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8 Download: 0

반응중심 문학학습이 아동의 문학능력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Title
반응중심 문학학습이 아동의 문학능력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Response : Based Literature Learning upon Children's Literature Ability and Emphatic Ability
Authors
최경순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성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Response - Based Literature Learning to 4th grade literature class of an elementary school and to examine the positive effects of the Response - Based Literature Learn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terature ability and emphatic ability. Literature ability consists of literature acceptance ability, literature evaluation ability and literature creative ability. Emphatic ability is composed of cognitive emphatic ability, emotional response emphatic ability and social skill emphatic ability.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Does Response - Based Literature Learning effect on improvement of literature ability? 1-1. Does Response - Based Literature Learning effect on improvement of literature acceptance ability? 1-2. Does Response - Based Literature Learning effect on improvement of literature evaluation ability? 1-3. Does Response - Based Literature Learning effect on improvement of literature creative ability? 2. Does Response - Based Literature Learning effect on improvement of emphatic ability? 2-1. Does Response - Based Literature Learning effect on improvement of cognitive emphatic ability? 2-2. Does Response - Based Literature Learning effect on improvement of emotional response emphatic ability? 2-3. Does Response - Based Literature Learning effect on improvement of social skill emphatic ability?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wo 4th grade classes at B Elementary School in Seodaemu-gu. In order to evaluate the students' literature ability through both preliminary and post tests, a research tool was developed based on other related studies. In order to evaluate emphatic ability through pre and post tests, the Korean version of EQ-C (Children's versions of the Empathy Quotient) of Hwa-Jung Cha and Hei-Rhee Kim (2011) was used. After conducting a preliminary test on literature ability and emphatic ability, 21 sessions of the Response - Based Literature Learning were conducted on the treatment group over 8 weeks from September to November. Post tests on literature ability and emphatic ability were conducted in the same way as pre-tests.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by T-test using SPSS win 20.0 to prove the effects on literature ability and emphatic ability (p<.05).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se - Based Literature Learning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literature ability. It improved literature acceptance ability, literature evaluation ability. But there was little changes in literature creative ability. Second, The Response - Based Literature Learning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emphatic ability. It improved cognitive emphatic ability, emotional response emphatic ability. But there was little changes in social skill emphatic abilit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that positive effects were founded in children's literature ability and emphatic ability. In conclusion it was recommended to apply The Response - Based Literature Learning to elementary literature class. However, this research has several limitations. The study was conducted only on two 4th grade classes at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only for 8 weeks. Therefore, there are limitations to generalize this conclusion. To derive general conclusion, a number of children have to take part in this research for a long time.;본 연구에서는 반응중심 문학학습이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의 문학능력과 공감능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반응중심 문학학습이 아동의 문학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1-1. 반응중심 문학학습이 아동의 문학 수용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1-2. 반응중심 문학학습이 아동의 문학 평가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1-3. 반응중심 문학학습이 아동의 문학 창작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2. 반응중심 문학학습이 아동의 공감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2-1 반응중심 문학 학습이 아동의 인지 공감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2-2 반응중심 문학 학습이 아동의 정서 공감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2-3 반응중심 문학 학습이 아동의 사회기술 공감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위 문제들을 연구하기 위해서 서울 서대문구에 소재한 B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을 사례연구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문학능력,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문학능력의 검사 도구는 기존의 연구들을 토대로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공감능력은 박찬옥과 김혜리(2010)가 번안하고 차화정, 김혜리(2011)가 신뢰도, 타당도, 요인분석을 마친 자기보고형 한국어판 아동용 공감지수(EQ-C)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두 집단의 문학, 공감능력에 대한 사전 검사 실시 후, 실험 집단에게 8주 동안 21차시의 반응중심 문학 학습을 시행하였다. 이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SPSS win 20.0 프로그램의 독립표본 T-test (p<.05)를 이용하여 두 집단의 문학능력과 공감능력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분석,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응중심 문학학습은 아동의 문학 수용능력과 문학 평가능력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주었다. 문학 창작능력 향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주지 못했지만, 아동의 전반적인 문학 능력 향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주었다. 둘째, 반응중심 문학학습은 아동의 인지 공감능력과 정서 공감능력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주었다. 사회기술 공감능력 향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주지 못했지만, 전반적인 아동의 공감능력 향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주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반응중심 문학학습은 아동의 문학능력과 공감능력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 초등학교 문학교육에 반응중심 문학학습을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아동들의 문학능력 및 공감능력 향상에 긍정적일 것이라고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반응중심 문학학습에 대한 좀 더 종합적이고 일반적인 결론을 얻기 위해서는 실험 대상을 확대해 보고, 좀 더 장기간에 걸친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문학능력과 공감능력의 변화 양상을 면밀히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문학능력과 공감능력에 대한 적절한 측정도구의 개발도 요구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