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욱-
dc.contributor.author이선영-
dc.creator이선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5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1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5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189-
dc.description.abstract한국사회는 다양한 국책사업과 노사 대립으로 공공갈등이 폭발적으로 발생하고 갈등에 따른 막대한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공공갈등은 이해관계나 가치의 충돌, 사실에 대한 인식 차이, 의사소통의 부족 등의 원인으로 해결하기가 어렵고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원인에 따라 공공갈등 해소에 관한 연구가 여러 분야에서 수행되고 있다. 연구들은 주로 공공갈등 사례연구나 비교분석을 통해 갈등해결을 위한 대안제시에 중점을 두거나 제도개선 및 공공갈등 해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나열하는 방식에 집중하여 왔다(임동진, 2010). 하지만 갈등이 합리적으로 해결되기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 중심의 관점에서 갈등 이해관계자의 인식 변화나 반응을 살펴 합의형성에 의한 문제해결을 시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갈등 상황에 처해있는 다양한 공중들이 갈등 이슈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어떤 커뮤니케이션 행동 특성의 협력태도를 가지는지 갈등 유형에 따라 살펴봄으로써 정부가 전략적인 공공갈등 관리를 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갈등해소를 위한 목표 공중을 확인하고 세분화하여 그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Grunig의 상황이론(Situation Theory)을 활용하였다. 또한 그동안 갈등연구에서 많이 다루어 지지 않았지만 최근 상황결정 이론(Contingency Theory)에서 중요하게 언급되고 있는 갈등 상황 변수인 부정적 감정 반응을 공중의 인식 및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조절변인으로 상정하였다. 연구는 일반 공중을 500명을 대상으로 공공갈등 유형에 따른 시나리오를 작성해 설문조사 형태의 실험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는 갈등 유형의 특성에 관한 논의이다. 본 연구는 공중의 인식을 알아보기에 앞서 많은 공공갈등 가운데 이론적으로 유형을 나눌 수 있는 공공갈등을 선정하여 갈등 유형별 협력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가치갈등보다 이해갈등 상황에서 행동을 기반으로 하는 협력태도 또는 수사를 기반으로 하는 협력태도에 가장 높은 수용도를 보였다. 이는 가치나 신념이 중요한 가치갈등보다 이익의 분배가 중요한 이해갈등에 대해 정부와 협력할 의지가 더 크다는 설명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둘째는 공중유형의 특성에 관한 논의이다. 본 연구는 공중의 상황 인식에 따라 공중을 세분화 했을 때 공중유형별로 협력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문제 인식을 낮게 하고 제약 인식을 낮게 하는 일상 행동 공중이 운명 행동 공중이나 한계 행동 공중보다 정부에 대한 행동기반 협력태도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문제 인식과 감정 반응의 특성에 관한 논의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황 인식을 측정하는 문제 인식과 제약 인식 항목을 따로 나누어 각 항목마다 협력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별도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문제 인식은 행동기반 협력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제약 인식은 수사기반 협력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문제 인식과 감정 반응의 상호작용을 밝혀냈다. 이처럼 본 연구는 공공갈등 상황에서 갈등해소의 한 차원으로 볼 수 있는 정부에 대한 협력태도에 미치는 커뮤니케이션 요소 가운데 갈등 유형, 공중유형, 문제 인식, 감정 반응에 대한 고려가 의미 있게 작용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또한 연구 결과에서 갈등 유형, 공중유형간의 상호작용이나 감정 반응에 대한 조절효과가 유의미 하지는 않았지만 각 커뮤니케이션 요소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특히 감정은 문제 인식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문제 인식과 감정의 상호작용을 고려해 공공갈등을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시나리오를 통해 공공갈등 상황을 가정한 만큼 타당도 면에서 많은 한계점이 있다. 하지만 갈등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그동안 시도하지 않았던 공중을 세분화하고 감정적 요인까지 고려한 점, 이러한 점이 국민을 이해하고 소통을 증진시킴으로써 정부의 정책 협조와 동의를 이끌어 내는데 의미 있게 작용할 수 있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In the Korean society, public conflicts due to various national projects and labor and management confrontation are explosively occurring, and the enormous social expense has been increasing because of conflicts. According to the study, it is under the situation that public conflicts are difficult to resolve due to the causes such as a conflict of an interest or value, difference in recognition about a fact, and lack of communication and become more serious. According to such causes, studies about solutions to public conflicts have been performed in various fields. Studies have been focusing on presenting alternatives mainly through case studies of public conflicts or comparison analyses or the method which lists elements which affect on the system improvement or public conflict resolution (Yim, Dong Jin, 2010). However, for a conflict to be rationally resolved, it is very important to try a problem solution according to the agreement formation by examining the recognition change or response of a person concerned in a conflict from the viewpoint of communication-focused. Therefore, in this study, I tried to help the government to manage public conflicts strategically by examining how various publics who are under the public conflict situation recognize an issue and what kinds of cooperation attitudes of communication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ey have according to conflict types. To do this, I used the situation theory of Grunig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by confirming target publics for conflict resolution and subdividing them. Also, I postulated the negative emotional response which is the conflict situation variable which was not dealt in the conflict study so far but is referred importantly in the contingency theory recently as an important controlling variable which affects on the recognition and judgement of the public. The study prepared scenarios according to the public conflict types aiming 500 general publics and was progressed as a experimental study in the form of a survey. And the meaningful result was deducted in terms of 3 major aspects. First, it is the discussion about characteristics of the conflict types. This study selected public conflicts which can be theoretically divided into types among many public conflicts before inquiring the recognition of the public and examined the effect on cooperation attitudes for each conflict type. As a result, it showed the highest acceptability of a cooperation attitude based on an action or a cooperation attitude based on an investigation under the situation of an interest conflict rather than the situation of an value conflict. This is the result which is in accordance with the explanation that the will to cooperate with the government larger for an interest conflict which the distribution of interests is important than for a value conflict which the value or belief is important. Second, it is the discussion about the characteristic of public types. This study examined if there is a difference in cooperation attitudes per public type when subdividing the public according to the situation recognition of the public. As a result, the daily activity public who lowers the problem recognition and restriction recognition is more active in action based cooperation attitudes toward the government than the destiny activity public or limitation activity public. Finally, it is the discussion about the problem recognition and feeling response. In this study, I divided items of problem recognition and restriction recognition which measure the situation recognition separately and individually examined the effect of each item on cooperation attitudes. As a result, it could be learned that the problem recognition affects on an action based cooperation attitude and the restriction recognition affects on an investigation based cooperation attitude. Like this,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 consideration about types of conflicts, types of the public, problem recognition, and feeling response among communication elements which affect cooperation attitudes toward the government which could be seen as one level of conflict resolution under the situation of public conflicts can work meaningfully. Also, in the result of the study, it show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ypes of conflicts and types of the public or the controlling effect for feeling response was not meaningful, but they perform a role as an each communication element. Especially, because feelings are affected according to the problem recognition, it is effective to manage public conflicts by consider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roblem recognition and feelings. This study has many limitation in terms of validity because it assumed public conflict situations through a scenario. However, there is a meaning that the fact that it subdivided the public and considered feeling elements which conflict communication studies did not try so far can lead the policy cooperation and agreement of the government by understand people and increasing communi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 Ⅱ. 이론적 논의 4 A. 공공갈등 유형과 공공갈등관리 4 1. 공공갈등 개념 및 공공갈등 유형 4 2. PR측면에서의 공공갈등관리 8 B. 공중의 상황 인식 9 1. Grunig의 상황이론(Situation theory)과 공중세분화 9 2. 상황이론의 발전 및 한계 16 C. 공중의 협력태도 18 1. 갈등해소로서의 협력 18 2. 갈등 유형, 상황 인식과 협력태도와의 관련성 20 D. 공중의 감정 반응 21 1. 갈등상황에서 감정(Emotion)의 역할 21 2. 감정 반응의 조절효과에 관한 선행연구 25 Ⅲ. 연구문제 및 가설 30 Ⅳ. 연구 방법 32 A. 연구 설계 32 1. 갈등 유형에 따른 이슈 선정을 위한 사전조사 32 2. 실험 연구대상 및 시나리오 작성 34 B. 조사 대상 및 설문지 구성 38 C. 주요 변인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방법 39 1. 갈등 유형 39 2. 상황 인식 41 3. 감정 반응 42 4. 협력태도 44 D. 자료 분석방법 45 Ⅴ. 연구 결과 46 A. 기초 자료 분석 결과 46 1. 조사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6 2. 신뢰도 검증 48 3. 데이터의 선별 49 B. 연구문제의 검증 50 1. <연구문제1>의 검증 50 2. <연구문제2>의 검증 54 Ⅳ. 결론 66 A. 결과의 요약 및 논의 66 B. 연구의 한계 및 제언 71 참고문헌 73 부록 86 Abstract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274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공공갈등 이슈에 관한 갈등 유형, 상황 인식이 정부에 대한 공중의 협력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감정 반응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Conflict Types and Situation Recognition related to Public Conflict Issues on the Cooperation Attitudes of the Public toward the Government : Focusing on the Emotional Response Controlling Effect-
dc.creator.othernameLee, Sun Young-
dc.format.pageix, 9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