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희-
dc.contributor.author유수현-
dc.creator유수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6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56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5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5636-
dc.description.abstract과거에 비해 급속도로 변화하는 현대사회는 정보통신의 발달과 디지털 미디어의 보급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수많은 전쟁과 테러, 재난 등의 크고 작은 사건·사고가 발생하였고, 그로 인한 피해자들은 끔찍한 기억을 간직한 채 고통스럽게 살아가고 있다. 또한 많은 사건·사고들이 미디어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서 현대인들은 언제 자신한테 일어날지 모르는 불안감에 시달리며 삶을 살아간다. 이렇게 현대인들은 과거의 부정적인 감정을 일으킨 기억이 억압으로 인해서 무의식에 은폐되는 되는 정신적·심리적 외상, 즉 트라우마(Trauma)와 같은 정신적 불안상태에 시달리고 있다. 트라우마는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특히 정신분석학에서 트라우마는 현대인의 정신적 불안상태를 치유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트라우마는 예술분야에서 소재나 주제로 많이 사용되며, 무용창작작품 『기억의 상처』또한 이것을 소재로 하여 안무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신분석학자 프로이트의 트라우마 현상을 바탕으로 하여 본 작품을 주제 및 내용, 장면별 무대 구성,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 조명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본 작품의 주제는 현대인이 트라우마로 인해 고통스럽게 삶을 살아가지만 결국 그것을 극복해내는 긍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며, 작품은 내용에 따라 총 3장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본 작품의 1장은 무의식에 은폐된 트라우마가 그 실체를 드러내고 그 공간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것을 표현하였다. 2장은 트라우마의 기억에 대한 내용이며, 트라우마를 의식으로 전환하여 그 기억을 들여다보고 트라우마에 얽매인 모든 감정들을 표출하는 것을 표현하였다. 마지막 3장은 트라우마를 극복한 뒤의 무의식을 표현하여 트라우마 극복애 긍정적인 모습을 나타내었다. 둘째, 본 작품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적용하여 그 의미에 맞게 무대의 공간 구역을 나누어 설정하였다. 무대 전체 공간을 인간의 정신 활동으로 설정하고, 무대 바깥쪽을 ‘의식’, 무대 중심을 ‘무의식’, 무대 바깥쪽과 무대 중심을 연결하는 부분을 ‘전의식’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작품의 내용에 따라 1장과 3장에서는 ‘무의식’ 공간, 2장에서는 ‘의식’과 ‘전의식’ 공간만을 사용하였다. 셋째, 본 작품에서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은 각 장면별로 설정된 무대 공간 구역 안으로 제한하였다. 먼저 1장에서는 최대한의 이동경로와 높은 상태의 움직임을, 2장에서는 반복적인 이동경로와 움직임을, 3장에서는 최소한의 이동경로와 낮은 상태의 움직임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같은 공간에서 대비되는 이동경로와 움직임, 그리고 반복적인 이동경로와 움직임으로 의미를 강조하고자 하였다. 넷째, 본 작품의 각 장면에 맞게 설정된 공간에 따라 조명의 이미지를 다르게 사용하였다. 1, 3장은 무대 중심에 상처와 치유의 의미를 동시에 갖는 빨간색 원 모양의 탑 조명을 사용하는데, 1장에서는 트라우마의 상처를 의미하고, 3장에서는 치유를 의미하는 빨강이 사용되었다. 2장은 4개의 화이트 길 조명을 사용하고 이것이 무용수의 움직임에 따라 순차적으로 비춰지게 하였으며, 기억의 모든 것을 밝혀낸다는 의미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작품의 절정 부분에서는 모든 구역의 조명을 사용하며 작품의 분위기를 최고조로 이끄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따라서 무용창작작품 『기억의 상처』에서는 트라우마를 안고 살아가는 현대인의 모습과 그것을 극복해내는 긍정적인 모습을 동시에 표현하였다. 그래서 작품을 통해 수많은 위험에 노출되어 늘 불안에 시달리며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모습 속에서 트라우마를 극복해내는 것으로 긍정적인 미래를 나타내고자 하였다.;Fast changing modern society compared to the past played a role to promote development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and the dissemination of digital media. A good number of wars, terror and disasters occurred in these changes and victims from them are striving to live with horrible memories. Also, as many of them are repetitively exposed to media, modern people are living with anxiety that might happen to them whenever. Accordingly, our contemporaries are suffering from anxiety state such as psychological and mental external injuries, in short trauma. Furthermore it is usually concealed in unconsciousness due to suppression that brought about negative emotion in the past. Trauma had been studied in many fields and it has a great effect on healing modern people’s psychological anxiety state in Freudianism. This trauma is utilized as a material and topic in the field of arts. Especially, creative work of dance named 『Scars on Memory』 was choreographed with trauma. Therefore, this study is analyzed based on Sigmund Freud’s the phenomenon of Trauma by topic and contents, stage composition by scenes, dancer’s flow pattern and movement and the image of the lighting. First, this work‘s subject is to show that even if people go through trauma, they can finally cope with it. Also, this work is composed of three scenes by contents. This work‘s scene 1 is to reveal hidden trauma in unconsciousness as well as to express the aspect of escaping from it. Scene 2 is on the memories of trauma and the trauma can be looked into by switching trauma as consciousness also, it was intended to show up all sorts of emotions fettered by trauma. From the last scene 3, the positive aspect of conquering trauma turns up through the appearance of unconsciousness that trauma vanished. Second, this work is set up by dividing spatial area of its stage and Freud’s psychoanalysis was applied into it. The whole stage area was set as human being’s mental activity, both of the outside of stage as ‘consciousness’ and the center of the stage as ‘unconsciousness’, the area between the outside and middle of the stage as ‘preconsciousness’. Besides, ‘unconsciousness’ space is only used in scene 1 and 3 and ‘consciousness’ and‘preconsciousness’ space are only used in scene 2 by the contents of this work. Third, dancer's flow pattern and movement is restricted in set spatial area of its stage by each scene. Above all, the maximum of flow pattern and the high state of movement in scene 1, repetitive flow pattern and movement in scene 2, fianlly, the minimum of flow pattern and the low state of movement were employed. In this way, flow pattern and movement that are contrasted even in the same area and repetitive flow pattern and movement were inteded to emphasize. Fourth, the images of the lightings are differently utilized according to area properly set by each scene. Scene 1 and 3 use the red-round-typed overhead spot lighting which has the meaning of both hurt and cure. Scene 1 implies the hurt from Trauma and a red color that signifies cure was utilized in Scene 3. In Scene 2, four lightings of the road were used in Scene and it was for highlighting as in a series of dancer's flow pattern and movement to indicate everything from the memories. Lastly, at the part of climax, all lightings from all sections were used to lead to the zenith moment of this work. Accordingly, in dance creative work called 『Scars On Memory』, the appearance of the modern people who have trauma and the positive form that people overcome trauma were articulate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from the modern people who always suffer from the anxiety with a great deal of danger, the negative aspect with many problems of modern society can be seen. Furthermore, appearing positive future was intended with subjugation of traum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6 A. 트라우마(Trauma)의 이해 6 B.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9 C. 프로이트의 트라우마 현상 13 1. 트라우마 형성과정 13 2. 트라우마로 인한 히스테리 15 3. 트라우마로 인한 히스테리 치료 17 D. 타예술에 나타난 트라우마 특징 20 Ⅲ. 안무의도 23 A. 내용적 측면 23 B. 형식적 측면 25 Ⅳ. 무용창작작품 『기억의 상처』에 관한 분석 27 A. 주제 및 내용 27 B. 장면에 따른 무대 구성 30 C.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 34 D. 조명의 이미지 52 Ⅴ. 결론 61 참고문헌 64 ABSTRACT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6097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지그문드 프로이트의 트라우마 현상을 적용한 무용창작작품 『기억의 상처』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Scars on Memory』Applied the Sigmund Freud's Trauma Phenomenon-
dc.creator.othernameYoo, Soo Hyun-
dc.format.pagex,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