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1 Download: 0

어린이보호구역의 도로경관 향상을 위한 환경색채 개선 방안 연구

Title
어린이보호구역의 도로경관 향상을 위한 환경색채 개선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color for road-scape in school zone
Authors
신은경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실
Abstract
정부에서 어린이 교통안전을 위해 어린이보호구역 지정을 확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사고는 좀처럼 감소하고 있지 않다. 2003년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을 처음 시행한 이후 현재까지의 개선사업이 교통안전시설의 설치, 보도 및 도로부속물 설치 등의 공학적인 측면과 노상 주차장 금지, 속도 제한과 같은 제도적인 측면에 치우쳐 있음을 인식하고 경관 개선의 관점을 더하여 개선사업의 추진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도로경관의 설계에 있어 환경색채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어린이보호구역 도로경관의 색채 현황 분석과 문제점 도출에 따른 개선 방향을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해 대상을 전경과 배경으로 구분하는 게슈탈트 시각 이론의 관점에서 환경을 파악하고 전경의 역할을 하는 요소를 기능색으로, 배경의 역할을 하는 요소를 배경색으로 정의한 후, 서울시 초등학교 주변 6개소를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도로경관의 색채 현황을 파악한 후, 수집된 현황을 토대로 도로경관을 구성하는 대상들의 색채 관계성을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기능색과 배경색의 색채 분포가 겹쳐 도로경관이 더욱 무질서하게 느껴진다. 표지판과 옥외광고물, 신호등과 옥외광고물의 관계가 가장 대표적인 문제이며 특히 고채도 영역에 집중 분포하는 색채 현황은 안전에 있어 위험한 수준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유사한 색채 사용으로 요소들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 차도와 보도, 미끄럼방지포장과 자전거도로 등의 색 차이가 크지 않아 구분이 되지 않는 위험이 있으며 펜스, 볼라드와 같이 경계를 지어주는 요소들도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 셋째, 명시성과 유목성이 뛰어난 고채도 Y계열을 남용하여 오히려 안전에 대한 불감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R계열은 색채 사용 기준이 모호하여 정보 전달의 신뢰성이 떨어진다. 또한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국외 사례 조사를 통해 시사점을 살펴 본 후,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색의 3속성 가운데 특히 유목성의 정도를 가지는 채도에 주목하여 기능색과 배경색을 색채 분포가 겹치지 않도록 분리하였다. 원활한 통행과 안전한 보행을 위해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색 요소와 그 외의 배경색 요소들이 고채도와 저채도의 채도대비가 명확하도록 조정하였다. 둘째, 시설과 배경과의 명도 대비를 통해 구조물의 형태 자체가 눈에 띄도록 유도하여 시설의 구조적 분리를 제안하였다. 셋째, 안전색으로 사용되고 있는 고채도 Y계열이 남용되지 않도록 사용 범위를 규제하였다. 넷째, 어린이보호구역의 시작점을 알리는 표지판부터 해제됨을 알리는 표지판까지 보호구역 전체의 표지판 다른 곳과 차별화된 색채로 통일하여 구역 범위에 대한 인지를 강화하도록 제안하였다. 이러한 색채 개선 방안 외에도 제도적 측면과 공학적 측면을 함께 살펴 개선의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하였다. 끝으로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일반 도로들도 동일한 문제점을 공유하고 있는 바, 도로안전과 도로경관은 상호작용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우리나라의 도로경관이 선진화 될 수 있도록 연구하는 계기가 되도록 기대해 본다.;Notwithstanding Korean government has expanded the child protection zoning for children's traffic safety, traffic accidents in child protecting zone seldom are reduced. Since School zone improvement project initiated in 2003, the improvements have showed a tendency to be inclined to the systems; forming traffic safety facilities on sidewalks and road, speed limit, building a parking lot, on-street parking ba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remedy at the same time recognizing where we are; with remarking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color on the perspective of planning Road-scape. This study sees the environment on the perspective of Gestalt’s vision theory which divides objective with figure and ground by reviewing literature and defines a functional color as the factor of figure and ground color as the factor of ground color. Research has been made on the selected 6 locations near by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figured out results are the same as below. Firstly, road-scape gives a disorder feeling in order to overlapped distribution of background colors as outdoor advertisements and functional color as sign and traffic signal. Especially it has been reached dangerous level that color condition distributed in the high saturation area. Secondly, It shows unclear fine line in order to usage of similar color. For example Sidewalk and driveway, nonskid pavement of a road and bicycle path, fence and bollard a factor makes difficulty to draw a fine line. Thirdly, It causes poor safety precaution by abusing high color saturation class Y with legibility and visibility and lack of reliability for information by class R with obscure criteria of using colors. Also, a remedy has been presented by reviewing research foreign case based on reasoned out problems. First of all, remarkably focusing on the visibility among the 3 properties of color, the remedy suggests that functional color uses high saturation, by contrast ground color uses low one for smooth passing and safety walking. Secondly, it suggests structural separation on facility through brightness contrast between facility and background for eye catching shape of structure itself. Thirdly, It recommends usage range of class Y as safety color need to be under control. Fourthly, it suggests that recognition for the section should be emphasized by separating signboard notices from entering to leaving School zone with other area’s one while using differentiated colors. Besides improving colors, it aims to maximize effect by improving system and engineering aspects. Lastly, as other driveways, non designated as School zone have the same problems, thus we are supposed to recognize interaction between Road Safety and Road-scape. I do hopes various coming researches for advanced road-scape are delive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