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애란-
dc.contributor.author임우재-
dc.creator임우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1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1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6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155-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현대인은 도시라는 공간 안에서 삶을 영유해 나간다. 우리가 살고 있는 작금의 시대는 자본주의 경제 발달로 인한 도시화, 예술, 건축, 과학기술 등 다양한 문화양식을 바탕으로 도시가 형성되었으며, 현재 우리는 이러한 도시 안에 연루되어 살아가고 있다. 인간을 위해 모여 만들어진 도시 공간은 현대인의 삶의 퇴적된 역사적 현실물로 건축물을 통해 압축되어 보여진다. 따라서 도시의 건축물은 현대성과 변화를 지닌 당대의 문화적 지형의 공간이라고 볼 수 있다. 대부분 도시에 사는 현대인은 살아가면서 흘러가는 시간, 공간 안에 흔적을 남기게 된다.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도시는 인간들의 집합적 기억의 장소로 그 안에서 흔적을 담고 있는 사물, 공간을 발굴해낸다.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는 시간과 공간은 경험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그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역사적, 선험적인 조건임을 전제하며 공간과 시간의 역사적 성격을 언급한다. 이러한 공간에서 사람이든, 공간이든 기억이 유지되기란 쉽지 않고, 이렇게 경험하는 다양한 방식과 개념의 범위를 규정하기란 지극히 어려운 일이다. 도시라는 장소는 사람들의 기억의 장소이자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공간으로 여러 시대의 지층이 얽혀있는 다차원적인 공간이다. 도시를 역사적 기억의 모델로 보았던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은 ‘파사주-아케이드 프로젝트’를 통해 현재 살아가고 있는 도시와 기억, 역사의 관계에 대해 서술하고 도시에 숨어 있는 기억의 흔적을 발견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렇게 집단적 과거의 흔적을 찾는 일을 ‘거리 산책’으로 규정하고, 현대인은 거리를 떠날 수 없는 공간적 존재로, 관조적 산책자로서 도시공간을 탐구하며, 도시가 가지고 있는 이중성, 다양성을 읽고 그 안의 현재성을 보존한다. 도시 안에 자리 잡고 있는 개인의 흔적과 집단적 기억은 시간의 흐름에 상관없이 뒤엉켜 있다. 이렇게 혼합된 흔적은 공간 안에서 결코 같이 있을 수 없는 여러 개의 공간들이 한 화면에 병치되는 현상을 낳게 된다. 미셸 푸코(Michel Foucault)는 이러한 변화와 변동의 가능성을 내재한 혼돈의 공간을 헤테로토피아라고 정의하고, 이를 통해 서로 상충되는 의미 충돌을 가져오지만 일관성에서 벗어난 이질적 의미의 공존에서 오는 공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의 고찰을 가져다준다. 거울이라는 매체는 현실의 재현이자 왜곡된 재현이라고 볼 수 있다. 자크 라캉(Jacques Lacan)이 말했듯이, 거울은 응시와 회귀를 반복하는 실제로 장소의 폐쇄성을 벗어난 파편화된 이미지들의 집합으로 헤테로토피아의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모습은 우리가 살아가는 도시 건축물의 파사주 거울 외벽에서 상충적인 개별공간의 혼성으로 보여지게 된다. 본인의 일련의 작업들은 여행을 통해 경험했던 도시공간에 대한 관심과 현대 도시를 구성하고 있는 건축물, 거기에 투영되는 거리모습, 풍경, 사람들의 다양한 모습들을 인지하는 시각적 경험에서 비롯되었으며, 각각의 도시의 문화와 역사가 기억과 중첩되면서 새로운 이미지의 시각적 발견을 나타낸다. 건축물의 투영과 반영이 시간성에 따라 기억이 중첩되고 왜곡되는 형상과 맥락을 같이하는 것이 본인작업의 근간을 이룬다. 현대사회에 빼곡히 들어선 건축물은 시간의 지층을 만들어내는 공간으로, 건축물에 대한 개인적인 흔적, 문화적 역사를 탐구해나감으로써 과거를 각인하고 현재를 재인식한다. 시간이 변함에 따라 건물의 경관, 머릿속에 상기되는 이미지들은 변화하게 되는데, 본인은 작업을 통해 상실되기 쉬운 도시의 기억을 기록해보고자 했고, 이를 통해 도시에 대한 개인적인 추억, 역사적인 경험, 공간에 서려 있는 기억 등을 반추하고자 했다. 당시의 현존성, 현장의 기록과 변형을 통해 시간성을 기억에 의미를 부여하고, 그 교차점으로서 건축물을 선택하여 이를 역사학적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실재와 지나가버린 시간, 즉 허상이 한 공간 안에 투영됨으로써 무한히 뻗어나가는 다의성과 도시라는 공간을 설치, 평면에 재구성함으로써 삶의 경험과 기억을 구조화하고자 했다.;Modern people today live in a space called the city. In the current era we live in, cities are formed based on various cultural styles including urbanization, art, architecture, science and technology due to the development of a capitalist economy. We are living in such a city, being implicated in it today. Urban space gathered and created for people is the product of historical reality with the accumulation of lives of modern people, and is compressed and presented in buildings. Urban buildings are thus the contemporary space of cultural topography with modernity and changes. Modern people, the majority of whom live in an urban environment, get to leave their traces in flowing time and space. Modern cities going through rapid changes are the places of people's collective memories and excavate objects and spaces containing traces in them. Immanuel Kant said that time and space do not belong to experience and are the historical and a priori conditions to enable those experiences, mentioning the historical nature of space and time. In such a space, it is not easy for people or spaces to maintain their memories.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define the scope of various methods and concept experiences in such a way. The places known as cities present a space for people's memories and nostalgia. They are multilateral spaces with the geological strata of different periods intertwined with each other. Walter Benjamin, who saw cities as the model of historical memories, described relations among cities in which people were currently living, memories, and history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iscovering the traces of memories hidden in cities through the "Passage-Arcade Project." Finding the traces of the collective past is defined as "street walk." Modern people explore urban spaces as spatial beings and contemplative walkers that cannot leave the streets, read duality and diversity in cities, and preserve its presentness. Individual traces and collective memories taking place in cities are intertwined with each other regardless of the flow of time. The traces mingled in such a way create a phenomenon of placing several spaces that cannot exist together side by side on one screen. Michel Foucault defined the space of chaos with the possibility of such changes and fluctuations as heterotopia, which brings about clashes between opposite meanings but provides a new perspective to consider the space deriving from the coexistence of heterogeneous meanings beyond consistency. The medium of the mirror is the reproduction of reality or a distorted reproduction. As Jacques Lacan once said, the mirror is the entity that repeats staring and recurrence, the collection of fragmented images beyond the closed nature of places, and the space of heterotopia. Those aspects are presented as the mixture of individual contrasting spaces on the outer mirror wall of the passage in urban buildings where we live. The investigator's works stemmed from his interest in urban spaces he experienced during travel and his visual experiences of perceiving buildings making up modern cities, streets projected into them, landscape, and diverse aspects of people, presenting the visual discovery of a new image out of overlaps between the culture and history of each city with memories. The foundation of his works is in line with the shapes in which memories are overlapped and distorted according to the projection and reflection of buildings with the passage of time. Crowded buildings in modern society are the spaces producing the geological strata of time. An investigation into the individual traces and cultural histories of buildings will help to recognize the past and re-examine the present. Building landscapes and images recalled inside the brain change according to time. The investigator aimed to record the memories of cities that could be easily lost and reflect upon personal memories with cities, historical experiences, and memories entangled in space in his works. He granted the meanings of memory to temporality through the presence of the times and the recording and transformation of the field and chose and looked at buildings as the intersecting points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He attempted to structurize the experiences and memories of life by projecting actual being and past time or false image into a space, installing spaces known as infinitely expanding polysemy and cities, and reorganizing them on a plan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도시와 건축물 5 A. 기억의 공간과 장소로서의 도시 5 B. 도시의 의미를 형성하는 건축물 9 C. 도시의 흔적과 산책자 14 Ⅲ. 기억 이미지와 헤테로토피아의 공간 18 A. 기억을 내재한 헤테로토피아 공간 18 B. 허구와 실재가 혼재하는 거울 속 공간 26 Ⅳ. 본인 작품 분석 33 A. 각인으로서 개인적 기억의 중첩 35 B. 축적된 사회적 기억의 투영 45 Ⅴ. 결론 61 참고문헌 64 ABSTRACT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5378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기억의 장소로서 도시 건축-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시각으로 경험되는 헤테로토피아의 공간-
dc.title.translatedThe city architecture as a place of remembrance : Heterotopia spaces experienced through vision-
dc.creator.othernameLim, Woo Jae-
dc.format.pageviii, 7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