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9 Download: 0

환상의 신화적 표현 연구

Title
환상의 신화적 표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ythical Expression of Illusion
Authors
맹희원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종구
Abstract
본 연구를 통해 과거의 그리스 신화를 대상으로 한 미술 작품의 전통적 표현형식을 차용하여 나의 내적 고뇌에 대한 환상이야기를 신화적 내용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수많은 신화 중에 나의 표현연구에서 중점을 둔 신화는 그리스 신화이며 환상이야기 속 요소들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존재들을 닮아 있다. 먼저 나의 환상이야기는 고통스러운 자아의 발견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러한 자아의 발견은 만화 드로잉작업을 통해 일련의 캐릭터들을 만들어 내었고 결국 이들을 내적 캐릭터라 명하였다. 이 존재들은 나의 무의식에 내재된 갈등의 산물로, 초기에는 우는 여자 표현으로 시작하여 점차 괴물의 모습을 갖추어갔다. 내적 캐릭터의 변형된 형태는 일련의 환상이야기 전개의 시발점이었다. 이 환상이야기는 세 가지로 구성되어있는데 순차적인 구성으로 <소녀와 꽃>, <쌍둥이>, <정령과 소녀>가 있다. 환상이야기는 나의 내적 갈등 상황과 나아가 외부적 환경을 은유하는 내용으로 전개되었다. <소녀와 꽃>에서 소녀가 꽃에 광적으로 집착하여 죽음을 맞이하는 내용은 고통에 대한 나의 다층적 이해를 담고 있다. 고통은 모든 것을 파괴함으로써 모든 것을 새로이 창조하는 자연의 근원적인 생산력이라는 추상적 관념으로, 우리가 몸담고 있는 세계의 본질적 원리로 꽃이라는 식물적 요소를 통해 은유되었다. 이러한 이야기는 <쌍둥이>에서 고통 자체에 내용보다 내면 갈등 상황에 대한 고찰로 초점이 맞추어졌고, 이는 모든 내적 고통의 근원을 밝히기 위함으로써 그 시발점이 결국, 통합되어지지 않는 사고와 감정들의 충돌로써 이루어진다는 내용을 은유하고 있다. <정령과 소녀>에서는 파괴적 생명력의 은유물인 식물의 요소가 사라지며 그와 동일한 의미의 상징물은 정령으로 대체된다. <정령과 소녀>의 내용에서는 보다 외부적 요인을 포함하는 내용이 나오며 그것은 정령과 정령의 둥지이다. 이 점은 내부 갈등의 원인이 통합되지 않는 감정과 사고라면 그의 원인은 외부 환경에 의거하고 있다는 것이다. 외부 환경은 인간의 욕구충족에 대한 기본적 원리를 사회 속에서 욕구에 대한 순수한 의도를 은폐시켜 거대담론 속에 개인을 고립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해는 환상이야기 속에서 정령의 둥지에 다가간 소녀와 그에 대한 좌절을 통해 은유하고 있다. 즉, 정령은 분화된 자아로써의 캐릭터를 넘어 사회를 담아내는 은유물이다. 따라서 소녀는 유약하고 유한한 존재이고, 정령은 무한하며 파괴력을 가진 존재로 둘의 대립을 통한 환상이야기가 전개된다. 이러한 환상이야기는 신화적 요소를 띄고 있는데, 이는 정령의 뱀과 같은 두 다리는 ‘라오콘’ 신화 속 라오콘과 두 아들을 잡아먹는 두 마리의 뱀을 연상시키며, 환상이야기에 나오는 식물적 요소는 ‘아폴론과 다프네’ 신화를 연상시킨다. 그리스 신화 속 내용은 신의 극적 사건에 대한 것으로, 신이라는 매우 인간적이나 그 존재의 영원성 때문에 마치 지금 현재까지도 존재할 것이라는 환상을 불러일으킨다. 이러한 요소를 통해 나의 환상이야기를 신화적 내용으로 제시하면서 그 환상을 강화시키고 극적 상황을 미화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내가 차용한 미술 형식은 과거에 신화적 내용을 주제로 한 서양근대미술 이전의 미술 작품들로, 역사화, 기념비등 이다. 이러한 장르는 다른 장르에 비해 우월한 위치를 차지하였고 미술 아카데미가 추구하는 이상적인 모델이었다. 이러한 역사화들은 도덕적인 표본으로써 영웅담과 신화를 주제로 초시간적 교훈을 전달하였다. 이는 예술작품에 권위를 부여하는 것이었고 단지 형상의 미로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다. 따라서 작품은 그 자체로 특별한 권위를 가진 것이다. 이것은 아우라로, 작품하나의 고유성과 영원성을 고양시켜주어 작품에 권위와 고유의 높은 가치를 부여한다. 따라서 과거의 미술 형식을 차용하여 에칭판화와 같이 보이는 펜화, 대리석 두상, 석고 흉상, 금도금된 두상, 청동상 등으로 제작하였다. 또한 아우라를 고취시키는 방식은 작품의 제작 방식 이외에 전시되는 방식 또한 포함한다. 회화가 벽에 걸리는 높낮이와 금색으로 채색된 액자, 투명 관으로 씌워진 좌대 등을 통해 작품의 특별한 지위를 부여한다. 이와 같이 환상이야기 속 내적 캐릭터를 고상한 예술의 형식을 통해 신격화시킴으로 사회적 존재로서 고뇌하고 고통 받는 인간에 대한 이야기를 담아내었다.;Through this study, I suggest illusion stories about my inner anguish as mythical content, using traditional expression styles of art works about past Greek mythology. My study on expression pivots on Greek mythology among a number of mythologies, and the elements in the illusion stories resemble beings appearing in Greek mythology. First of all my illusion stories were made through the discovery of my anguished self. This self-discovery made a series of characters through cartoon drawing work, and they were named inner characters in the end. These beings, outcomes of conflicts inherent in my unconsciousness, began with expression of crying women in the beginning and gradually got to have appearances of monsters. Altered forms of the inner characters were the starting point of development of a series of the illusion stories. These illusion stories are made up of three serial works, such as , , and . The illusion stories developed to metaphorical expression of my outer environment as well as inner conflict situation. In , the story that a girl was so frantically obsessed with flowers that she met her death contains my multi-layered understanding of anguish. With an abstraction that anguish is a fundamental production power of nature which newly creates all things by destroying all things, a fundamental principle of the world we are in was expressed metaphorically through a botanical element, flowers. In , this story is focused on the contemplation on the inner conflict situation rather than on anguish itself for the purpose of revealing the root of all the inner anguish. This metaphorically expresses that the starting point is made from a collision between thoughts and emotions which are not integrated. In , the botanical element, the metaphorically-expressed matter of the destructive vital force, disappears and is substituted with spirit, a symbolic icon having the meaning identical with that of flowers. has the content which contains more outer elements and which means the spirit and the nest of the spirit. This point indicates that the causes of the inner conflict come from the outer environment if the causes are thoughts and emotions which are not integrated. This is because the outer environment isolates individuals in a huge discourse by concealing fundamental principles of satisfaction of human’s needs and pure intentions of needs in society. This understanding metaphorically expresses in the illusion stories through the girl who approached the nest of the spirit and her frustration with it. That is, the spirit is a metaphorically-expressed matter containing society, exceeding a character as the fragmented self. Therefore, the illusion story develops through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girl, who is a weak and limited being, and the spirit, which is an unlimited and destructive being. These illusion stories have mythical elements. The two legs like snakes of the spirit are reminiscent of the two snakes which ate up Laocoon and his two sons in the ‘Laocoon’ myth, and the botanical element in the illusion stories is reminiscent of the ‘Apollo and Daphne’ myth. Stories in Greek mythology are about dramatic incidents of Greek gods and produce the illusion that the gods have existed up to now because of their eternity as well as humanity. As my illusion stories are suggested as mythical content through these elements, the illusion is reinforced and the dramatic situations are beautified. Therefore, the art modes I used are art works, including history paintings, monuments, and so on, about the past mythical stories, art works created before the times of the western modern art. This genre took the better position than other genres and was an ideal model the art academy was pursuing. These history paintings, as a moral example, conveyed time-transgressive lessons, having subjects of heroic tales and myths. This was what granted authority to art works and was not a limited meaning of just beauty of shapes. Accordingly, art works had special authority by themselves. As an aura, enhancing peculiarity and eternality of each work, this grants authority and inherent high value to each work. Thus, using the past art modes, I produced pen drawings looking like etchings, marble heads, plaster busts, gold-plated heads, bronze statues, and so on. Moreover, ways to imbue auras contain methods of exhibiting works as well as methods of producing them. Special status is given to art works through adjusting heights at which they are hung on the wall, gold-colored picture frames, pedestals covered with transparent tubes, and so on. Like this, deifying the inner characters in the illusion stories through elegant art modes, I expressed in my works the stories about humans agonizing and having anguish as social bei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