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은미-
dc.contributor.author고내현-
dc.creator고내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8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57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6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5700-
dc.description.abstractIn order for every individual to avoid the typical life in a society where diverse cultural elements exist, they pursue a meaningful life with many aims but not merely materialistic welfare. For individuals and others to establish a community environment, freedom and responsibility laid on the background, the new structure to bear complex relationships and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Thus, people will actively participate in the ‘the society that everybody lives together’. However, discovering the meaning in social network not only results condition of oppression but also on new liberation scheme. Egoistic people in the society wish to figure out how personal conducts can affect them as these motivate their everyday lives. It is the mental and the heart communicative action such as desire, aspiration, self-actualization, and more, that expresses externally by free will more than materialistic share. Through this process each individuals go across the fundamental human experience of solitude in diverse ways. Even though these solitudes may result mental pain, if it could change one’s schematic thought in certain circumstances, one can live a life where inner maturity is pursued as a motivating el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resembling figure, Robinson, a mythical figure, that possesses solitary characteristic to conduct an insight of isolation to allow re-acknowledgement of individual’s solitude imperfection suggesting new possibilities and in the hopes of delivering this message. The newly choreographed work「Island and Castle」(2012) is based on『Robinson Crusoe』(1719) by Daniel Defoe. The work aims to reveal the meaning of solitude based on the mythical image of Robinson in three different aspects : content, scene-specific configuration, and dancers’ moving range and the movement. This work puts great importance in the Robinson story as he resembles himself in a figure with a more complete self-interested and shaped appearance having the island presented as a symbolic place of solitude and reflection. Moreover, this dance work of solitude ; experience - remember - reflection is consisted in three chapters and the dancer expresses Robinson’s internal characteristics such as thought, feeling, symbol, hope, and more expressed out the island or the outside world. This expresses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world and the external reality of the painful experience of solitude but on one hand, it suggests an instant productive moment. In addition, with the newly constructed concept of solitude from the dancer and the relationship of objet in each different scene, shapes its life and improves relationships in a way to develop self-esteem as solitude is presented to individuals who hold these in content. In the first chapter, the content reveals an individual suffering from the absence of communication and the social ties in the complex social network with emotional unconscious, repression, and alienation. In addition, unstable movements and blue colored top lighting produces a fear and dreary atmosphere on the objet. Moreover, murmuring voices with sharp steal sound effect in the scenes portray a disconnected communication between dancers, increasing the auditory effects. Also, the dancer who is moving back to up of the right stage repletely described unstable situation with falling and rising on objet and regularity released unsafe emotion through the motion with knocking at the bottom. In the second chapter, through the individual’s repetitive experience, this recalls the memory of schematized solitude which are placed in between freedom and escapement. In addition, repetitive movements on up, right, and left stage with the dancer escaping the frame of the symbolic island illustrates and emphasizes the idea of self-direct in the social environment. Unlike the first chapter emotional transition of classical music shapes the music and the emotional solidarity movement into a curve figure. Moreover, the dancer expressed the will about changing through the movements with scrubbing or biting the dancer's body at extending the moving area on the objet. In the last chapter, the content reveals the process where an individual goes through self-reflection due to the recognition of imperfection from solitary experience. The dancer express the process and the experience of solitude where the starting point at the back right stage. As getting close to objet, the dancer offered the space of the castle for the opening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such memories of solitude have been performed through are calling scene in the up stage with the use of lighting division. The dancer who walks with sight of her back to up, right stage makes the movement sweeping the head with arms and implicitly expressed the scene of repentance. Also, expressing the chance to seize one's self reflection, the work ends with looking at upraised objet in the center of the stage. Through this analysis of the work「Island and Castle」I recognized that not merely aggressive or defensive but the inner maturity and relationships with others will recover and from the universal and inherent sensitivity of solitude, honest and a true communication would be achieved once individuals’ standard appraisal state is maintained.;다양한 문화 요소들이 혼재하는 사회에서 각 개인은 일상성에 매몰되지 않기 위해 단순한 물질적 복지를 넘어서 보다 의미 있게 살 수 있는 수많은 목표를 추구하면서 살아간다. 이에 개인은 타인과 함께 공동체적 환경을 이루기 위하여 새로운 형태의 복합적 관계 맺기와 사회화 과정을 통해서 ‘서로의 사회’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하지만 자유와 책임을 바탕으로 만들어지는 사회적 관계들은 억압의 조건이며 새로운 해방의 기획이기도 하다. 자아를 가진 사회적 인간은 자유의 행위로 이루어지는 모든 것이 자신에게 그리고 타인에게 무슨 의미가 있는지를 알고 싶어 하며 물적 나눔보다도 정신과 마음의 소통행위로서 소유욕, 열망, 자아실현욕구 등을 외적으로 표출하여 일상적 삶에 변화의 동기를 부여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개개인은 다양한 방식으로 인간의 근원적 경험인 고독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러한 고독은 정신적 고통을 불러일으키기도 하지만 스스로가 특정 상황에 대한 편향된 고독의 도식을 변화시키고자한다면 내면적 성숙을 이루게 하는 삶의 원동력으로 삼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독한 자신을 닮은 새로운 타자로서 로빈슨이라는 신화적 인물을 제시하여 고독에 대한 통찰을 제안함으로써 개인의 불완전함을 재인식시키고 새로운 가능성과 희망적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다니엘 디포(Daniel Defoe)의 소설『로빈슨 크루소』(1719)를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섬과 성(城)」(2012)에 대한 분석은 주제 및 내용, 장면별 구성, 무용수의 이동경로 및 움직임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졌으며 로빈슨의 신화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고독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찾고자 하였다. 무용작품에서 로빈슨은 자신을 닮았지만 자신보다 완벽한 자아이자 동시에 새로운 타자의 모습으로 형상화되며, 섬은 고독에 대한 사유와 성찰의 상징적 공간으로 제시되었다. 이에 무용작품은 고독에 대한 경험-기억-성찰의 내용 전개에 따라 총 세 장으로 구성되었으며 무용수는 소설에 등장하는 로빈슨의 투사체로서 로빈슨의 내면에 존재하는 생각, 감정, 표상, 소망 등을 자신으로부터 떼어내어 섬 혹은 외부 세계로 이전시킨다. 이는 내면세계와 외부 현실 간의 거리를 드러내 보여주는 고독의 경험이 고통스러우면서도 한편으로는 생산적인 순간임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각 장면마다 변화되는 무용수와 오브제의 관계는 고독의 개념을 새롭게 구축하고 있는데, 이는 자신의 삶을 형성하고 인간관계를 개선하며 자존감을 향상시키는 방식으로서 고독이 개인에게 선사하는 것들을 내용적으로 담고 있다. 작품의 1장에서는 복잡한 사회적 관계망 안에서 개인이 겪는 소통의 부재와 사회적 유대결핍을 내용으로 다루어 고독의 경험이 감정상의 억압과 소외감으로 표출되고 있음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푸른색의 탑 조명은 공포와 음산한 분위기를 이끌었으며 웅성거리는 말소리와 날카로운 쇳소리의 효과음은 소통이 단절된 듯한 무용수의 이미지 안에서 청각적 효과를 높였다. 또한 상수 뒤에서 앞으로 이동하는 무용수는 오브제 위에서 떨어지고 오르는 움직임을 반복하여 위기상황을 묘사하였으며 규칙적으로 바닥을 두드리는 움직임을 통해 불안의 감정을 이미지화하였다. 2장에서는 개인이 반복적인 경험을 통해 고독의 도식화된 기억을 상기시킴에 따라 자유와 도피의 경계에 놓여 졌음을 그려내었다. 무대 앞 상수와 하수를 반복적으로 오가는 이동 경로와 함께 섬으로 상징된 틀을 벗어나 무용수가 밖으로 이동함으로써 자기 주도적 자신이 될 것을 강요하는 사회적 환경을 묘사하였다. 1장과 달리 전자음악에서 감성적인 클래식 음악으로의 전환은 음악과 무용의 감정적 연대성을 통해 움직임을 곡선적인 형태로 변화시켰으며 무용수는 오브제와의 거리를 넓혀 신체 구석구석을 문지르거나 두드리는 움직임을 통해 변화에 대한 의지를 표현하였다. 3장에서는 고독의 경험을 통해 개인이 불완전함을 인식하고 자기 성찰에 이르는 과정을 내용으로 다루었다. 무용수는 작품의 시작지점인 상수 뒤 구역에서 고독에 대한 사유의 과정을 표현하며 무용수와 오브제와의 거리가 점차 가까워짐에 따라 개방적인 소통통로로서 성의 공간을 제시하였다. 이에 무대 뒤 조명을 분할시켜 고독에 대한 각각의 기억을 상징적으로 나타내었으며 무용수가 뒷모습으로 상수 앞까지 걸어 나올 때 양팔로 머리를 쓸어내는 움직임을 구사함으로써 회개하는 모습을 함축적으로 표현하였다. 무용수는 자기 내면을 관망하고 있음을 표현하기 위하여 무대중앙에서 오브제인 틀을 들어 올려 위를 응시하면서 작품을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자는 작품「섬과 성(城)」을 통해 공격적이고 방어적 태도에서 벗어나 내면적 성숙과 함께 타인과의 관계성을 회복할 것을 당부하며 보편적이고 원천적인 고독의 감성을 통해 스스로가 언제나 균형 잡힌 평정의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진솔한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4 Ⅱ.이론적 배경 6 A. 개인과 사회의 관계 6 B. 고독한 사회 10 1. 자유로부터의 도피 10 2. 고독의 산물 13 C. 다니엘 디포의로빈슨 크루소작품 소개 16 1. 작가 소개 및 작품의 상징적 가치 16 2. 로빈슨 크루소이해의 틀 19 Ⅲ.섬과 성(城)의 안무의도 23 A. 내용적 측면 23 B. 형식적 측면 25 Ⅳ.섬과 성(城)에 관한 분석 27 A. 주제 및 내용 27 B. 장면별 구성 32 C.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 39 Ⅳ.결론 66 참고문헌 68 ABSTRACT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2319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다니엘 디포의 소설 『로빈슨 크루소』를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섬과 성(城)」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Island and Castle」based on a novel『Robinson Crusoe』by Daniel Defoe-
dc.creator.othernameKo, Na Hyun-
dc.format.pageix,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