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4 Download: 0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 발현 과정 연구

Title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 발현 과정 연구
Other Titles
Exploring the Process of Student Creativity Revealed in the Classroom : A Case study of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
Authors
서초영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연순
Abstract
21세기 혁신의 시대에 접어들면서 모든 분야에 걸쳐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로 꼽히는 것은 바로 창의성이다. 창의성에 대한 필요성은 커져가고 있지만 보이지 않는 창의성의 실체에 대한 인식은 사람들 마다 다르게 가지고 있어 이를 계발해야 하는 교육 분야에서는 창의성에 대한 합의된 관점과 이해가 그 어느 분야보다도 필요하다. 그러나 교실 현장에서 교사들과 대화를 나누어 보거나 수업 속 실제 상황을 관찰해 보면 창의성을 어떻게 교육해야 하는지 잘 모르고 있고 창의성에 대한 인식도 각자의 위치에서 경험적이고 심리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창의력을 계발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창의성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수업 상황에서 발현되는 학생들의 창의성에 대한 이해와 그 발달 과정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수업 상황에서 발현되는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는 어떤 과정을 거치는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교실 수업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발현되는 학생들의 창의성을 분석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선택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창의성이 발현되는 미시적인 순간을 포착하고 지식, 사고, 태도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하기 위해 연구자가 담임으로 맡고 있는 A초등학교 4학년 학생 30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수학과에서 두 개 단원을 중점으로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 과정과 그 특성을 분석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는 사전지식의 문제점을 인식하는 과정, 사전지식, 경험을 해석하는 과정, 새로운 개념을 형성하는 과정, 새로운 개념을 형성하고 문제점을 발견하는 과정, 개념 적용을 통한 새로운 제안 제시 과정 등을 거쳐서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위와 같은 창의적 사고 과정에서 분석된 특성은 모두 기본조작능력 즉, 기초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지식(개념)을 내면화(mini-c)하는 단계에서 출발한다는 것이다. 학생들은 속성․요소 파악, 비교․대조, 인과․포함관계 파악, 유목화, 이해․적용과 같은 기본 조작능력을 통해 새로운 개념을 내면화 하여 형성하면서 개인적으로 의미 있는 창의성(mini-c)이 발현 되었다. 이러한 기초적인 조작활동을 통해 새로운 개념이 형성 되면서 복합 조직 능력 수준의 사고가 이뤄지며 문제를 발견하거나 사전지식․경험을 적용한 대안을 제시할 때 작은 창의성(little-c)이 발현 되었다. 셋째, 30명의 연구 대상자들이 모두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는 못했으며 특정 학생들만 작은 창의성(little-c)으로 발전하는 것을 살펴 볼 수 있었는데 이들의 차이는 지식을 어떻게 내면화하고 구성하고 있느냐에 따라 달라졌음을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해, 작은 창의성(little-c)으로 발전한 학생들의 경우에는 지식을 단순히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비판적인 시각으로 형성하여 또 다시 인출 가능한 형태로 내면화하였기에 가능했다. (예: 소수에 대한 개념을 분수에 적용하고, 평행선에 대한 개념을 곡선에 적용한 것)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찾은 교육적 시사점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창의적 과정은 사전 지식과 경험에도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교사가 수업의 동기유발 자료를 단순한 흥미위주로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선수로 학습한 내용, 경험 등을 적극적으로 연구하고 이를 중심으로 수업 자료를 개발 한다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를 보다 더 촉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학생들은 인출 가능한 형태의 지식을 내면화하여 개념을 형성하고 문제를 발견하거나 사전지식을 적용하여 대안을 제시하면서 창의성이 발현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반드시 유형의 산출물을 만들지 않아도 학생 수준에서는 창의성 계발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존에 실행되고 있는 창의성 교육방법인 산출물 중심의 프로젝트 학습이 기초적인 사고력 촉진 수업이나 이해를 중심으로 한 수업의 토대 뒤에 이루어졌을 때 그 효과가 보다 더 클 것으로 보인다. 셋째, 학생 수준에서의 창의성은 한 학생만의 뛰어난 사고보다는 전체가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여러 가지 사고수단을 발휘하여 도달하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이 원활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자율적이고 허용적인 분위기, 생각을 자꾸 물어보고 들어주며 이에 대한 피드백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이러한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목표 개념까지 이끌어가는 교사는 가르치고자 하는 개념, 지식의 구조에 대한 이해를 하고 있어야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를 이끄는 안내자의 역할을 수행 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창의적인 사고를 하지 못하고 중간에 포기하려는 학생들의 경우 내재적인 동기유발을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그러한 조취를 취한 이후에 경과를 다시 관찰하는 후속 논문 또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수학 교과에서만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 하였으므로 자료 수집의 한계가 있으며 다른 교과에서는 창의적 사고가 또 다른 과정으로 발현이 되는지, 교수학습 모형에 따라서는 그 과정이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Creativity is known to be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the 21st century despite different domains, and most people would agree on the necessity of creative ability. However, people understand the concept of creativity in their own ways through a psychological approach. This leads most teachers to not understand specifically on how creativity education can be implemented in classroom settings. Thus, in the field of education, a general consensus and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creativity is prerequisite before implementing creativity education policies. For creativity education to become efficient, more research should be held on analysing how student creativity is revealed in the classrooms and how it can be developed in schools. Therefore the research question for this thesis is; Through what thinking process does students' creativity reveal in classroom setting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chose to proceed a case study through a qualitative method in able to analyze students' creativity revealed in natural classroom settings without any control. Also, in order to capture the micomoments of student creativity, the research objects were chosen from the researchers homeroom students at A elementary school. This would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tudents such as their prior knowledge, thoughts,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which helps to deeply understand their creativity. Also two units from mathematics were chosen for data collec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tudent creativity revealed through the process of perceiving problems from their prior knowledge, interpreting their prior knowledge or experience, formating a new concept and finding problems, and implementing the learned concepts and suggesting a new alternatives to solve mathematical problems. Second,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creative thinking process was that it starts from basic thinking skills, where students personally internalize and understand knowledge(concepts) in their own and new way (mini-c). The students analyze, identify, compare, interpret, connect, classify, apply, etc and internalized knowledge in their own meaningful way and revealed mini-c level creativity. Through this basic thinking process they understood new concepts and found problems from prior knowledge and constantly interacted their thoughts with other students to develop their creative potentials. Third, not all 30 students were able to develop their mini-c's into little-c's. Only one or two students were able to reveal little-c during cla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udents seems to come from the form and construct of knowledge that they have internalized. Within the results above, the implication for creativity education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prior knowledge affects their creative thinking process, thus when teachers prepare lessons, research on the student's prior knowledge, experience would help and facilitate student creativity. Second, students do not always have to produce a tangible product to reveal creativity. Students were able to think and share their thoughts in their own meaningful way which resulted in producing mini-c and little-c through words aloud and writings. Thus, creativity education does not always have to be a big project or a program. Developing student's thinking skills can facilitate students' creativity as well. Thus creative programs and developing thinking skills implemented in parallel would seem to be effective. Third, student creativity does not reveal by an intelligent student alone. Students' interactions effected each other and helped developing mini-c into little-c level. Thus, a permissive, free atmosphere, and constantly asking the students thoughts and giving feedback is very important. The teacher should also understand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on the concept that is taught within the unit, in order to guide and help develop the student's creative thoughts. Forth, there were few students who have shown to give up on developing their mini-c's into little-c level. Thus,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observe and understand their behavior and seek for a method to induce their intrinsic motiv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