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성-
dc.contributor.author공혜림-
dc.creator공혜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4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4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6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486-
dc.description.abstract통신기술의 발달로 도래한 복합 양식 시대에서 언어 이외에 다양한 요소들도 텍스트를 생산하고 수용하는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개입되고 있다. 이를 통하여 기존의 언어 중심의 표현·이해 활동이 다양한 기호체계와 결합하면서, 보다 역동적인 의미를 만들어 낼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양식들 중에서 시각적 요소에 주안점을 두어 텍스트성을 재개념화하고, 재개념화된 텍스트성의 교육적 함의 및 방안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텍스트성 재개념화를 위한 이론적 전제에 대해 다루었다. 현재 국어교육은 텍스트 중심의 교육을 지향하기는 하나, 기존의 텍스트성이 상당히 복잡한 양상으로 확장되어 가고 있음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언어 환경의 변화에 따라 텍스트 이론이 확장되고 있음을, 체계 기능 문법과 텍스트기호학을 검토함으로써 이론적으로 보다 선명하게 제시하고자 하였다. 복합 양식 문식성 환경에서 시각적 요소의 활용이 용이하게 그리고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문법을 표현의 힘으로 간주하는 체계 기능 문법 이론에 기반을 두어, 시각적 요소는 의미를 표현하는 또 하나의 선택항으로 간주되었다. 뿐만 아니라 시각적 요소가 기호화되는 과정에서 특정한 맥락이 개입됨으로써 의미 공동체의 사회·문화·정치적 구조가 반영되었다. 이렇듯 시각적 요소가 포함된 텍스트는 언어 중심의 텍스트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텍스트성이 재검토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시각적 요소와 언어의 관계에 대한 기호학적인 접근을 다룬 이론들을 살펴본 뒤에, 시각적 요소가 포함된 텍스트를 세 가지 유형과 5가지 세부 영역으로 나누어 재검토하고, 새로운 텍스트성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상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Ⅳ장에서 시각적 요소를 포함한 텍스트성의 교육내용화 방안에 대해 탐색하였다. 우선 시각적 요소를 포함한 텍스트성 교육에 대한 함의를 살펴보고 이를 교육내용화의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실질적인 교육내용화를 위하여, 복합 양식이라는 새로운 경향의 교수·학습 환경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스키마를 3가지 범주로 구체화하였고, 시각적 요소를 포함한 텍스트 처리 방식을 개괄적으로 제시하여 교수·학습의 난이도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이론적인 틀 위에서, 앞장에서 제시되었던 ‘재개념화된 텍스트성’을 스키마로서 구체화하였다. 또한, 이렇게 구체화된 스키마가 교수·학습 상황에서 구현되고 개발되기 위해서 적절한 교육자료 선정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교육과정·텍스트·교사 차원에서 어떠한 요건들이 수반되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교육 자료를 통해 스키마를 자극하고 정련해나가는 일련의 활동들은, 교사와 학습자의 메타언어를 통해 보고되고 점검된다. 따라서 새로이 범주화된 스키마를 설명하는 메타언어 역시 상세화를 위하여 고려되었다. 그리고 실제 수업을 위해 메타언어를 구성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하여 메타언어의 구체적인 활용방안에 대해서도 언급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시각적 요소가 텍스트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시각적 요소를 언어 텍스트와의 결합 방식에 따라 유형화하고, 이를 교육의 현장으로 끌어오기 위한 방안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시도는, 학습자가 사고의 도구이자 의사소통의 도구인 언어를 능숙하게 다루게 하는 언어 교육의 근본적인 정체성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언어 교육의 생산적인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수준의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질적·실증적인 후속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This thesis attempted to reconceptualize textuality including visual elements and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considering the fact that with a multimodal age, visual elements actively participate in producing and receiving text. Since the middle of the 1990's, being influenced by text-linguistics, the wor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earnestly applied the knowledge and expression of dynamic linguistic phenomena and principles of using the language of understanding. Besides, as the traditional view of grammar education which had only put up explicit rules was moved up to that of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for enhancing the skills of communication, it has changed the paradigm of grammar education. Furthermore, as the adv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changed the aspect of communication and the viewpoint of possessing and producing knowledge, the existing logo-centrism activity of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has been able to produce more dynamic meanings by combination with diverse code systems. Especially, Gunther Kress paid attention to image among multi-modes recently in the limelight. According to him, we should get out of logo-centrism, which considers language the most suitable for expressing thoughts and ideas, and accept diverse methods of forming meanings with notice of how languages combine to make the meaning. He insisted that both image and language have its unique mode of signification, and that both combine each other to illustrate excellently the concepts and imagination inexplicable by language alone. Though aiming toward text, national language education is failing to positively reflect the aspect of the existing textuality expanding to considerable complexity with the adv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hat is, since multimodal text exists as supporting materials to supplement and train the function and strategy of the existing hearing, speaking and writing areas, it is hard to accept that national language education still has the dynamics of expressing and receiving the meanings through diverse media other than writing. This is because, though we agree to the necessity of dealing with multimodal text in language education, we have not so far prepared a systemic standard for multimodal text education. Rather, in many cases, research has been made by researchers or educators with much experience from their personal angle of view. Thus, this thesis attempted a basic work for deriving the implications and plans for text education which includes visual elements. In the environment of multimodal literacy, visual image is being easily and positively made use of. Besides, grammar was built on the theory of systemic functional grammar, which was regarded as the power of expression while visual elements were regarded as another option for expressing the meaning. Besides, rather than visual elements reflect the reality as it is, specific context intervenes in the process of making signs to reflect the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structure of a community within the visual elements. In fact, visual elements had been one of the methods human kind used actively from earlier than the letters were invented. That is, it ultimately depends on whether one can understand visual elements well with knowledge of how to express them to carry on smooth communication in the community he belongs to. Unlike the previous age when much power was assigned to language, participation of elements other than language in the process of making meaning has made communication in a more sensual type possible. Since text including visual elements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than logo-centrism text, it can bring up necessity to review the existing textuality critically. Thus, this thesis, after looking at theories of semiotic approa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elements and language, reviewed the text including visual elements in division into three types and five subareas in an attempt to seek for possibility for new textuality. Chapter IV was aimed to devise a plan for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textuality including visual elements. First, the basic directions of educational contents were set at providing experience in meaning-making, nurture critical language awareness and experiencing effective communication. Then, before specifying educational contents, schema of participants in multimodal class (teacher, students)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with hierarchy of treating method for text including visual elements. On such theoretical framework the reconceptualized textuality presented in the previous chapter was categorized into schema. Besides, elements to consider on the basis of curriculum, text and teacher in selecting the text including visual elements were presented concretely. Considering that in class instruction context, schema is stimulated and developed through meta-language, the specific plan of use for instructing reconceptualized textuality was also mentioned. This thesis has significance in stressing the fact that visual elements have an important role to play in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the text and dealing with a plan to take it onto the site of education. This will contribute not only to strengthening the fundamental identity of language education for enabling the learner to use language, an instrument to thinking and communication, proficiently but also to a productive expansion of language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3 C. 연구 대상 및 방법 11 II. 텍스트성 재개념화를 위한 이론적 전제 13 A. 국어교육의 텍스트성 재개념화 필요성 13 B. 텍스트성의 역사적 변천 18 C. 언어 환경의 변화와 텍스트 이론의 확장 20 1. 체계 기능 문법과 사회기호학: 기호 체계에의 언어의 구체적인 기능 20 2. 텍스트기호학: 텍스트언어학의 확장 25 III. 시각적 요소를 고려한 텍스트성 재개념화 28 A. 시각적 요소의 정의 및 특징 28 1. 복합양식 환경에서의 시각적 이미지 활용도의 증대 29 2. 체계 기능 문법 이론에서의 선택항 개념 확대 30 3. 사회문화정치적 구조의 투영 32 4. 감각적인 형태의 의사소통 경험 34 B. 시각적 요소가 포함된 텍스트의 텍스트성 37 1. 시각적 요소를 포함한 텍스트의 유형 및 분류 37 2. 시각적 요소와 언어의 관계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 44 3. 기존 텍스트성의 확장 및 재검토 48 가. 결속구조와 응집성 49 나. 의도성과 용인성 57 다. 정보성과 상황성 60 라. 상호텍스트성 66 4. 새로운 텍스트성의 가능성 69 가. 상호작용성 69 나. 행동유도성(affordacne) 71 IV. 시각적 요소를 포함한 텍스트성의 교육내용화 방안 76 A. 교육내용화의 기본 방향 76 1. 의미 만들기(meaning-making) 경험 76 2. 비판적 언어 인식의 함양 78 3. 효과적인 의사소통 체험 81 B. 교육내용화의 전제 84 1. 복합 양식 교수학습 참여자(교사와 학습자)의 스키마 구체화 84 2. 시각적 요소를 포함한 텍스트 처리 방식의 위계화 87 C. 교육내용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 92 1. 재개념화된 텍스트성의 스키마로서의 적용 및 구체화 96 2. 시각적 요소가 포함된 텍스트의 교육자료 선정 요건 마련 96 가. 교육과정 차원 97 나. 텍스트 차원 104 다. 교사 차원 106 3. 재개념화된 텍스트성 교육을 위한 메타언어의 체계적 활용 109 가. 스키마를 설명하는 메타언어의 상세화 110 나. 실제 수업을 위한 메타언어 구성 틀(frame) 제시 112 V. 결론 120 참고문헌 123 Abstract 14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572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시각적 요소를 고려한 텍스트성 재개념화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Reconceptualization of Textuality in Consideration of Visual Elements-
dc.creator.othernameKong, Herim-
dc.format.pageix, 14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