology for more efficient grammar education through reconceptualizing Grammar terminology as Grammar educational language. There have been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use of grammar terminology in Grammar education, which have different foundations as well. On an actual situ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use of grammar terminology depends on a teacher's decision random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a systematic measure considering educational contents, teachers and learners. On the second chapter, it was meant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essence and the status of grammar terminology. Firstly, those, the values given to grammar terminology, the opinions for the use of grammar terminology and the aspects of the use, were compared to how different those were presented according to a view about the purpose of grammar education. Secondly, the rationale and th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were analyzed considering the movement in grammar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m, the value of Grammar terminology and the meaning of the use of grammar terminology were found out. Lastly, as Grammar terminology was reconceptualized into 'Grammar educational language', the educational status of it could be put up as it should be. However, it also has a status as educational language, for this reason, a teacher should have educational knowledge about how to use it. On the third chapter,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nalysises were performed which were going to be the basis of the conclusion of the principle for the use of grammar terminology. The interrelationship was analysed between the core factors of Grammar educational contents and Grammar terminology in the theoretical analysis. For the practical analysis, two types of survey had to be done about grammatical recognition. One of them was about recognition of learners in Grammar terminology, the other one was about recognition of teachers in the use of Grammar terminology. On the forth chapter, the principle for the use of Grammar terminology(principle of appropriacy, principle of value variability, principle of accessibility) was concluded from the third chapter. The knowledge about the use of grammar terminology is educational thing, which is separated from the subject knowledge and scholarly knowledge of a teacher. The thought about the use of Grammar terminology should be very important issue when a discussion is going on about the educational language in Grammar subject. That is because that learners would be effected by the time and the way of exposure for Grammar terminology. On the basis of this view, the study about the use of Grammar terminology should be keep going in more details. The educational value of grammar terminology could be re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conclusion of the principle in the use of Grammar terminology would be kept complementing through more study and would be useful help on actual education fields final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3 1. 문법 용어 관련 연구 3 2. 교육어 관련 연구 7 C.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9 Ⅱ. 문법 용어의 교육적 본질과 위상 12 A. 문법 교육의 목표에 따른 문법 용어 사용의 양상 13 1. 통합적 접근 13 2. 독자적 접근 17 B. 문법 교육 현상과 문법 용어의 가치 23 1. 문법 교육의 이념과 내용 23 2. 문법 용어의 중요성과 문법 용어 사용의 의의 27 C. 문법 교육어로서의 문법 용어 재개념화 31 1. 재개념화의 필요성 31 2. 재개념화의 틀과 내용 35 Ⅲ. 문법 용어 사용 원리 도출을 위한 분석 45 A. 이론적 분석 45 1. 문법 교육내용의 중핵 요소와 문법 용어의 상관성 분석 45 2. 교육적 기능에 따른 문법 용어의 분류 53 B. 실제적 분석 63 1. 학습 주체: 학습자의 인식 63 2. 교수 주체: 교사의 인식 75 Ⅳ. 문법 용어 사용의 원리와 내용 87 A. 적절성의 원리 87 1. 문자‧음성 언어적 성격의 이해 87 2. 교육 활동의 보충적 기능 이해 89 3. 상호주관성 보장에 대한 이해 90 B. 가치 가변성의 원리 91 1. 개념어의 사용 92 2. 설명어의 사용 93 C. 접근 용이성의 원리 95 1. 용어 자체의 의미 해석 96 2. 구조적인 지식의 보완 98 3. 용어 혼란의 원인 제거 102 Ⅴ. 결론 106 참고문헌 109 ABSTRACT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118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문법 교육어로서의 문법 용어 사용 원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Principle for Use of Grammar terminology as Grammar educational language-
dc.creator.othernameShim, Hyeon Ah-
dc.format.pageviii, 11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