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1 Download: 0

무채색 제품의 광택, 펄, 명도, 크기 특성에 따른 감성 평가

Title
무채색 제품의 광택, 펄, 명도, 크기 특성에 따른 감성 평가
Other Titles
A Study on Sensibility Estimation of Achromatic Color Products based on its Glossiness, Pearliness, Brightness, Size Attributes : Focused on Plastic Products
Authors
권지영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영경
Abstract
Functional parts of products have been standardized as technical development. According to this, it has been hard to attain superior positions in the market, and the emotional design is more important to meet the emotional customer needs. CMF(Color, Material, Finish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the product design. Sales volume of IT products such as a smartphone, tablet PC, notebook ha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last year. The shape is changing simply, and CMF is more important as an element of the emotional images. According to a color research on IT products in the Websites(Samsung, LG, Apple), showy colors are unusual but achromatic colors(white, grey(silver), black) are used frequently. For that reason, this study is defined in achromatic colors. Design elements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make a certain emotional image. It’s not worth an analysis of an element separately, but a comprehensive study is needed. However, most existing studies on CMF emotional images are progressed with a certain element, and there is no study on the size attribute which is an important design element. This study analyze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design elements for the achromatic color products such as glossiness, pearliness, brightness, and size attributes and the emotional images, and fines out specific methods which express the emotional images and the change of the emotional image depending on the size attribute. If the certain sensibility which customers want in the product design is formed on the products, it will be helpful in the reinforcement of the product competitiveness. The proces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heoretical study is conducted through the surveys of the literature and the existing researches. It is examined the product emotional design, product CMF, and achromatic color sensibility, and studied how to extract adjectives which have emotional images of achromatic colors for the empirical experimental study. Second,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y, the empirical study on the design elements such as glossiness, pearliness, brightness, and size attributes and the emotional images is progressed. It is analyzed with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emotional images and the design elements utilizing statistical techniques, and is studied on how size variations affect customers’ sensi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fluence of the elements which is used to create the specific emotional image is various, but in general, the influence of the pearliness is the strongest, then the brightness, the glossiness. The pearliness is the strongest element to create the emotional image in the achromatic color products. Second, the design elements to create the specific emotional image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emotional images. Some adjectives are affected by 3 elements, but other some adjectives are not affected by any element. Third, the conditions of design elements to create the specific emotional image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experimental samples. The type and the order of the emotional images such as ‘unique’, ‘hard’, ‘hi-tech’, and ‘cool’ are chang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experimental samples. Fourth,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motional images which have the influences on the design elements, the glossiness affects ‘high-tech’ emotional image, and they are in direct proportion. The pearliness affects ‘unique’, ‘static’, and ‘high-tech’ emotional images, but it is in inverse proportion to ‘static’, and is in direct proportion to the others. The brightness affects ‘clean’ and ‘hard’ emotional images, but it is in direct proportion to ‘clean’, and is in inverse proportion to ‘hard’. Also, the brightness affects ‘cool’ emotional image, and they are in direct proportion when the size becomes smaller. Fifth, the emotional image influences on the design element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ze of experimental samples. The glossiness affects ‘high-tech’ emotional image, and the pearliness affects ‘unique’ and ‘high-tech’ emotional images in the small size sample strongly. On the other hand, the pearliness affects ‘static’ emotional image in the large size sample strongly. The brightness affects ‘clean’ and ‘hard’ emotional images in the large size sample strongly, and ‘cool’ emotional image is affected in the small size sample, which means the influence of the brightness is stronger in the small size sample. Sixth, the quantitative indexes of the design elements which express the emotional image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esign elements which are affected by the emotional images mostly, ‘clean’ and ‘cool’ are available to use ‘white’ which has the high brightness, and ‘hard’ is available to use the brightness from ‘black’ to ‘grey-mid’. But ‘hard’ is except for ‘grey-mid’ in the small size sample. ‘Static’ is not available to use the pearl, and ‘high-tech’ should use small pearl or large pearl. But, it should use ‘bright’ or ‘semi-bright’ in the small size sample. This study analyzes and defines the nature of the design elements which have the influence on the emotional im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as basic data which forms the specific emotions on the products to meet the concepts in the product design.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제품에 사용되는 기능적인 부분들이 평준화 되었다. 이에 따라 품질만으로 시장에서 우위를 갖추기란 어려워졌으며, 소비자의 감성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감성디자인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제품 디자인 내, CMF(Color, Material, Finising)는 감성디자인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폰, 태블릿, 노트북과 같은 IT 제품의 판매량은 전년 대비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런 IT 제품의 경우, 형태는 점점 단순해지고 있으며 감성이미지 변화 요인으로써 CMF의 중요도는 높아진다. 웹사이트(삼성, LG, 애플) 내의 IT 제품 컬러를 조사한 결과, 화려한 컬러의 사용은 미미하였으며 무채색(white, grey(silver), black) 사용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연구 범위를 무채색으로 한정시키고자 한다. 디자인 요인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특정 감성이미지를 형성한다. 어떤 한 가지 요인만을 따로 분리하여 분석해서는 안 되며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 CMF 감성이미지 관련 연구들을 분석 해 본 결과, 부분적인 연구들이 대부분이었으며 디자인 진행 시 중요한 요인인 크기 관련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채색 제품 디자인 시 고려되는 광택, 펄, 명도, 크기 등의 요인들과 감성이미지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감성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 크기에 따른 감성이미지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제품 디자인 진행시, 이를 활용하여 소비자들이 원하는 특정 감성을 제품에 투영시킨다면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조사 및 기존 연구 자료를 통해 이론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품 감성 디자인, 제품 CMF, 무채색 감성 등에 대해 살펴보고, 실증적 실험 연구에 필요한 무채색 감성이미지 형용사를 추출하는 방법 등을 연구하였다. 둘째,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광택, 펄, 명도, 크기 등의 디자인 요인과 감성이미지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감성이미지와 디자인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크기 변화가 소비자들의 감성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정 감성이미지를 형성하는 데에 요인들의 영향력은 상이하였지만, 전체적으로 보았을 시, 펄의 영향이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 명도, 광택 순이었다. 즉 무채색 제품 내에서 펄이 감성이미지를 형성하는데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 둘째, 특정 감성이미지 형성을 위해 작용하는 디자인 요인들은 감성이미지별로 상이하였다. 3가지 요인이 모두 영향을 미친 감성 형용사가 있는 반면, 그렇지 않은 감성 형용사도 있었다. 셋째, 특정 감성이미지 형성을 위한 디자인 요인들의 조건은 실험 자극물의 크기에 따라 상이하였다. ‘유니크한’, ‘Hard한’, ‘ 하이테크한’, ‘Cool한’ 감성이미지는 실험 자극물의 크기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종류와 순위가 변화하였다. 넷째, 요인에 따라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감성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광택은 ‘하이테크한’ 감성 이미지에 영향을 미쳤으며 정비례의 관계에 있었다. 펄은 ‘유니크한’, ‘정적인’, ‘하이테크한’ 감성이미지에 영향을 미쳤으며 ‘정적인’은 반비례의 관계에, 나머지는 정비례의 관계에 있었다. 명도는 ‘깨끗한’, ‘Hard한’ 감성이미지에 영향을 미쳤으며 ‘깨끗한’은 정비례, ‘Hard한’은 반비례의 관계에 있었다. 또한 크기가 작아졌을 시, 명도는 ‘Cool한‘ 감성 이미지에 영향을 미쳤으며 정비례의 관계에 있었다. 다섯째, 요인에 따라 감성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력은 실험 자극물의 크기에 따라 상이하였다. 광택의 경우, 크기가 작을 때 ‘하이테크한’ 에 미치는 영향력이 컸으며, 펄의 경우, 크기가 작을 때 ‘유니크한’, ‘하이테크한’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반대로 ‘정적인’ 의 경우에는 크기가 클 때, 펄의 영향력이 더 컸다. 명도의 경우, 크기가 클 때, ‘깨끗한’, ‘Hard한’에 미치는 명도의 영향력이 컸으며, ‘Cool한’의 경우 S-sample에서만 유의미한 영향을 받았는데 이는 크기가 작을 때 명도의 영향력이 더 크다고 해석할 수 있다. 여섯째, 각각의 감성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디자인 요인별 정량적 지표는 다음과 같다. 감성이미지에 따라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보면, ‘깨끗한’, ‘Cool한’의 경우 명도가 높은 white를, ‘Hard한’의 경우 black에서 grey_mid까지의 명도 사용이 가능하다. 단, ‘Hard한’의 S-sample에서는 grey_mid는 제외된다. ‘정적인’은 펄을 사용해서는 안 되며, ‘하이테크한’은 작은 펄이나 큰 펄을 사용해야 한다. 단 S-sample일 경우 유광이나 반광을 사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 요인들을 분석하고 그 특성을 규명하였다. 제품 디자인을 진행할 시, 컨셉에 맞는 특별한 감성을 효과적으로 제품에 형성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본 연구의 결과가 활용되길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