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영애-
dc.contributor.author서지희-
dc.creator서지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2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4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5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414-
dc.description.abstract비현실적 낙관이란 사람들이 미래 사건이 발생할 가능성을 판단할 때 자신의 미래가 더 긍정적이고, 덜 부정적일 것이라 예측하는 경향이다(Weinstein, 1980). 이 낙관은 우리가 긍정적인 미래 사건을 원하여 그 가능성을 높게 예상하고, 부정적인 미래 사건을 원하지 않아 그 가능성을 낮게 예상한다는 일종의 희망적 사고(Wishful thinking)이다. 비현실적 낙관을 설명할 때 고려되는 인지 기제는 초점주의(focalism)와 자기중심성(egocentrism)이다. 타인이 아닌 자신에게 초점을 두고 정보처리를 하여 자신과 관련된 정보에 따라 사건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기 때문에 비현실적 낙관이 발생한다. 즉, ‘자신’에게 초점을 두고 ‘타인’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비현실적인 낙관이 일어난다. 또한 개인의 선호는 바라는 결과와 관련된 항목에 초점을 두게 하고, 강화된 초점주의는 해당 결과를 낙관적으로 보게 한다(Krizan & Windschitl, 2007). 구체적으로 초점주의는 자신에 대한 증거가 긍정적일 때 비현실적인 낙관을 크게, 부정적일 때 감소시킬 것이다. 본 연구는 미래 사건에 대한 선호가 강할 때 자신이 가진 증거의 평가에 따라 비현실적 낙관이 달라지는 여부를 검토한다. 실험 1은 긍정적인 사건 20개와 부정적인 사건 20개의 미래 사건을 택하여, 비현실적 낙관이 관찰되는지를 확인하고, 비현실적 낙관과 사건 특성들과의 상관관계를 보았다. 또한 각 20개의 사건에서 선호(불호)가 강한 사건들 3개와 선호(불호)가 약한 사건들을 각각 3개씩 선정하여 선호 강도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 2는 참여자로부터 자신이 가진 각 사건의 발생과 관련한 증거 평가를 수집하여 선호 강도와 증거 평가 간의 상호작용을 검증하였다. 실험 1에서 비현실적 낙관이 관찰되었으나, 일부 사건에서 비관도 발견되었다. 이는 비현실적 낙관이 사건이나 참여자에 따라 달리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긍정적 사건에서는 비현실적 낙관과 사건 특성들 간에 이전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상관관계가 발견되었으나, 부정적 사건에서는 다소 다른 결과들이 발견되었다. 선호의 효과는 긍정적 사건에서 희망적 사고와 일치하는 방향이었으나, 부정적 사건에서는 그 반대로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비현실적 낙관이 희망적 사고의 발현이라는 입장을 지지하지 않는다. 실험 2에서는 증거 평가의 주효과가 발견되었으나, 선호 강도의 주효과 및 선호 강도와 증거 평가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두 실험 결과는 비현실적 낙관에 미치는 선호의 영향이 희망적 사고와 일치하지 않음을 보였다. Krizan과 Windschitl이 제안한 선호와 증거 평가 간의 상호작용 역시 발견되지 않았다. 특히 증거 평가가 비현실적 낙관에 일관되게 영향을 주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사람들은 미래 사건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때, 그 나름의 증거를 찾고 이를 근거로 판단하는 것 같다. 이때 증거 평가 역시 초점주의와 자기중심성에 의해 자신과 관련한 증거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비현실적 낙관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The unrealistic optimism is the tendency that people predict that their future would be more positive and less negative when they estimate their own chance of experiencing future life events. This optimism is kind of wishful thinking that people predict the chance more highly because they want positive future events, and predict the chance more lowly because don't want negative future events. The focalism and egocentrism is the cognitive mechanism which can explain the unrealistic optimism. People tend to process the information about their own more than about average person and it makes the unrealistic optimism. That is, the unrealistic optimism happen because people focus 'them-selves' and don't consider sufficiently the other person. Also individual's preference makes people focus desirable outcome more, and this intensified focalism increases the unrealistic optimism. Specifically, focalism would increase the unrealistic optimism when their own evidence is positive, and decrease the unrealistic optimism when their own evidence is negative. This research examined that whether their own evidence evaluation let the unrealistic optimism change or not when people have the high preference to the future events. The unrealistic optimism was found generally in experiment 1, however, pessimism was found too in some events. This suggests that the unrealistic optimism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events or subjects. In positive events, there were correlation coefficients which were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between the unrealistic optimism and event characteristics, whereas In negative events, there were some kind of different results. In positive events, the preference effect was consistent with wishful thinking but in negative events, the preference effect was the opposite way round. This result dose not support the idea that the unrealistic optimism is wishful thinking. In experiment 2, the evidence evaluation's main effect was found, however, the preference's main effect and the interaction two factors were not. This two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preference effect on the unrealitic optimism is not consistent with wishful think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reference and the evidence evaluation suggested by Krizan and Windschilt was also not found. Specially, the evidence evaluation affects on the unrealistic optimism consistently. To conclude, when people predict the chance of future event, they seems to judge based on their own evidence. Those evidence evaluation also focuses their own evidence by focalism and egocentrism, eventually the unrealistic optimism might happ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A. 비현실적 낙관 4 1. 비현실적 낙관의 측정방법 4 2. 비현실적 낙관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의 특성 5 가. 사건의 빈도 6 나. 지각된 통제감 6 3. 비현실적 낙관에 영향을 미치는 선호 7 B. 초점주의설과 증거 평가 8 C. 연구 문제 11 Ⅲ. 실험 1 13 A. 연구방법 13 1. 참가자 13 2. 재료 및 설계 14 3. 절차 14 B. 결과 및 논의 15 1. 비현실적 낙관 및 사건 특성들과의 상관관계 검증 15 가. 비현실적 낙관의 검증 15 나. 비현실적 낙관과 사건 특성 들 간의 상관관계 18 2. 비현실적 낙관에 미치는 선호의 영향 21 Ⅳ. 실험 2 25 A. 연구방법 26 1. 참가자 26 2. 재료 및 설계 26 3. 절차 27 B. 결과 및 논의 27 1. 선호 강도의 조작 확인과 선호 강도에 따른 낙관의 차이 28 2. 비현실적 낙관에서의 선호와 증거 평가 간의 상호작용 30 가. 긍정적 사건 30 나. 부정적 사건 32 Ⅴ. 전체논의 33 참고문헌 39 부록 44 영문초록 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82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선호와 증거 평가가 비현실적 낙관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Preference and Evidence Evaluation on the Unrealistic Optimism-
dc.creator.othernameSeo, Ji Hee-
dc.format.pageix, 5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