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영식-
dc.contributor.author이영화-
dc.creator이영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1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4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5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447-
dc.description.abstract인터넷 활성화로 인해 정보 활용이 용이해졌고, 이메일이나 문자를 통해 일상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변화 되어 의사소통을 편하고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소셜 미디어와 스마트폰의 결합으로 다양한 형태의 커뮤니케이션이 작용하여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사회적인 장소와 역할이 되었다. 이러한 오늘날의 기술발전은 디지털 시대의 매체에 맞게 타이포그래피의 형태와 기능도 변화해왔다. 미디어 사용자의 이용환경 변화에 따라 스크린이나 모니터 등인 디지털 형식으로 나타나게 된 것이다. 이러한 형식들은 단순히 시각적 효과만이 아닌 다양한 형식의 움직임 요소로 정보전달을 좀 더 쉽고 지루하지 않게 전달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되었으며, 우리의 시각문화에 있어서 감성적이면서 보편적인 현상으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사이버 공간에서도 커뮤니케이션을 하는데 있어 텍스트 문자만이 아닌 자신의 특유의 감성을 전달하는 매개체가 등장하면서 커뮤니케이션의 방법들도 다양한 형태로 발전시켜 온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이라는 매체에서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 시각적인 감성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사용자들이 시각적인 감성표현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용자 감성속성을 추론하기 위해서 문헌과 학술연구지를 토대로 사용자 감성 매트릭스를 정의하고 그 정의에 따라 사람들의 감성속성에 대한 시각적 요소와의 관계를 검증하였으며 새로운 앱(APP)형태의 감성 문자메시지 모드인 EM(Emotional Message Mode)으로 새롭게 제안하였다. 감성과 시각요소의 상관성의 연구를 위해 소셜 미디어를 자주 사용하는 일반인 총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토대로 감성과 시각요소와의 상관성을 제시하였다. 이상 연구를 통해 영역의 한계와 개개인 사람들의 성향을 고려하지 못한 제한적 요소를 가지고 있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감성의 변화에 따라 시각적인 요소가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 강한 반응에는 감성과 시각적인 요소들이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쾌함(pleasant)과 각성(arousal)에서는 시각적 요소의 차이점이 분명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이버 시대의 커뮤니케이션에서 사용자의 감성을 보다 풍부하게 해줄 새로운 표현 도구이며, 문자를 전달하는데 있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써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 연구가 바쁜 현대인 사회에서 빠르게 주고받는 문자 메시지에서 미래 가능 사용자들은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고 사용자들이 적극적이며 유희적인 표현 도구로써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Due to the vitalization of Internet, Information is easy to use and changed communication method like E-mail and Text Messages make communication free and easy. Furthermore combination of Social Media and Smart Phone makes several types of communication for Social place and role to maintain relationship with others. Type and Function of typography has been changed to screen and monitor, etc. by the media of the digital era from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se types of typography play roles of easy and interesting way of delivery information with not only simple visual effect but also various types of movements. This becomes emotional and universal in our visual culture. Appearance of media which deliver one’s own unique emotion in cyberspace develop communication method into various types. This study is for awareness of needs of visual emotion and delivery of visual expression of emotion at the stage of communication vitalization in digital media. In this study, we will define User emotion matrix with literature and Journal and verify relationship between user emotion attributes and visual element by the definition. We propose new Application type of Emotional Message Mode (EM). This research surveys 100 people who use social media frequently for study correlation between emotion and visual element, propose correlation between emotion and visual element.. Although this research has limit of scope and element which is not able to consider every single individual tendency, found that visual elements are changed by the emotion change. Mostly Emotion and Visual Elements are agreed by strong response. Pleasant and Arousal show clear difference of visual elements. This study is able to propose new means of expression for rich in user emotion and communication means for deliver user emotion with text message in cyber era. This research could satisfy future potential user’s needs with text message which is sent between busy modern society and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value for active and playful mea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의의 및 목적 1 B. 연구방법 및 내용 2 C.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5 A. 소셜 미디어의 이해 5 1. 소셜 미디어의 개념과 특성 5 2. 소셜 미디어의 유형 7 3. 소셜 미디어에서 문자 메시지와의 관계 10 4. 소셜 미디어에서 문자의 표현 11 B. 소셜 미디어에서의 감성의 형성과정 및 고찰 13 1. 감성 개념 정의와 특성 13 2. 감성 경험의 중요성 23 3. 소셜 미디어와 감성적 경험과의 상관관계 24 C. 소셜 미디어에서 문자와 시각요소와의 관계 25 1. 소셜 미디어에서 감성전달의 표현 25 2. 감성표현 도구로써 시각표현 요소 28 가. Hue&Tone 28 나. 폰트 33 다. 말풍선 35 D.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이론적 배경 37 1. 키네틱 개념과 형성 37 2.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타입속성과 형태 38 3.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감성언어 표현수단 41 4.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문제점 42 Ⅲ. 가설 설정 및 분석방법 44 A. 연구 가설 설명 44 B. 연구모형 설계 45 C. 설문지 구성 46 D. 자료 수집 및 분석방법 47 Ⅳ. 연구결과 분석 및 검증 49 A. 조사대상자와 연구 분석 49 B. 감성속성과 시각요소와의 상관성 분석 50 1. 사용자 감성 매트릭스 51 2. Hue & Tone 분석 53 3. 폰트 분석 55 4. 말풍선 분석 57 C. 가설 검증 59 1. 감성과 시각요소와의 상관성 59 2. 감석 속성의 강도 60 3. 문자와 감성속성과의 관계 62 Ⅴ. EM(Emotional Message Mode) 디자인 제안 64 A. 기능정의 64 B. EM(Emotional Message Mode) 인터페이스 시나리오 64 C. GUI 디자인 프로토타입 및 검증 65 Ⅶ. 결론 및 제언 68 A. 연구 결과 및 논의 68 B.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 방향 69 참고문헌 71 ABSTRACT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030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문자의 감성 전달력을 위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에 관한 연구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스마트폰 문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Research and development of Kinetic Typography for emotion deliverability of the characters in the social media environment-
dc.creator.othernameLee, Young-Hwa-
dc.format.pagexi,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