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기숙-
dc.contributor.author김정은-
dc.creator김정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6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0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5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098-
dc.description.abstract극장에서의 무용공연은 정해진 시간과 공간 속에서 신체의 움직임과 소품, 무대장치 등의 시각요소와 음악, 소리 등의 청각요소 등을 통해서 안무가의 사상과 의도를 표현하는 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극장무용은 시․공간적인 제약과 인간의 신체가 가진 한계로 인해 표현이 제한된다. 극장무용의 이러한 한계를 극복해 보고자 비디오댄스라는 새로운 양식의 예술이 등장하였다. 비디오댄스는 가상공간을 상정하여 무대라는 한정된 공간이 가진 시·공간적인 제약을 극복 할 수 있는 방식의 예술이다. 또한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가상의 몸을 탄생시킴으로써 무용수의 신체적 한계를 극복하여 보다 자유로운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자는 무용공연에서 느낀 시․공간적이고 신체적인 한계로 인한 표현의 갈증을 해소하기위해 비디오댄스 작품 <Nightmare>를 창작하였다. 본 연구는 영상편집기법을 사용하여 창작한 <Nightmare>를 분석하여 확장된 표현영역을 연구 한 것이다. 즉, <Nightmare>에서 시·공간적 제약과 신체적 한계를 극복한 것에 대해 분석하고 또한 본 작품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의미체계를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디오댄스에 대한 개념과 성립 배경 및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국내외의 관련 논문과 서적 등을 기반으로 문헌연구를 하였다. 그리고 비디오댄스 <Nightmare>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비디오 작품분석법을 통합적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디오댄스 <Nightmare>는 가상공간에서 다양한 영상 편집기법을 사용하여 극장무용의 시·공간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었다. 또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신체를 복제, 합성, 확대, 축소하는 등의 기법을 통해 가상의 몸을 창조함으로써 신체적 제약을 극복하였다. 이렇게 <Nightmare>는 극장에서 공연한 무용작품 보다 본 안무자가 표현하고자 했던 주제, 내용, 감정들을 보다 더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표현 영역의 확장을 위해서 보다 다양한 비디오댄스의 방식이 연구되어지기를 바란다.;Dance performance in the theater can be called the arts to express dance director's thought and intention through movement of body, properties, stage setting, etc. in the fixed time and space. But a dance in the theater is restricted its expression depending on spacial․temporal extension and boundary in human body. New type of the arts called an video dance came out to overcome these restrictions. An video dance is the arts of a type possible to overcome spacial․temporal extension which the restricted space called a stage has as establishing a pseudo-stage. And it is possible to make more free expressions because of overcoming physical boundary of dancer after establishing a pseudo-body as making use of technology. This researcher created an video dance work <Nightmare> to satisfy the desire to expression depending on spacial․temporal and physical boundary felt from dance performance.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xpression area widened after analyzing the work <Nightmare> created as making use of the video-editing-method. That is, this is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for overcoming spacial․temporal extension in the work <Nightmare> and physical boundary and exploring the original meaning-system this work has. This study researched the literature based on articles and books at home and abroad for reviewing the concept, establishment background and character of an video dance. This study used Video work analysis method for analyzing an video dance <Nightmare>. The result from this study is follows; An video dance <Nightmare> could overcome spacial․temporal extension after reframing time and space as making use of various video-editing methods in a pseudo-space. And physical expressions could be enlarged after creating a pseudo-body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reproduction, composition, enlargement and reduction of body as making use of technology. So, an video dance <Nightmare> could express more richly the subject, content and feelings this researcher tried to express than those of dance work <Nightmare> performed in the theater. This study could confirm that a space of dance performance is widened to the pseudo space through technology beyond the category called a 'stage' conventionally. This researcher expects to be studied various methods of an image dance for widening the expression area through this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연구 방법 및 절차 4 D. 용어 정리 6 Ⅱ. 이론적 고찰 8 A. 비디오댄스의 개념 8 1. 비디오댄스의 성립배경과 개념 8 2. 비디오댄스의 유형과 발전과정 12 B. 비디오댄스의 특성 19 1. 공간적 특성 19 2. 시간적 특성 21 3. 신체적 제약의 극복 23 Ⅲ. <Nightmare>의 창작과정에 대한 분석 25 A. 안무의도 26 B. 비디오댄스의 장면구성 27 C. 편집 기법을 기반으로 한 의미 분석 30 Ⅳ. 결과 및 논의 67 A. 공간의 자율성에 따른 표현영역 확장 67 B. 시간적 조작에 따른 표현영역 확장 69 C. 신체적 제약의 극복에 따른 표현영역 확장 70 Ⅴ. 결론 73 참고문헌 76 ABSTRACT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572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비디오댄스 <Nightmare>에 나타난 표현영역 확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xtension of the E-pression Area Through Video Dance <Nightmare>-
dc.creator.othernameKim, Jung Eun-
dc.format.pageviii,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