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희-
dc.contributor.author양채민-
dc.creator양채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6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56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5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5689-
dc.description.abstractDream is that an ideal embedded potentially in a person becomes an image and appear on the basis of experience in his or her life. Besides, even though it is not visible, dream is really existing space, which does not have limitation and can expand infinitely, and has future-oriented characteristics. However, human beings are obsessed only with what they can see in reality and what is seen to others, and they neglected dream. Accordingly, they got to lose their own characters. In this situation, Carl Gustav Jung (1875∼1961) recognized that dream is an important means for human beings to find true themselves residing in their inner side, and he mentioned the importance of dream. Hereupon,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dream presented in Jung’s analytical psychology, this study analyzed the subject and content of the work, stage composition for each scene, moving paths and movements of dancers, and the relationship among dancers according to images of stage lighting. First, the subject of this work is that human beings clinging to reality are making constant efforts to find lost true themselves through dream. This work is comprised of three scenes according to its content. The first scene displays that people stick to how they are seen to others in reality and are indifferent to inherent true themselves. The second scene expresses that people dream to find true themselves embedded in their unconsciousness and discover the existence of themselves displayed symbolically. Lastly, converting to another dream, the third scene shows a positive aspect of people consistently seeking themselves. Second, applying Jung’s analytical psychology, I divided the stage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s and set up the colors of the stage lighting differently. Then, to visualize this, I used the shape of lighting unified into one road shape and changed colors to avoid monotony. I established the stage whole space as human beings’ whole spirit. Then, in accordance with content of the work, I used white lighting to express space of reality in the first scene. In the second scene, I used violet lighting to signify space of dream contrasting reality and tried to distinctly divide the two spaces. In the third scene, in order to emphasize the space which has a meaning of an overlap of reality and dream, by using deeper violet lighting, I symbolically expressed mental structure of human beings. Third, I classified moving paths and movements of dancers by scenes and limited the paths and movements to the inside of the established stage space. In the space, using gradually expanding movements and moving paths mainly in the straight line, I tried to emphasize the meanings. I showed the moving paths and movements which contrast with one another in the same space, using minimum moving paths and mainly upper body movements in the first scene, moving paths expanded along with the edges of stage and movements gradually expanding from low postures to high posture in the second scene, and moving paths crossing the center of stage and movements gradually stably changing in the third scene. Lastly, I expressed differently the relationships among dancers in accordance with the stage space set up according to each scene and with images of stage lighting. In the first scene, only the dancer A, who is the main body living in reality, appeared, and so causes of internal conflicts of human beings were not expressed. However, in the second and third scene, as the space of reality and the space of dream were divided, the dancer B appeared as the dancer A’s other self. The diagonal composition which arranges dancers in down stage and up stage and the horizontal composition in the center of the stage were used. Then, the distance relationships among dancers were expressed through these compositions. Maximizing the roles of dancers like this, I presented symbolically the distance relationship between reality and dream. Consequently, i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Dreaming in the Dream』, I expressed one character of human beings who are losing inherent themselves as clinging to reality and another character of human beings who are discovering true themselves through dream. Through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Dreaming in the Dream』, I, the researcher, tried to point out the problems of human beings indifferent to themselves embedded in their inner side in reality and to present the positive future with human beings constantly striving to discover themselves in the space of dream.;꿈은 인간의 생활 속 경험을 바탕으로 자기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이상이 이미지화되어서 드러나는 것이다. 그리고 눈에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지만 실제로 존재하는 공간이며, 한계를 가지지 않고 무한한 발전이 가능한 공간으로 긍정적인 미래지향적 특성을 가진다. 하지만 인간은 현실의 눈앞에 보이는 것과 타인에게 보여지는 모습에만 집착하며 꿈을 소홀히 하였고 이에 따라 본연의 자기 모습을 잃어버리게 되었다. 이러한 현실에서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 1875∼1961)은 꿈을 인간의 내면에 자리한 진실된 자기를 찾을 수 있는 수단으로 인식하고 그 중요성을 이야기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융의 분석심리학에 나타난 꿈의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본 작품을 첫째는 주제 및 내용, 둘째는 장면별 무대 구성, 셋째는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 넷째는 조명의 이미지와 무용수의 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주제는 현실에 집착하며 살아가는 인간이 꿈을 통해 잃어버린 본연의 자기를 찾고자 끊임없이 노력하는 긍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작품은 내용에 따라 총 3장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1장은 현실에서 남에게 보여지는 모습에만 집착하고 내면의 본래 나에게는 무관심한 것을 표현하였다. 다음 2장은 무의식에 잠재되어 있는 진정한 나를 찾기 위해 꿈을 꾸고, 상징적으로 드러난 자기의 존재를 발견하는 것을 표현하였다. 마지막 3장은 또 다른 꿈으로의 전환을 통해 계속적인 자기 탐색의 긍정적인 모습을 나타내었다. 둘째, 융의 분석심리학을 적용하여 그 의미에 맞게 무대의 공간을 구분하고 조명의 색을 다르게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시각화하기 위해서 조명의 모양을 하나의 길 모양으로 통일하여 사용하는 반면, 색채의 변화를 주어 단조롭지 않게 하였다. 무대 전체 공간을 인간의 전체 정신으로 설정하고, 작품의 내용에 따라 1장에서는 ‘현실’의 공간을 표현하기 위해 무대 뒤에 화이트의 길 조명을 사용하였다. 다음 2장에서는 무대 앞에 ‘현실’의 공간에는 화이트 길 조명을, 무대 뒤에 ‘꿈’의 공간에는 바이올렛 길 조명을 사용하여 공간을 명확히 구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3장에서는 현실과 꿈이 겹쳐져 중첩적 의미를 가지는 공간을 강조하기 위해 무대 중간에 더 짙은 바이올렛 길 조명을 사용하여 인간의 정신구조를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셋째,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은 각 장면별로 구분하여 설정한 무대 공간 안으로 제한하고 그 공간 안에서 점차 확대되는 움직임과 직선 위주의 이동경로를 사용하여 의미를 강조하고자 하였다. 1장에서는 최소한의 이동경로와 상체중심의 움직임을, 2장에서는 무대의 가장자리를 따라 확대된 이동경로와 낮은 자세에서 높은 자세로 점점 확장되는 움직임을, 3장에서는 무대 중앙을 가로지르는 이동경로와 점차 안정적으로 변하는 움직임을 사용하여 같은 공간에서 대비되는 이동경로와 움직임을 보여주었다. 넷째, 각 장면에 맞게 설정된 공간과 조명의 이미지에 따라 무용수의 관계가 다르게 표현되었다. 먼저 1장에서는 현실을 살아가는 주체인 무용수A만 등장하여 내적 갈등을 일으키는 것이 무엇인지 표현하지 않았다. 하지만 2장과 3장에서는 ‘현실’의 공간과 ‘꿈’의 공간을 구별함에 따라 무용수A의 분신으로 무용수B가 출연하였다. 그래서 무용수A와 무용수B를 무대의 앞과 뒤에 배치하는 대각선구도와 무대 중간에서 수평구도를 사용하였고, 이때 무용수들의 변화하는 시선을 통해 무용수간의 거리관계가 표현되었다. 이렇게 무용수들의 역할을 극대화시킴으로써 현실과 꿈의 거리관계를 상징적으로 나타내었다. 따라서 무용창작작품 『꿈에서 꿈을 꾸다』에서는 현실에 집착하면서 내면에 자신을 잃어가는 인간의 모습과 꿈을 통해 진정한 자기를 찾고자 하는 인간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자는 무용창작작품 『꿈에서 꿈을 꾸다』를 통해 현실에서 인간이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자신에게 무관심한 모습의 문제를 지적하고, ‘꿈’이라는 공간에서 끊임없이 자기를 발견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긍정적인 미래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3 Ⅱ. 융 심리학에서의 꿈 인식 4 A. 융의 분석심리학의 개념 4 B. 꿈에 대한 견해 9 1. 꿈의 중요성과 기능 9 2. 꿈의 원형과 상징 10 C. 꿈과 자기실현의 관계 12 l. 자기실현의 개념 12 2. 꿈의 분석을 통한 자기실현의 과정 13 D. 꿈과 예술 창조의 연관성 20 Ⅲ. 안무의도 22 A. 내용적 측면 22 B. 형식적 측면 24 Ⅳ. 무용창작작품 『꿈에서 꿈을 꾸다』에 관한 분석 26 A. 주제 및 내용 26 B. 장면에 따른 무대 구성 28 C.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 34 D. 조명의 이미지와 무용수의 관계 55 Ⅴ. 결론 64 참고문헌 67 ABSTRACT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3325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C. G. Jung의 꿈 인식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꿈에서 꿈을 꾸다』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Dreaming in the Dream』through the Dreams Recognition by C. G. Jung-
dc.creator.othernameYang, Chae Min-
dc.format.pagexi,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