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성은-
dc.contributor.author장혜진-
dc.creator장혜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2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0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6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03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학습자간 동료 협의 고쳐 쓰기 활동이 쓰기 능력과 비판적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에 대해 알아보고 쓰기 능력과 비판적 읽기 능력 사이에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습자간 동료 협의 고쳐 쓰기 활동이 두 집단 간 쓰기 능력에 차이를 주는가? 2. 학습자간 동료 협의 고쳐 쓰기 활동이 두 집단 간 비판적 읽기 능력에 차이를 주는가? 3. 쓰기 능력과 비판적 읽기 능력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 서초구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2학급을 대상으로 쓰기 능력과 비판적 읽기 능력에 대해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처리 및 분석을 위하여 PASW Statistics 18(SPSS 18)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상관관계 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쓰기 능력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의 사전-사후 향상도 변화를 비교해 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시행한 결과, 쓰기 능력 전체와 하위 영역인 ‘내용’, ‘표현’ 면에서 실험 집단이 비교 집단에 비해 유의한 향상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비판적 읽기 능력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의 사전 - 사후 향상도 변화를 비교해 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시행한 결과, 비판적 읽기 능력 전체와 하위영역인 ‘주장과 근거의 적절성 판단하기’, ‘표현의 적절성 판단하기’면에서 실험 집단이 비교 집단에 비해 유의한 향상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의 쓰기 능력과 비판적 읽기 능력의 향상도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상관계수는 다소 다르나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 모두 공통된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드러났다. 즉, 쓰기 능력과 비판적 읽기 능력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쓰기 능력의 ‘내용’과 비판적 읽기 능력의 ‘사실과 의견 구분하기’와 ‘주장과 근거의 적절성 판단하기’, 쓰기 능력의 ‘표현’과 비판적 읽기 능력의 ‘표현의 적절성 판단하기’에서 유의한 상관성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보아 학습자간 동료 협의 고쳐 쓰기 활동이 쓰기 능력과 함께 비판적 읽기 능력도 신장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쓰기 능력과 비판적 읽기 능력의 특정 하위 요소 능력 신장을 위해 적재적소에 읽기와 쓰기를 구체적으로 통합·지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가 설득하는 글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양적 연구로 분석을 진행하고 있는 바, 보다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결론을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eer-response rewriting activity on writing and critical reading ability and the concrete correlation of writing ability with critical reading ability. The subjects are 58 students of six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two groups of 29 students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The peer-response rewriting activity i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nly. I examined the writing ability and critical reading ability tests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To get the results of analysis, PASW Statistics 18(SPSS 18) program was used. Also I used a t-test to asse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of writing ability with critical reading ability. The conclusion which can be drawn from this study are these. First,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 showed increases in the writing ability after the class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the two groups as well. Especially in terms of 'content' and 'expression' of writing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peer-response rewriting activ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with comparative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 showed increases in the critical reading ability after the class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the two groups as well. Especially in terms of ‘judgment of appropriacy of opinion and reasons' and 'judgment of appropriacy of expression' of critical reading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peer-response rewriting activ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with comparative group. Third, the research shows there are co-relationship of writing ability with critical reading ability. Both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 have co-relationship in common categories. The writing ability is relevant to critical reading ability. Especially 'content' of writing ability is relevant to 'distinction between fact and opinion' and 'judgment of appropriacy of opinion and reasons' of critical reading ability. Also 'expression' of writing ability is relevant to 'judgment of appropriacy of expression' of critical reading ability. Therefore, peer-response rewriting activity can improve not only writing ability but also critical reading ability. We can also expect to integrate writing and reading classes, because there is a connection between subordinate of writing ability and critical reading ability. In this study, however, the subject is only logical rhetorical writing and quantitative analysis is only used, so general and qualitative follow-up study is need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쓰기 6 B. 동료 협의를 통한 고쳐 쓰기 25 C. 비판적 읽기 48 Ⅲ. 연구방법 63 A. 연구대상 63 B. 연구 설계 및 절차 63 C. 연구도구 69 D. 자료 처리 및 분석 76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77 A. 학습자간 동료 협의 고쳐 쓰기 활동이 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77 B. 학습자간 동료 협의 고쳐 쓰기 활동이 비판적 읽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79 C. 쓰기 능력과 비판적 읽기 능력의 상관관계 81 Ⅴ. 결론 및 제언 85 A. 결론 85 B. 제언 89 참고문헌 90 부록 96 ABSTRACT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036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학습자간 동료 협의 고쳐 쓰기 활동이 쓰기 능력과 비판적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Peer-Response Rewriting Activity on Writing and Critical Reading Ability-
dc.creator.othernameJang, Hye Jin-
dc.format.pageviii, 11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초등교육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