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5 Download: 0

내용 영역 문해력 모델을 통합한 아동 문학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발 및 적용

Title
내용 영역 문해력 모델을 통합한 아동 문학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발 및 적용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based on the Children’s Literature with the Content Area Literacy Model
Authors
이종아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진영
Abstract
This research purposes designing and applying a social studies curriculum using children’s literature in integration with EXIT, the content area literacy model. The research was conducted assuming that the aforementioned curriculum effectively solves problems in existing social studies text books and curriculums to help achieve the learning goals of social studies. In light of this, research questions are as the following. 1. How to desig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using children’s literature in integration with the content area literacy model? 2. How to apply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using children’s literature in integration with the content area literacy model? 3. What are the results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using children’s literature in integration with the content area literacy model? 3-1. Is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using children’s literature in integration with the content area literacy model effective in academic achievement? 3-2. Is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using children’s literature in integration with the content area literacy model effective in attitude towards social studies? 3-3. Does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using children’s literature in integration with the content area literacy model have a different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literacy groups with different literacy levels? Research was designed by combin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using children’s literature and the content area literacy model. In combing these two areas, the researcher referred to the 6 integration steps of Davis and Palmer(1992) of children’s literature an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researcher also used the EXIT model which is particularly useful in geography among social studies. As a result of the integration, the researcher took a 6th graders’ 2nd semester unit 2: “Nature and Culture in Various Regions in the World” and reconstructed 20 units. The newly designed curriculum was applied to 30 students in a 6th grade class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Among the students, 21 students had high literacy ability and 5 and 4 students were in the average level and the low level respectively. The pre/post unit assessments and two performance assessments were conducted in order to find effects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using children’s literature in integration with the content area literacy model’s academic achievement. Also pre/post attitude tests about social studie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any effects on attitude towards social studies. Finally, students’ reflections during each class and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results regard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using children’s literature in integration with the content area literacy model. Firstly, regarding academic achievement level in social studi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unit performance assessments results. Secondly, pursuant to the attitude towards the social studies unit, the pre/post tests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areas. In sub-areas however, the results were differen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udy habits”, “sense of achievement”, “learning attitude”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conception.” Thirdly, the social studies academic achievement for each literacy group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assessment methods. While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literacy levels in the unit assessments result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formance assessments results. This was due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ow literacy level group and other groups. The conclusions of the research are the following. Firstly, according to the unit assessments results,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using children’s literature in integration with the content area literacy model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Secondly, regarding attitude towards social studies, there was an overall positive effect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self-conception”, which takes more time for change among four sub areas. This indicates that the curriculum should have been design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Thirdly, differences in literacy groups differed by assessment methods. The designed curriculum was more effective in enhancing academic achievement for students with low literacy level than others. The following are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rstly,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using children’s literature in integration with the content area literacy model, needs to include more text units in social studies. Also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30 public elementary school 6th graders in a class so the number is not sufficient to generalize the research results. There should be more studies done with bigger samples. Secondly, as shown in the research results, there are differences in effects for the literacy levels according to assessment methods. In light of this, more assessment methods should be introduced in the study. When assessment methods are consistently connected to study goals, one can assess various aspects of students. Thirdly, experts should select children’s literature for social studies curriculum. It will be very helpful if there is a committee such as the Children’s Literature Selection Committee in the US to recommend children’s literature according to topics of study.;본 연구는 내용 영역 문해력 모델을 통합한 아동 문학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교육과정을 통해 현재 사회과 교과서와 사회과 수업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회과의 학습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내용 영역 문해력 모델을 통합한 아동 문학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을 어떻게 개발하였는가? 2. 내용 영역 문해력 모델을 통합한 아동 문학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을 어떻게 적용하였는가? 3. 내용 영역 문해력 모델을 통합한 아동 문학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의 적용 결과는 어떠한가? 3-1. 내용 영역 문해력 모델을 통합한 아동 문학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은 학업 성취도에 효과가 있는가? 3-2. 내용 영역 문해력 모델을 통합한 아동 문학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은 사회과에 대한 태도에 효과가 있는가? 3-3. 내용 영역 문해력 모델을 통합한 아동 문학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은 문해력에 의한 집단 간 학업 성취도에 효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내용 영역 문해력 모델을 통합한 아동 문학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은 사회과 수업에서 아동 문학을 주요 정보의 원천으로 사용하는 아동 문학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과 내용 영역 문해력 모델을 통합하여 개발하였다. Davis와 Palmer(1992)의 아동 문학과 사회과 교육과정의 결합 전략 6단계와 사회과 지리 학습에 특히 유용한 내용 영역 문해력 모델인 EXIT을 통합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 개발 단원인 6학년 2학기 2단원 ‘세계 여러 지역의 자연과 문화’가 총 20차시로 재구성되었다. 재구성한 수업은 서울시 S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 30명을 대상으로 적용되었으며, 연구 대상을 문해력으로 집단을 구분하면 문해력 상이 21명, 문해력 중이 5명, 문해력 하가 4명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내용 영역 문해력 모델을 통합한 아동 문학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의 학업 성취도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단원평가와 1회, 2회 수행평가가 실시되었다. 또한 사회과에 대한 태도에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사회과에 대한 태도 검사가 실시되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양적 자료를 보완하기 위해 매 차시 학생들이 작성한 성찰 일지와 3회의 면담 자료가 수집되었다. 내용 영역 문해력 모델을 통합한 아동 문학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원 평가로 측정한 사회과 학업 성취도의 경우 사전, 사후 검사의 점수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사회과에 대한 태도에서는 전체 영역에서의 사전, 사후 검사의 점수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4개의 하위 영역에서는 영역 간 차이를 보였다. ‘학습 습관’, ‘성취 의욕’, ‘교과 태도’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자아 개념’ 영역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셋째, 문해력에 의한 집단 간에 사회과 학업 성취도 점수 변화량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본 결과 단원 평가에서는 문해력에 의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수행 평가에서는 문해력에 의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고 이는 문해력 하 집단과 나머지 집단들과의 차이 때문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 영역 문해력 모델을 통합한 아동 문학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은 단원 평가로 측정했을 경우에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둘째, 사회과에 대한 태도의 경우 사회과 태도를 구성하는 전체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으나, 4개의 하위 영역 중 비교적 변화에 시간이 걸리는 ‘자아 개념’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문해력에 의한 집단 간 차이의 결과는 평가 도구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 영역 문해력 모델을 통합한 아동 문학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있어서 더 많은 사회과의 단원을 포함하는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다. 좀 더 많은 연구 대상들을 통해 활발히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에서 평가 도구에 따라 문해력에 의한 집단 간 효과 차이가 드러났듯이 다양한 평가 방법의 도입이 요구된다. 셋째, 전문가들이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아동 문학을 선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