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상미-
dc.contributor.author이소연-
dc.creator이소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9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59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6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592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무용구술기록의 현황을 살펴보는 것이다. 무용은 일회성과 순간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한 번 공연이 된 후에는 기록을 남기지 않고 사라져 버린다. 때문에 현재 남아있는 기록은 안무가와 무용수, 작품의 주제, 공연 일시 및 장소 등 단편적인 기록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이외의 기록도 무용가 개인이 직접 남긴 것이 아닌 평론가나 이론가들에 의해 기술된 기록이 대부분이다. 무용구술기록은 무용가의 구술을 통해 그들의 가치관이나 작품세계, 당시의 사회적 환경 등을 알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최근 그 필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국립예술자료원과 국립국악원, 국립문화재연구소, 국악음반박물관은 현재 무용구술기록을 수집, 관리하는 대표적인 기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의 네 기관을 중심으로 무용구술기록의 기획, 수집, 관리, 활용의 단계별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종합하여 한국 무용구술기록의 현황을 종합하여 논의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무용구술기록은 2000년대에 들어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연구를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됐으며, 구술채록사업 계획, 구술채록팀 결정, 예비조사 및 연구계획서 작성, 면담진행, 최종검토의 과정으로 이뤄지고 있다. 연구자는 전문가 집단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이 마련되어 있다. 구술자는 대부분 한국무용 전공자이며, 1920년대~1940년대에 출생했다. 또한 무용구술기록에는 구술생애사와 구술증언, 집단구술기록과 개별구술기록이 공존하며, 대부분이 생산구술기록이자 공적구술기록이다. 둘째, 수집 단계에서 무용구술기록은 구술음성기록과, 구술영상기록, 구술녹취기록의 다양한 형식으로 수집되고 있다. 또한 연구와 함께 다양한 서류를 기관에 제출하며, 기증자료도 함께 수집하고 있다. 셋째, 한국 무용구술기록의 관리방법은 기관에 따라 다양하다. 수집된 구술기록은 수장고나 아카이브실에서 보관되고, 구술자 별, 혹은 매체 별로 분류되며, 데이터베이스(DB)화 되어 관리되고 있다. 넷째, 활용 단계에서 한국 무용구술기록은 주로 기관의 웹사이트에 목록을 공개하고 단행본을 발간하며, 필요로 하는 사람이나 단체에 자료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기점으로 무용구술기록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키고 무용인의 목소리를 무용학에 끌어들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무용구술기록이 다양하게 활용되어 무용 연구 및 창작의 양과 질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새로운 무용연구의 지평을 열어 다채로운 연구를 촉진하는 데 이바지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is for the purpose of researching present state of oral record of Korean dance. Dance is disappeared without recording it any more after performing only one time, because it has the momentary character. So, only brief records such as dance director and dancer, theme of work, date and place of performance, etc. are present remained. Almost all the others besides these are to be written by critics or theorists not by dancer. The necessity of dance oral record is present recognized as making it know dancer's sense of value and work world, social conditions in those days, etc. through dancer's dictation. The representative institutions to collect and manage dance oral records are The Korean National Archives of the Arts, National Gugak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nd Korean Classical Music Record Museum. Accordingly, this study researched project, collection, management and usage states of dance oral records step by step focused on the institutions above, and then found out present state of oral record of Korean dance as putting them together. The results are follows; First, the oral record of Korean dance is projected for promoting to collect and research basic data for the first time in the 2000s. And its project is composed of planing oral recording business, deciding oral recording team, writing preliminary examination & study plan and final review course. Researchers are expert group and is ready for the curriculum for them. Also almost all the narrators majored in Korean dance, and they were born from 1920s to 1940s. Dance oral records coexist oral life history & oral testimony and group oral record & individual oral record and almost all are productive oral record and public oral record. Second, dance oral records in the collection step are collected in various forms of oral sound record, oral video record and oral recording record. Also this study submitted various documents to the institutions and collected donation materials. Third, the management method of oral record of Korean dance is various according to the institutions. Collected oral records are preserved in storage room or Archive room, classified by narrator or by medium and managed in DB. Fourth, dance oral records in the usage step are updated mainly the list on website, published in book form and used in the method to provide person or group necessary with them. This study will promote to be interested in dance oral record, be able to pull dancer's voice into Dance Studies and widen the quality and quantity of Dance Studies as making use of variously dance oral record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for promoting various studies as opening new ground leve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방법 및 제한점 5 Ⅱ. 무용구술기록의 개념 및 의미 7 A. 무용구술기록의 개념 및 유형 7 B. 무용구술기록의 의미 12 Ⅲ. 한국 무용구술기록의 현황 17 A. 국립예술자료원 17 B. 국립국악원 33 C. 국립문화재연구소 39 D. 국악음반박물관 47 Ⅳ. 결과 및 논의 60 A. 한국 무용구술기록의 기획 60 B. 한국 무용구술기록의 수집 66 C. 한국 무용구술기록의 관리 68 D. 한국 무용구술기록의 활용 70 Ⅴ. 결론 및 제언 72 참고문헌 76 부록 81 ABSTRACT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652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한국 무용구술기록의 현황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Present State of Oral Record of Korean Dance-
dc.creator.othernameLee, So Yun-
dc.format.pageviii,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