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5 Download: 0

아동용 학업스트레스대처 척도 개발 및 타당화

Title
아동용 학업스트레스대처 척도 개발 및 타당화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cademic Stress Coping Scale for Children
Authors
조혜령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아영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for academic stress coping of children. This study is based on literature review of academic stress coping dimensions and definitions. Although how to cope with stress is very important in academic situation, the study of coping of children is insufficient in Korea. Thus, new academic stress coping scale of children is needed to be developed. The items include social support-seeking, problem-focused coping and emotion-focused coping. Therefore domain-specific 48 items were developed for academic situations such as during exam, in class, after grade was given, while doing homework, while studying and etc. The preliminary scale was administered to 264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4th grade through 6th grade. 31 items were selected for final scale by deleting and modifying items with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pre-study. Final scale was administered to 1,098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4th grade through 6th grad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18 items were selected for final scale after item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processed. Cronbach's α for final scale was .78 through .88 and it provided evidence for internal consistenc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ree-factor structure is appropriate to measure children's academic coping.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is tested by correlation analysis among basic psychological needs, test anxiety, and self-regulatory learning efficacy. Also construct validity is examined by nomological network. In conclusion,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this study are discussed.;학교장면에서 학업적 요구에 적응하는 방법을 찾는 것은 아동들의 주요 스트레스원이다. 이러한 학업스트레스는 국내 아동들에게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스트레스에 어떻게 대처하느냐가 아동의 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아동을 대상으로 학업장면에 맞게 개발된 척도는 미비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트레스대처이론에 근거하여 한국의 아동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대처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스트레스 이론과 기존의 대처척도 문항들을 참고하여, 한국 아동의 학업적 상황을 고려한 아동용 학업스트레스대처 척도를 제작하였다. 척도문항은 예비연구와 본연구를 통해 수정 및 보완하였으며, 척도를 잘 대표하는 문항으로 최종 척도를 구성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구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아동용 학업스트레스대처 척도의 준거관련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본심리욕구, 시험불안, 자기조절학습효능감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 및 자료 분석 철차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대처 이론에 근거하여 아동이 학업장면에서 사용하는 대처의 요인을 사회적지지추구대처, 문제중심대처, 정서중심대처로 설정하고 총 48개의 Likert 형 예비검사 문항을 작성하였다. 서울소재 초등학교 4, 5, 6학년 남, 여 아동 264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고 문항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수정이 필요한 문항을 검토하고 삭제하였으며 요인분석을 통해 문항들이 세 요인으로 잘 수렴되는지 확인하였다. 개방형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아동의 스트레스대처를 잘 나타내는 문항을 새롭게 추가한 31개 문항으로 본검사를 구성하였다. 둘째, 본검사는 사회적지지추구대처 6문항, 문제중심대처 10문항, 정서중심대처 15문항으로 총 31문항이었으며, 서울소재 초등학교 4, 5, 6학년 남, 여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후 유효표본 1,098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문항의 양호도를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중복되는 내용의 문항을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18개의 문항으로 확정한 후 분석한 결과 내적합치도는 사회적지지추구대처는 .78, 문제중심대처는 .88, 정서중심대처는 .79로 모두 양호하게 나타났다. 구인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세 요인으로 구성된 모형의 적합도와 경로계수가 모두 양호하였다. 셋째, 아동용 학업스트레스대처 척도의 준거관련타당도에 대한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관련된 외적변인인 기본심리욕구, 시험불안, 자기조절학습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업스트레스대처의 하위척도 중 문제중심대처는 기본심리욕구, 자기조절학습효능감과 같은 긍정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구인들과 높은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정서중심대처는 긍정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구인들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고, 부정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시험불안과는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사회적지지추구의 경우 기본심리욕구, 자기조절학습효능감, 시험불안과 약한 정적 상관을 보임으로써 선행연구를 지지하였고 이와 같이 다른 변인과의 관계에서도 학업스트레스대처 척도의 세 하위구인 간의 변별이 나타나 본 척도가 타당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아동용 학업스트레스대처 척도는 기존의 일반적인 스트레스대처를 측정하는 검사도구나 청소년, 성인을 대상으로 한 스트레스대처척도와 차별화하고 적은 수의 요인과 문항으로도 학업장면에서 아동의 학업스트레스대처를 측정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아동용 학업스트레스대처 척도를 통해 아동 자신과 부모, 교사가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는가를 이해함으로써, 가정과 학교에서 적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효과적입 개입을 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