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선-
dc.contributor.author김윤선-
dc.creator김윤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1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2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5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271-
dc.description.abstract과거 산업 혁명의 근대혁명기를 지나 현대 산업 사회에 이르며 직업의 분화에 따른 전문가그룹의 형성은 당연한 현상으로 자리 잡아 오고 있다. 산업의 발달에 따른 새로운 직군의 생성은 그것에 따른 관련 직업군의 전문성을 요구하고 또 다시 갈래를 만들며 복잡한 미로의 구조를 띄게 되었고 각 분야 전문가들의 종류나 관계 또한 그 미로의 끝을 알기 어려울 정도로 복잡한 성격을 갖게 되었다. 이에 더욱 깊어지고 갈라진 형태의 직업군들은 서로간의 유관 산업 사이에서도 대화가 단절되며 그들이 이끌고 있는 산업의 결과물 또한 한눈에 판단하기 힘들게 되었다. 또한 각 전문가 그룹들의 고유영역에 대한 장벽 형성으로 인해 외부의 대중 혹은 사용자 그룹에서는 그 각각의 전문가 그룹들과 대화를 위한 언어를 학습해야 하는 불필요한 과정을 겪게 되었고 전문가들과 사용자간의 거리를 더욱 멀어지게 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 것이다. 문화 혹은 산업의 필요에 따라 형성된 세분화된 전문가 그룹은 필요에 대한 세부적 항목의 충족에만 멈추고 있게 되었으며 이런 결과로 또 다른 요구가 사회·문화·경제적 측면에서 대두 되었는데 그것은 통합적 사고를 바탕으로, 사용자와 각 전문가 그룹과의 대화를 용이하게 이끌어 줄 직군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공간디자인 분야의 경우 이 부분은 다양한 공간 관련 분야의 디자이너들을 포함하여 그 범주를 넘나드는 이들이 일부분 하고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학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그 역할이 명확히 정의되어있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에게는 그저 그 활동의 일환이 서비스 혹은 본업과는 다른 부가적인 형태라고 인식되어지고 있으며 또한 어느 한 분야의 관점에서 행해지는 업무 범위의 확대는 유기적이고 통합적인 공간의 모습을 효과적으로 표현해 내기에 부족함이 많았다. 공간을 만들고 디자인하는 일에는 건축가, 인테리어 디자이너, 시각 디자이너, 가구디자이너, 조경디자이너, 데코레이터, 최근에는 마케터와 푸드스타일리스트까지의 다양한 직군들이 서로간의 영역에서 관여를 하고 있으며 이는 인간을 위한 감성 체험적 공간을 디자인하는 일을 어느 한 분야의 관점에서만 결정을 할 수 없는 일이며 여러 가지 다양한 분야의 균형적 관점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결국 유기적 관점에서 바라본 공간디자인은 건축, 인테리어, 가구디자인 등 각 영역들이 각자의 분야별 특성과 완성도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닌 조화롭게 통합되어 일관된 컨셉을 보여주는 종합예술의 장르라고 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논문은 통합적 관점에서 이 다양한 공간디자인 분야의 디자이너와 작업자들 간의 이해관계를 조율하고 커뮤니케이션하여 공간이라는 브랜드를 상품화하는 인테리어 코디네이터의 업무 프로세스를 정리하고 개념을 정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공간과 공간디자인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서술 하고 사례 분석을 통해 공간디자이너의 개념이 정립되게 한 역사적 배경과 인물들을 알아본다. 다음은 국내 공간디자인 직무의 특성과 코디네이터의 업무범위 및 프로세스를 비교해보고 인테리어 코디네이터의 필요성, 핵심역량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공간디자이너의 직무의 특성에 대해 이해하고 구체화함에 의의를 가진다.;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past, modern revolution, and current industrial society, development of specialists group according to division of profession has been established as a general phenomenon. Formation of new profession group creates professionalism of related occupational cluster, split into several sections, making structures of complicated maze. Eventually, there are huge complexity over the kind and relation of specialists in each part. But the deepen and divided occupational cluster ensues severance of conversation between related industries, making ambiguous industrial results. Also with the formation of wall over intrinsic domain of each specialists cluster, the public or users on the outside should have experienced unnecessary courses of learning languages for exchanging communication, bringing large gap between users and experts. Separated specialist group developed under the needs of culture or industry has focus only on fulfilling detailed parts of needs, creating another demands on social·cultural·financial aspect. This means a new occupational cluster with integral thinking is required for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groups. When it comes to space design, designers in various space related parts and other fields have participated in that. But academically and socially, the role is not clearly defined, making them consider it as a service or secondary part. Also expansion of business scope followed by aspect of one domain has many difficulties expressing figure of organic and integral space. Architects, interior designers, visual designers, furniture designers, landscape designers, decorators, and marketers and food stylists now participate in space making and design industry, and it shows designing sensibility experience space for human cannot be should not be decided by one certain aspect, require balanced aspects of various fields. In other word, space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sm is not about pursuing individual completion degree from each fields including construction, interior, and furniture design. It is a genre of complex art showing constant concept by unifying them in harmony. This paper is for addressing business process of interior coordinator commercializing space with resolution interests between designers in various space design fields and workers and communication and defining concepts in integral aspect To that end, in this study, theoretical background of concept over space and space design is explained, and historial background and characters will be introduced showing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concept of space designer. And feature of domestic space designer`s business and business scope, process of coordinator will be compared, and the necessity and core capacity of interior coordinator are analyzed. With this, the goal of this paper is for understanding the work of space designer and specifying i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범위 2 Ⅱ. 공간디자인에 관한 이해 4 A. 공간의 개념 4 B. 공간과 디자인에 대한 사회적 관점의 변화 6 C. 공간디자인의 개념정립 8 Ⅲ. 현대 공간디자인 사례분석 11 A. 공간디자인의 개념을 정립 하게 된 역사적 사건 11 1. 윌리암모리스의 레드하우스 11 2. 이케아의 리빙 디스플레이 15 B. 현대적 공간디자이너의 역할 확대 사례 18 1. 라이프스타일리스트 테렌스콘란 18 2. 토탈디자이너 필립스탁 20 C. 사례분석 시사점 24 Ⅳ. 공간 디자이너의 직무 분석 26 A. 공간디자인 관련 직업군 26 1. 공간디자인의 종류 27 2. 공간 관련분야의 종류 30 B. 공간 관련 디자인 업무 프로세스 31 1. 조사 분석 31 2. 컨셉 설정 32 3. 디자인 전개 33 4. 디자인 실시 33 5. 평가 및 관리 34 C. 공간디자인 범주의 확장에 따른 디자이너의 역할 확대 36 1. 공간디자이너 역할의 세분화와 통합화 36 Ⅴ. 인테리어 코디네이터의 역할 37 A. 디자인 통합자로서 코디네이터의 역할 37 1. 인테리어 코디네이터의 필요성 37 B. 인테리어 코디네이션 프로세스 정리 39 1. 인테리어 코디네이터의 업무 범위 39 1.1 환경 분석과 개념 도출 40 1.2. 디자인 컨셉 및 방향 설정 40 1.3. 디자인 개발 41 1.4. 제작의뢰 발주 및 구매 49 1.5. 설치 시공 디스플레이 49 1.6. 평가와 관리 49 B. 공간디자이너의 핵심역량 도출 50 1. 공간디자인 분야별 디자이너 핵심역량 비교 50 2. 비교결과 55 Ⅵ. 논의 및 결론 59 참 고 문 헌 60 ABSTRACT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8441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공간디자인 과정에서 통합 코디네이터의 역할과 핵심역량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Role of Integral Coordinator and Core Capacity in the Process of Space Design-
dc.creator.othernameKim, Youn sun-
dc.format.pagevii,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