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은미-
dc.contributor.author안나영-
dc.creator안나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8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57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6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5767-
dc.description.abstract20세기 이후 고도의 산업화와 기계화로 인한 정보화 사회의 발전은 현대인에게 인류역사상 누릴 수 없었던 번영과 풍요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현대사회는 물질적으로는 인간에게 풍요로움을 가져다주었지만 정신적으로는 더 많은 문제점, 즉 인간성 상실로 인한 인간소외를 야기시켰다. 정보가 유력한 자원이 되고 미디어의 권력이 지배하는 정보사회에서 그 권력에 가까이 가지 못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사회의 중심부에서 도태되었으며, 인격적 의미에서의 개인 간 의사소통은 불가능해졌다. 조직이 거대화될수록 개인의 정신적, 도덕적 위기감은 더욱 가속화되어 현대인을 소외로 이르게 하고 있다. 이는 현대인들로 하여금 불안, 고독, 공허감 등을 느끼게 만들었으며, 나아가 현대사회의 우울증, 중독, 자살, 범죄율의 급증 등과 같은 사회적 병리현상으로 이어지는 모습을 보이며 현대사회에서 커다란 정신적 위기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현대인의 삶을 수동적이고 몰개성적으로 만드는 정보사회와 그 환경을 인지하고, 이와 같은 소외현상으로부터 벗어나 주체적인 삶의 가치와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정보화 사회의 인간소외현상을 다룬 무용창작작품「차갑게 식어가다」에 대한 분석으로 이루어진다. 현대 정보화 사회에서 나타나는 인간소외현상을 바탕으로 사회적으로 나타나는 현상과 그에 따른 심리작용을 기반으로 작품을 발전시켰으며, 사회심리학에서 다루는 인간소외의 특성에 착안하여 개인과 사회의 관계, 그리고 사회 속 개인의 모습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현대인이 물질적 풍요 속의 빈곤에서 벗어나 정신이 건강한 진정한 의미의 풍요로운 삶을 찾고 구현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작품은 개인이 정보화 사회에서 겪게 되는 인간소외현상과 그에 따른 행동과 심리적 변화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냈으며, 총 세 장으로 구성하였다. 주제 및 내용, 공간 사용 및 장면별 구성, 오브제의 이미지, 이동경로와 움직임을 중점적으로 다루어 안무하였으며, 상징적 의미의 오브제를 사용하여 무대 공간을 분할하거나 인물의 심리상태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동시에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자 하였다. 1장에서는 넘쳐나는 정보의 무조건적인 수용과 정보기기의 중독성으로 인해 점차 개인이 인간성을 상실해 가는 내용을 다루었다. 이와 같은 내용을 표현하기 위해 무대공간을 대칭적 구도로 사용하여 개인과 사회현상이 상충하는 분위기를 연출하였으며, 조명과 오브제를 사용하여 공간상의 범위를 제한하였다. 또한 오브제를 신체에 밀착시킨 낮은 자세의 슬라이드, 구르기와 같은 대각선 방향의 이동과 속도를 다르게 하여 오브제를 반복적으로 옮기는 걷기와 같은 각각의 무용수들의 의도된 움직임과 이동경로를 통해 사회와 사회 속 개인의 모습을 이미지화 하였다. 2장에서는 인간성 상실로 인해 개성과 창의성을 잃고 삶의 객체가 되어 소외, 고독, 불안, 상실감, 무력감 등과 같은 소외현상을 겪는 인간의 심리를 표현하였다. A구역과 B구역으로 한정된 공간을 설정하여 각 구역에 따라 중심적으로 다루어지는 심리표현들이 존재하게 하였으며, 무용수의 이동경로가 B구역으로 진행될수록 머리, 어깨, 팔, 다리 등 온몸을 들어 올리며 꺾는 반복된 움직임으로 소외의 심화를 나타낸다. 또한 구역설정에 따라 움직임, 조명, 오브제를 한 곳에 집중시켜 고립되는 인간상을 완성시키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소외현상을 겪고 있는 자신을 깨닫고 그것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보여 줌으로써 인간성의 재인식과 그 회복에의 희망을 품는 모습을 담아내었다. 3장은 주로 확장된 심리의 영역을 사용하였으며, 가변적이고 광범위한 공간영역의 확장을 시도하였다. 또한 작품 시작부터 하수 뒤에 세워져있던 오브제를 해체시켜 무대 중앙에 수평적 형태의 삼각형으로 나열하여 인간성이 존중되는 정보화 사회와 현대인의 건강한 융화상태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무용수A가 넓게 펼쳐진 오브제의 주위를 넘나들며 걷고, 뛰고, 신체를 터는 등의 격렬한 움직임의 특질을 사용함으로써 인간성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와 희망을 나타내었다. 연구자는 현대 정보화 사회에서 나타나는 인간소외현상과 그에 따른 인간의 심리를 무용창작작품 「차갑게 식어가다」로 작품화하여 인간성 상실과 그 회복가능성에 대한 희망적 메시지를 전하고 물질적 풍요 속의 빈곤에서 벗어나 정신이 건강한 진정한 의미의 풍요로운 삶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하였다.;Since 20th century, industrialization and mechanization have brought about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nd such a change has offered human-being more prosperity and abundance than any other time in history. Although the modern society brought us the prosperity, it also has its dark side. It also caused problems of mental illnesses, and to be specific, the loss of humanity led to human alienation. Due to the unequal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n which the power of media dominates, and the information becomes one of the strong resources, those who cannot access to such power naturally fell behind from the centre of the society, and communication between individuals in terms of humanity became impossible. As the system enlarged, the mental, moral crisis of the individuals has deteriorated and ultimately led to human alienation. As a result, people of the modern society feel instability, solitude, emptiness, and this caused social ills (e.g. depression, addiction, suicide, and increased crime rate) which are raised as a grand mental crisis of the modern society. Thus, the researcher intends to have significance of finding value and meanings of active life, apart from human alienation, by perception of the information society and its surroundings which make lives of modern people passive and uniform. The research analyzes the dance creation piece,「Cool Down Frigidly」which is based on human alienation of the modern society, and develops its story through the mental process. It has views on the features of the human alienation and shows the relations between individual and society, and further draws individuals in such socie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and achieve the true meaning of prosperous life which enjoys healthy mental. The art piece is composed of three scenes, and shows the human alienation individuals go through in the information society, and also the behaviors and mental changes of those humans. It choreographs through its theme, story, use of space, composition of scenes, image of objet d´art, movements, and routes. It intends to convey the theme and the mental state of the character through dividing the stage by installation, or objet d´art. In the first scene, it shows the process of the individual's loss humanity in itself by unconditionally accepting overflowing information and his/her addiction to information equipments. In order to express such story, it divides the stage in a symmetrical structure and directs the mood in which social phenomenon contradicts individuals. And by utilizing the light and objet d´art, it limits the range of the space. Also, it visualizes the society and individuals through intended movements and routes in this scene, such as traveling in diagonal path by low leveled slide and rolling with stuck together body-objet d´art, and walking with shifting objet d´art. In the second scene, it draws the mentality of human beings who are passive actors in their lives, without creativity or their own characteristics due to loss of humanity. Plus, it expresses the feelings these individuals go through, which is: the sense of alienation such as isolation, solitude, instability, sense of loss, helplessness. The stage is divided into two sections: section A and B. There are respective feelings for each section. And as the dancer moves towards to the section B, it expresses aggravation of human alienation by repeating twisting head, shoulders, arms and legs movements. Also, by concentrating the movement, light, and object d'art, it tries to complete the image of isolated human. In the last scene, by showing the individual's will to overcome its isolation, it draws a new understanding of humanity, and hope for its recovery. The third scene mainly utilizes the expanded mental sector, it tried to expand the changeable and widespread space. Moreover, by dissolving the object d'art which has been standing in the left side of the stage since the beginning, and by putting it in to a triangular, horizontal form in the centre of the stage, it expresses the harmony of the human beings and the information society, in which the humanity is respected. Along with this, dancer A shows individual's the will to overcome its isolation by using intense movements such as walking and running cross over the objet d´art, and shacking body parts. The researcher expressed the human alienation which is witnessed in the modern information society and the mentality of humans in such society by dance creation「Cool Down Frigidly」. The purpose of the piece is to convey the hopeful message of the loss and recoverableness of humanity, and to show importance of the true meaning of prosperous life with healthy mentality, away from poverty in the midst of plen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5 A. 정보화 사회와 인간소외 5 1. 정보화 사회의 개념 및 특성 5 2. 인간소외의 개념 및 유형 10 B. 정보화 사회의 인간소외현상 18 C. 예술작품에 나타나는 인간소외 24 1. 문학에서의 인간소외 24 2. 현대미술에서의 인간소외 28 Ⅲ. 무용창작작품「차갑게 식어가다」의 안무의도 37 A. 내용적 측면 37 B. 형식적 측면 39 Ⅳ. 무용창작작품「차갑게 식어가다」의 분석 41 A. 주제 및 내용 41 B. 공간사용 및 장면별 구성 44 C. 오브제의 이미지 52 D. 이동경로와 움직임 63 Ⅴ. 결론 88 참고문헌 90 ABSTRACT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9701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정보화 사회의 인간소외현상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차갑게 식어가다」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Cool Down Frigidly」based on Human Alienation of the Information Society-
dc.creator.othernameAn, Na Young-
dc.format.pagex,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