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5 Download: 0

리테일 이미지 구성 요소로서의 사인디자인 트렌드 연구

Title
리테일 이미지 구성 요소로서의 사인디자인 트렌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rend of Sign Design Being a Component of Retail Image
Authors
이지선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선
Abstract
The distribution environment is being changed in terms of place & method of purchase, and consumers show a tendency to regard shopping as a means to search information, to satisfy cultural needs, and act of an entertainment. Under such circumstance, the store have changed not only a place for sale of goods but also a space to express the identity of brand, thus the design of store became important as an element in building unique & differentiated image. In the past, the purpose of the store sign was placed as an independent system to perform traditional role for information transfer or path finding, but in connection with the diversification of consumer’s trend and the role of store, the function of sign became increased as a media transferring space and brand image. This article intended to recognize the role & necessity of sign that has become important in the store through analysis of sign design change connecting spatial design characteristics and technology development instead of the existing study was put its emphasis on the function as an independent system of sign. This was started from raising issues the sign has not been treated a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image and has its uniqueness more than anything in the harmony with spacial concept and the approach from the view point of interaction with customer. The design strategy to establish consistent brand identity of the company will be the best communication method to be taken place at store the best contact place brand meets with consumer. Therefore, as being a essential part of environmental design, sign as well should be planned from initial stage, and should be recognized as an element to be harmonized with environment and realization of brand identity.;이미 유통 환경은 기술 혁신과 정보 산업의 발달로 상품 구매의 시기, 장소 및 방법에 있어서 어느 때보다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도록 변화하고 있다. 또한 쇼핑의 주체자인 소비자는 더 이상 상품 구매가 목적이 아니라, 쇼핑 그 자체를 정보의 탐색과 문화적 욕구 충족, 그리고 하나의 유희적 행동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 중심의 시대에서 매장(Retail)은 상품 판매만을 위한 한정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그 기업의 브랜드 철학과 정체성을 담아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구현하는 공간으로 그 역할이 변화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렇듯 공간이 복잡해지고 다양한 서비스가 등장하면서‘리테일’이라는 장소의 디자인은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할 수 있는 요소로 점점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리테일에서 공간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 중 하나인 사인은 그동안 독립된 시스템으로서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해왔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정보 전달’과‘길 찾기’라는 전통적인 사인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기 때문이다. 백화점에서 다양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상품이 위치한 층과 매장을 찾거나 편의시설을 이용하고자 할 때, 가장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은 사인이며, 이를 통해 소비자와 판매자 모두의 시간과 에너지 소모를 줄여 결과적으로 소비자에게 편리하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 성향이 변화하고 그에 따른 리테일 공간이 점점 전문화·세분화 되면서 리테일을 구성하는 이미지 요소들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고, 이에 사인도 공간을 디자인하고 이미지를 표출하는 조형적 요소로써의 역할과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결국 리테일 사인이 매장과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부각시키는 역할까지 수행할 때, 유통 기업의 입장에서는 매장의 긍정적인 이미지 제고를 통해 브랜드의 가치를 높이는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사인의 가치 또한 상승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국내 대표적 쇼핑센터를 선정하여 리테일 사인디자인의 특성과 역할의 변화를 기술적 발전과 공간 디자인의 특성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발달된 조명 기술의 도입으로 변화한 사인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시대별 사인의 대표적 유형을 도출하였다. 또한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변화의 특성과 함께 그로 인하여 다양화되고 전문화된 리테일 샵의 디자인 경향을 관찰하고 이를 사인과 연계하여 분석함으로써, 현재 리테일 공간에서 강화된 사인의 기능과 그 특성을 도출하였다. 일정한 기간 동안 변화한 사인의 디자인을 살펴봄으로써 그 과정에 영향을 주고받은 요소들과의 관계적 특성을 알고, 현재의 경향을 통해 일반적인 사인과는 다르게 리테일 환경에서 좀 더 중요하게 다뤄져야 하는 사인의 요소를 도출함으로써, 그 변화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가 주로 사인의 독립적인 시스템으로서 역할과 특성에 중점을 둔 것과 다르게, 라이프스타일과 유통환경의 변화, 기술적 고찰, 그리고 리테일 디자인의 변화 등 다양한 분야를 종합적으로 연계하여 사인 디자인의 변화의 필요성과 특성을 도출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는 사인이 환경 이미지 구성 요소로서 당연히 해야 할 역할이지만 이때까지 그리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았던 것에 대한 문제 제기에서 시작되었고, 무엇보다 이를 리테일 업태의 특성과 연계하여 공간 디자인 컨셉과의 조화, 그리고 소비자 교류의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 특징이 있다. 리테일 기업에서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은 이제 일방적인 전달을 벗어나, 점점 다양하고 세분화 되어가고 있으며,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위해 다양한 마케팅 전략이 수립되고 있다. 소비자에게 세심한 부분에까지 일관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정립해나가는 디자인 전략이야말로 소비자와 브랜드가 만나는 최접점인 매장에서 이루어지는 가장 좋은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될 것이다. 이에 사인도 환경 디자인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초기 단계에서부터 계획되어져, 환경과의 조화를 꾀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져야 할 것이다.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