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3 Download: 0

한국판 외상경험 개방에 대한 사회적 반응 척도 (Social Reactions Questionnaire; SRQ) 타당화

Title
한국판 외상경험 개방에 대한 사회적 반응 척도 (Social Reactions Questionnaire; SRQ) 타당화
Other Titles
A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Reactions Questionnaire
Authors
심기선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의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외상경험 개방에 대한 사회적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Ullman(2000)이 개발한 사회적 반응 척도(Social Reactions Questionnaire; SRQ)를 한국판으로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원척도를 번안하여 한국판 사회적 반응 척도를 제작하여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그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진행된 절차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척도의 46개 문항들을 번역 및 역번역 절차를 거쳐 번안하였다. 예비 척도문항과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할 수 있는 관련 척도를 포함시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 소재 여자 대학생 67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대인간 외상 경험이 있는 292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예비 문항의 문항분석을 통하여 문항의 양호도를 평가하고, 평균, 문항-총점 상관, 내적합치도 등을 고려해 문제가 되는 2문항을 삭제하여 최종문항을 구성하였다. 둘째, 최종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자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구성타당도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경쟁모형을 설정하고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여 제작된 척도에 가장 잘 부합하는 모형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본 척도의 구성 타당도는 7 요인 상호 상관 모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판 외상경험 개방에 대한 사회적 반응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내적합치도 값을 산출한 결과 전체 척도와 각 요인의 내적합치도가 모두 높게 나와 본 척도에 제시된 내용이 신뢰롭게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추가적인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관련 척도들과 상관 및 회귀분석을 통해 변별타당도와 준거-관련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척도와 상관관계 분석결과, 전반적인 긍정적 반응과는 유의미한 정적인 관련성을, 부정적 반응과는 유의미한 부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즉, 긍정적인 사회적 반응을 받는 것은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 것과 높은 자존감과 관련이 되고, 부정적 사회적 반응을 받는 것은 사회적 지지를 적게 받는 것과 낮은 자존감과 관련됨을 보여 구성개념의 타당성이 지지되었다. 다섯째, 준거-관련 타당도 중 예측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회적 반응이 외상 증상과 우울을 예측하는지 확인하였다. 단순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적 반응, 부정적 반응 모두 외상 증상과 우울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고, 특히 부정적 반응의 설명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외상 사건 이후 후유증에 있어 긍정적 반응에 비해 부정적 반응이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외상 경험에 대한 사회적 반응 척도를 한국판으로 타당화하여 사회적 반응을 측정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를 국내에 소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국내에서 사회적 반응에 대한 양상과 기제에 관련한 연구를 가능하게 하고 사회적 반응의 영향력을 밝히면서 임상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Reactions Questionnaire (K-SRQ). The SRQ (Ullman, 2000) is a self-report questionnaire used to assess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actions a person receives from others after the disclosure of sexual assault. To validate SRQ in Korea, item translation and back-translation, item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ere conducted in a 292 undergraduat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interpersonal assaul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seven factors structure of the K-SRQ and all factors were correlated one another. All seven factors showed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and item-total correlations. The K-SRQ factors were adequately related to th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symptoms, supporting good discriminant and criterion validity. In conclusion, the K-SRQ is a valid measure of positive and negative social reactions in a Korean population. Resuts were also discussed in relations to the potential utility of the sca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