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은경-
dc.contributor.author이은미-
dc.creator이은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9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58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6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5817-
dc.description.abstractArt continued to grow while forming close relationship with the society as a channel that expresses the demand of the era and its paradoxes by factoring in the historical and ideological flows at all times. Among them, changes in the history and scientific advancement that took place at a juncture when the shift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20th Century had the people wish for the new format when it comes to art as well, which in term led to 'impressionism.'Impressionism destroyed the tradition and created new art to factor in the modernity, and wanted to express all the phenomena in the society in a visual and sensible manner. Towards this end, Claude Monet (1840-1926)presented the viewpoint that enabled him to turn into the series which were an existing art format into his own specialty to enable discovery of newness from the same motif. As such, the researcher applied the series format of the『Rouen Cathedral (1892-1893)』that manifes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net’s series the best in order to choreograph dance creation piece,「Dongsangyisi」.「Dongsangyisi」means you see, feel, and think differently in the same situation. Through this piece, the researcher intended to present new perspective and emotion to the viewers by ensuring that the arrangement of same motif and movement will change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ccordingly, dance creation piece,「Dongsangyisi」with series format applied was analyzed according to topic, contents, use of space on stage, movement, music, lighting, object and color imag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iece,「Dongsangyisi」is comprised of three scenes by factoring in the early morning filled with fog that signifies the nature’s flow of time just like the series,『Rouen Cathedral』 sought to convey the image of dynamic nature, afternoon with powerful sunlight and night with the sunset. Due to the flow of the piece, choreographer repeats the same movement three times in each of the scenes just like the motif found in the Monet’s series that changes according to light and weather. However, the essence of the movement itself does not change. Instead, the intention was to have the impression of visual impression change by object, clothing, lighting’s color, music tempo, appearance of another dancer and others which are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that change. Second, space configuration and movement were configured in a diverse manner by highlighting the characteristics and ambience of each scene that changes according to external environment. For the Scene 1, a restricted route that connected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tage’s center in a straight line, while movement was used to express the visual image of an early morning that is quiet and calm by using small, slow and static movements in overall. In case of Scene 2, stage is used in its entirety. Energy of the space increased as another dancer, Dancer 2 appears. As for the movement, it is the repetition of the movement that was danced during the Scene 1, but it is transformed into very fast and powerful movement, conveying the energetic image of an afternoon with powerful sunlight in a sensible manner. In the Scene 3, Dancer 2 leaves, and Dancer 1 uses the most restricted migration path alone at the center of the stage. As for the movement, it is the same one used during the Scene 1 and Scene 2, but the body’s level is lowered to the slowest tempo to carry out the movement in a heavy manner, manifesting the image of a lonesome and regretful night. Third, use of the music in this piece was limited to Debussy’s「Reverie, 1890)」 to emphasize the same movement. In case of Scene 1, however, tempo was edited to an adequately slow(Andante) tempo while it was modified to very fast tempo(Presto) in case of Scene 2. For the Scene 3, tempo was edited to very slow(Adagio). By leveraging the differences found in each of the scenes, the researcher sought to express the visual change in motif following ambience in an effective manner. Fourth, use of the color in the piece helped to ensure that the image of visual perspective in each of the chapter where same movement is repeated in a different manner. In case of Scene 1, gray cloth that symbolizes the fog was used to get covered in veil, and the psychological state devoid of pitch was depicted by illuminating against the calm scenery of an early morning with fog. Scene 2uses yellow color which symbolizes light. Dancer 2 and Dancer 1 wear vest, which is used to convey the powerful and energetic ambience of an afternoon. Scene 3uses red lighting that symbolizes sunset to convey strong sadness, to surface the emotion that was not expressed, to convey the meaning of prayer that elevates life, and to convey the ambience and the night with sunset, and its lonesome and sad sentiment. As examined above, dance creation piece,「Dongsangyisi」 has the same movement repeated in every scene, but migration path, different dancers, music tempo, object, clothing, lighting’s color and others were applied differently. As such, the visual impression that changed accordingly forms harmony with the ambience of each scene, presenting new emotion.;예술은 항상 역사적, 사상적 흐름을 반영하여 시대적 요구와 모순을 표출해 내는 통로로써 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발전해 왔다. 그 중 19세기에서 20세기로 넘어가는 역사적 변동과 과학의 발전은 예술역시 새로운 형식을 고안해야 한다는 소망을 갖게 하였고, 그 결과 ‘인상주의’라는 사조를 이끌어내었다. 인상주의는 모더니티를 반영하기 위해 전통성을 파괴하고 새로운 예술을 산출하였으며, 사회의 모든 현상을 시각적이고 감각적으로 표현하기를 원했다. 이를 위해 클로드 모네(Claude Oscar Monet, 1840-1926)는 기존에 있던 예술 형식인 연작을 자신만의 작업으로 특성화하여 동일한 모티브에서 새로움을 발견할 수 있는 시각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모네의 연작 중 그 특징이 가장 잘 드러난『루앙대성당(Rouen Cathedral, 1892-1893)』의 연작형식을 사용하여 무용창작작품「동상이시」를 안무하였고, 이 작품을 통해 동일한 모티브와 움직임의 나열이 주변 환경에 따라 달라짐으로서 보는 이로 하여금 새로운 시각과 감성이 드러나도록 의도하였다. 이에 따라 연작형식을 사용한 무용창작작품「동상이시」를 주제 및 내용, 무대 공간 사용과 음직임, 음악, 조명과 오브제 그리고 색체이미지에 따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동상이시」는 연작『루앙 대성당』이 유동적인 자연의 인상을 나타내려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자연의 시간적 흐름을 상징하는 안개 낀 이른 아침, 햇빛 강한 오후, 노을 지는 저녁의 모습을 반영하여 총 3장으로 작품을 구성하였다. 작품의 흐름 상 모네의 연작에서 같은 모티브가 빛과 날씨에 의해 변화하듯이 본 작품에서도 안무자는 동일한 동작구를 각 장마다 세 번 반복하지만, 동작의 본질은 변하지 않고 달라지는 주변 환경인 오브제와 의상, 조명의 색채, 음악의 템포, 또 다른 무용수의 등장 등에 의해 시감각적 인상이 변화하도록 의도하였다. 둘째, 공간구성과 움직임은 외적 환경에 따라 변화되는 각 장의 특성과 분위기를 살려 다양하게 구성하였는데, 1장은 무대 중앙의 상수와 하수를 직선으로 연결한 제한된 경로를 사용하였고, 움직임은 전체적으로 작고 느린 정적인 동작으로 조용하고 차분한 이른 아침의 시각적 인상을 표현하였다. 2장은 무대를 전체적으로 활용하고 또 다른 무용수2가 등장하면서 공간의 에너지가 증가된다. 움직임은 1장에서 추었던 동일한 동작구의 반복이지만 매우 빠르고 강한 움직임으로 변화시켜 햇빛 강한 오후의 활기찬 인상을 감각적으로 전달하였다. 3장에서는 무용수2는 퇴장하고 무용수1 혼자 무대 중앙에서 가장 제한적인 동선을 사용한다. 움직임은 1, 2장에서 사용된 같은 동작이지만, 가장 느린 템포로 신체의 레벨을 낮추어 무겁게 움직임을 진행함으로서 쓸쓸하고 아쉬운 저녁의 인상을 나타내었다. 셋째, 작품에서 음악의 사용은 동일한 동작구를 강조하기 위해 드뷔시의 「꿈(Reverie, 1890)」이라는 곡으로 한정하였지만, 1장에서는 템포를 적당히 느리게(Andante), 2장에서는 매우 빠르게(Presto), 3장에서는 매우 느리게(Adagio)로 편집하여 각 장마다의 차이를 통해 분위기에 따른 모티브의 시각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넷째, 작품에서의 색채사용은 동일한 동작구가 반복되어지는 각 장마다의 시감각적 인상이 다르게 드러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1장에서는 안개를 상징하는 회색 천의 사용을 통해 베일에 가려지고, 고저가 없는 심리상태를 이른 아침 안개가 드리워진 고요한 풍경에 비추어 묘사하였다. 2장은 빛을 상징하는 노랑색 색채를 무용수2의 의상과 무용수1에게 입혀진 조끼를 사용하여 오후의 강렬하고 활기찬 분위기를 불러일으켰다. 3장은 석양을 상징하는 빨강색 조명의 사용을 통해 강한 슬픔, 표출되지 않던 감정의 드러남, 삶을 고양시키는 기도 등의 의미, 그리고 석양이 드리우는 저녁의 분위기와 외롭고 슬픈 감성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무용창작작품「동상이시」는 동일한 동작구가 매 장마다 반복되어 진행되지만 동선의 사용, 무용수의 등장, 음악의 템포, 오브제와 의상, 조명의 색채 등을 다르게 사용한 결과 이에 따라 변화된 시각적 인상이 각 장의 분위기와 조화를 이루며 새로운 감성을 불러일으키게 하였다. 그리하여 이러한 시도가 앞으로 많은 안무가들에 의해 실현되어 현대인들에게 폭넓은 사고와 새로운 가치를 갖게 하는데 이바지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방법 및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6 A. 19세기 인상주의 예술의 6 1. 시대적 배경 6 2. 특징 12 B. 연작형식의 작업과정 18 1. 예술분야별 연작형식의 생성과 전개 18 2. 연작형식의 유형 및 효과 24 C. 클로드 모네의 연작『루앙 대성당 27 1. 클로드 모네의 생애와 작품 활동 27 2. 연작『루앙 대성당』의 특징 33 Ⅲ. 무용 창작작품 「동상이시」의 안무의도 38 A. 내용적 측면 38 B. 형식적 측면 40 Ⅳ. 무용 창작작품 「동상이시」에 대한 분석 42 A. 주제 및 내용 42 B. 무대 공간 사용과 움직임 45 C. 음악 67 D. 조명, 오브제, 의상의 색채 이미지 69 Ⅴ. 결론 76 참고문헌 79 ABSTRACT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656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클로드 모네 『루앙 대성당』의 연작형식을 사용한 무용창작작품 「동상이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Dongsangyisi」that Applied the Series Format of Claude Monet’s 『Rouen Cathedral』-
dc.creator.othernameLee, Eun Mi-
dc.format.pageix,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