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2 Download: 0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정서조절능력이 학령기 남녀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정서조절능력이 학령기 남녀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Emotion Regulation on Problem Behavior
Authors
안효민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도현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남녀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및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남녀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이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 및 인천 소재 2곳의 초등학교 4, 5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아동 248명(남아: 124명, 여아: 124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은 Eisenberg, Fabes, & Brenzweig(1990)의 CCNES(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Scale)를 김희정(1994)이 번안한 척도를,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은 Shields와 Cicchetti(1995, 1997)가 개발한 ERC(Emotion Regulation Checklist)를 김지윤(2007)이 번안한 척도를 아동보고용으로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아동의 문제행동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개발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설문지(2004) 중 문제행동 문항들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과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산출을 하였으며, 단순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아동의 경우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해 어머니가 비지지적으로 반응할수록 내면화 문제행동을 많이 보였으며, 어머니가 지지적 반응을 더 보이고 비지지적 반응을 덜 보일수록 외현화 문제행동을 덜 보였다. 아동의 성에 따라 살펴보면, 어머니가 비지지적으로 반응할수록 남녀 아동은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더 많이 보였다. 둘째, 전체 아동의 경우 적응적 정서조절 수준이 낮을수록, 불안정/부정적 정서를 많이 경험할수록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더 많이 보였다. 성에 따라 살펴보면, 적응적 정서조절 수준이 낮을수록, 불안정/부정적 정서가 높을수록 남아는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더 많이 보였으며, 불안정/부정적 정서가 높을수록 여아는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더 많이 보였다. 셋째, 전체 아동의 경우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과 비지지적 반응이 높을수록 적응적 정서조절이 높았으며,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이 높을수록 불안정/부정적 정서를 많이 경험하였다. 성별로 살펴보면,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이 높을수록 남아의 적응적 정서조절이 높았으며,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이 높을수록 남아의 불안정/부정적 정서가 높았다.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과 비지지적 반응이 높을수록 여아의 적응적 조절이 높았으며,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이 높을수록 여아의 불안정/부정적 정서는 높았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적응적 정서조절은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과 전체 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으며, 아동의 불안정/부정적 정서는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과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아의 불안정/부정적 정서는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과 내면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고,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과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여아의 적응적 정서조절은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과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여아의 불안정/부정적 정서는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과 내면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고, 비지지적 반응과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환경적 요인인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개인 내적 요인인 정서조절능력을 함께 고려하였으며, 어머니의 반응이 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적 역할을 발견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이 남녀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발견함으로써, 아동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정서조절 프로그램과 같은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함을 강조하였다.;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problem behavior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between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 A total of 248 4th- and 5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124 boys and 124 girls) in Gyeonggi-Do and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re were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questions on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problem behavior. All questionnaires were rated by children themselve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correlations, and simple/multiple regres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supportive reactions to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were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mothers' nonsupportive reactions were positively related to bo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For both boys and girls, children who received more nonsupportive reactions from their mothers displayed mor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Second, children's adaptive emotion regulation as well as lability/negativit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children's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 behaviors. As children had higher levels of adaptive emotion regulation and lower levels of lability/negativity, they showed mor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ere were also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problem behavior. For boys, both adaptive emotion regulation and lability/negativ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 contrast, for girls, only lability/negativ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ird, mothers' supportive and nonsupportive reactions were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adaptive emotion regulation. Mothers' nonsupportive reactions were only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lability/negativity. For boys, mothers' supportive reactions were positively related to boys' adaptive emotion regulation and nonsupportive reactions were positively related to lability/negativity. For girls, mothers' supportive and nonsupportive reactions had positive effects on girls' adaptive emotion regulation and mothers' nonsupportive reac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girls' lability/negativity. Finally, children's adaptive emotion regul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mothers' supportive reactions and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while children's lability/negativ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mothers' nonsupportive reactions and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For boys, children's lability/negativity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nonsupportive reactions and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nonsupportive reactions and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For girls, adaptive emotion regul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mothers' supportive reactions and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Girls' lability/negativ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mothers' nonsupportive reactions and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full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mothers' nonsupportive reactions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his study considered both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s an environmental factor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s a personal factor in explaini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This study found that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had indirect effects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 through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Findings from this study emphasize that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such as emotion regulation program is imperative in order to reduce children's problem behavio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