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설경옥-
dc.contributor.author김행복-
dc.creator김행복-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2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2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5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27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종교성과 불안 및 우울의 관계에 대해 이해하고 부정정서와 자기조절이 종교성과 불안 및 우울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에 있다. 연구 대상자는 20, 30대의 기독교, 불교, 천주교를 종교로 가지고 있는 성인 남·녀 131명이었다. 정서는 경험표집방법으로 하루에 두 번씩 일주일간 총 14회 측정 되었으며, 자기조절, 우울 및 불안은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종교성을 내재적 종교정향과 외재적 종교정향으로 분류하여 정의하였으며,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종교성이 부정정서, 자기조절, 불안 및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부정정서와 자기조절은 불안 및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작은 표본크기의 이중매개를 검증할 수 있는 Hayes(2012)가 제안한 순차적 중다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간접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부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먼저 종교정향에 따른 긍정정서, 부정정서, 자기조절, 불안, 우울의 상관을 검증한 결과, 내재적 종교정향은 긍정정서, 자기조절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이며, 부정정서, 우울, 불안과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외재적 종교정향의 경우 부정정서, 불안, 우울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다음으로 종교정향과 불안 및 우울의 관계에서 부정정서와 자기조절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내재적 종교정향의 경우 낮은 부정정서를 느끼고 높은 자기조절을 하여 낮은 불안 및 우울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재적 종교정향의 경우 높은 부정정서를 느끼고 낮은 자기조절을 통해 높은 불안 및 우울을 경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내재적 종교정향과 외재적 종교정향은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부정정서의 수준이 다르며, 부정정서의 수준은 자기조절, 불안 및 우울에 상이한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내재적 종교정향과 외재적 종교정향에 따른 불안 및 우울의 이해를 도우며, 부정정서와 자기조절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종교정향에 따라 분류되는 내재적 종교정향과 외재적 종교정향은 각기 다른 심리적 구인이며,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부정정서, 자기조절, 불안 및 우울이 다름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종교정향과 불안 및 우울의 관계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를 확장하며, 부정정서와 자기조절이라는 새로운 매개변인들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This study verified a mediation model in which negative affect and self-regulation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anxiety, depression. To test this, religiosity is defined as intrinsic religiosity and extrinsic religiosity. Based on studies of the influence of religiosity on anxiety, depression, negative affect, and self-regulation, we set up a study model in which religiosity directly explains anxiety and depression and also has influence on them by the medium of negative affect and self-regulation. Participants (N = 131) who have the religion (Christianity, Catholic, Buddisim) completed the survey including religious orientation, self-regulation, anxiety, depression. Also PANAS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scale) is surveyed 14 times through text messages for 7days.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multi-mediating effects were identified through conducting a test, multiple mediation model operating in serial, proposed by Hayes (2012). Then, using SPSS Macro Program developed by Hayes (2012), a bootstrapping method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In results of differences between intrinsic religiosity and extrinsic religiosity, first, intrinsic religiosit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to positive affect, self-regulation and negative relationship to negative affect, anxiety and depression. Extrinsic religiosit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to negative affect, anxiety, and depression. It shows that intrinsic religiosity is different from extrinsic religiosity and they have different effects on affect, self-regulation, anxiety and depression. Second, negative affect and self-regulation mediate between religiosity and anxiety, depression. Negative affect and self-regulation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etween intrinsic religiosity and anxiety, depression. Also, negative affect and self-regulation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etween extrinsic religiosity and anxiety, depression. It means that if intrinsic is higher, negative affect is lower and self-regulation gets higher. Finally intrinsic people is less anxious, depressed. On the other hands, if extrinsic is higher, the negative affect is higher, and self-regulation gets lower. Finally extrinsic people is more anxious, depressed. In short, this study confirmed there is the different effect on anxiety and depression between intrinsic religiosity and extrinsic religiosity. Also it discovered that negative affect and self-regulation mediate religiosity and anxiety, depres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문제제기 1 B. 연구문제 5 II. 이론적 배경 6 A. 종교성 6 1. 종교성과 불안 8 2. 종교성과 우울 10 C. 부정정서 11 1. 부정정서와 종교성 11 2. 부정정서와 불안 및 우울 12 D. 자기조절 13 1. 자기조절과 종교성 15 2. 자기조절과 부정정서 16 3. 자기조절과 불안 및 우울 17 III. 연구모형 19 IV. 연구방법 21 A. 연구대상 21 B. 연구절차 22 C. 측정도구 22 1. 종교정향 22 2. 정서 23 3. 자기조절 23 4. 불안 24 5. 우울 24 D. 자료 분석 방법 25 V. 연구결과 27 A.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결과 27 1.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결과 27 2. 주요 변인들의 간의 상관 27 B. 매개효과 검증 28 1. 불안에 대한 매개효과 검증 28 2. 우울에 대한 매개효과 검증 33 C. 간접효과 검증 결과 37 VI. 결론 및 제언 41 A. 결과 요약 및 해석 41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47 참고문헌 50 부록 61 Abstract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03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종교성과 불안 및 우울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부정정서와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검증-
dc.title.translatedRelationship to Religiosity and Anxiety, Depression : Negative Affect and Self-regulation as mediators-
dc.creator.othernameKim, Haeng Bok-
dc.format.pageviii,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