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샛별-
dc.contributor.author전혜진-
dc.creator전혜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9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2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5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258-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교육 결과로 그대로 이어지는 불평등 현상이 근래 들어 더욱 심화되고 있음을 문제 삼으며 ‘학교’, 구체적으로는 학생들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교사’에 초점을 두고 교육 불평등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교육 불평등을 설명하는데 있어 학교에 주목했던 학자들 가운데 대표적인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의 교육재생산 이론을 이론적 자원으로 하였는데, 부르디외는 학교에서 교사들이 특정한 문화적 성향을 갖추거나 특정한 언어형식에 따라 이야기하는 학생들을 선호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때, 특정한 문화적 성향, 언어형식은 지배계급이 공유하는 독특한 특성으로, 부르디외는 학교가 지배계급의 문화를 전수하는 전수자 역할과 지배계급의 지위와 권력이 그 자녀세대에게도 대물림 될 수 있도록 지배계급 자녀들을 선별해내는 선별자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밝힌 바 있다. 부르디외를 비롯한 많은 학자들이 교육재생산 이론이 각 국가에 적합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계급적 배경에 따라 가정에서 체득한 문화적 성향, 문화자본이 교육적 성과로 전환되는지 여부에 집중해 연구를 진행해왔다. 그러나 정작 학교에서 중요한 행위자인 교사가 이 교육 불평등 과정에서 어떤 위치에 있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다룬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교사가 실제로 부르디외의 주장대로 지배계급의 문화를 선호하며, 이들의 문화에 친숙한지 여부를 밝히고자 하였다. 나아가 교사들이 교실에서 실제로 선호하는 학생들이 어떤 문화적 성향을 지니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살펴보고자 지역별 비례할당 표집을 통해 서울 소재 초등학교 교사 4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편의표집을 통해 31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교사들은 높은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었으며, 특히나 고급문화에 지향을 두는 하이브로우 성향의 문화적 소양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배계급이 선호하고 자주 참여하는 문화 활동을 대부분 선호하며, 실제로도 자주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술작품에 대한 지식 또한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교사들이 교실 상황에서 실제로 선호하는 학생들 역시 언어습관, 태도, 문화적 능력 및 문화여가 활동, 외양, 식습관 등에서 기존 선행연구들을 통해 지배계급의 특성으로 밝혀진 바 있는 특성들을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학생들의 경제적인 수준 역시 중상 이상이었으며, 부모의 교육적 관심이나 전반적인 가정의 분위기 역시 지배계급의 특성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교사들이 선호하는 학생들이 실제로 지배계급이라는 계급적 배경과 동시에 그들의 문화적 성향을 갖추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목할 만한 것은 교사들이 이 학생들을 선호하는 이유가 물질적이고 가시적인 경제적 수준 때문이 아니라 계급적 배경을 바탕으로 자연스럽게 체득할 수 있는 지배계급의 문화적 성향, 구체적으로는 언어습관과 태도 같은 것을 특히 직접적인 선호의 기준으로 여기고 있었다는 점이다. 교사들은 이러한 문화적 성향이 타고난 것처럼, 자연스럽고 거리낌 없이 표출되었을 때 학생들을 선호하며, 또한 이러한 문화적 성향을 지니고 있는 학생들 대부분이 교육적 성과마저 뛰어나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 안에서 학생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교육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교사가 어떻게 적극적인 행동을 하는지, 그 역할을 밝혀낼 수는 없었지만, 교사들이 지배계급의 문화적 성향, 문화자본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교사들이 지배계급의 문화적 성향을 보유한 학생들을 선별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실제로 교사들이 선호하는 학생들 또한 지배계급의 문화적 성향을 갖추고 있어 교사와 교사가 선호하는 학생의 문화적 성향 간 조응관계가 성립한다는 것을 잠정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부르디외의 교육재생산 이론을 검증하고자 했던 기존의 수많은 연구들이 다루지 않았던 ‘교사’라는 중요한 행위자에 주목함으로써 교육 불평등이 발생하는 학교 공간의 모습을 보다 실질적이고 입체적으로 그려낼 수 있었다.;This article tried to explain educational inequality focused on ‘school’, especially ‘teachers’ who interacted with their students by raising questions that inequality had been serious because socioeconomic status of family affected their children's educational results. This article based in theory of cultural reproduction of Bourdieu, a eminent sociologist, interested in school to explain educational inequality. He claimed that teachers preferred students had particular cultural disposition or language form when they talked. Then, particular cultural tendency and language form are special characteristic that upper class share. Therefore, Bourdieu founded that school fulfilled the bearer role handed down culture of upper class and the classer role sorted out children of upper class to pass down status and power of upper class. Bourdieu and many scholars have studied that cultural disposition and cultural capital, learned from the family, depending on background of class changed educational outcome to verify suitability of educational reproduction of each country. However, studies about the position and role of teachers as important performers in this inequality process are insignificant. So, this article tried to come out that teachers really prefer and familiar with culture of upper class Bourdieu insisted. Then,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at culture disposition of students, teachers actually preferred in class. To examine this point, this study carried out survey targeting 470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by using proportional quota sampling of regional groups and had an interview with 31 teachers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Teachers had high level cultural knowledge and they especially had highbrow cultural knowledge aimed to high-quality culture. Also, they preferred culture activities which upper class preferred and participated frequently. Teachers actually often participated in culture activities which upper class preferred and participated frequently and they had rich knowledge of works of art in this study. Furthermore, the students teachers actually preferred also shared the characteristics such as language habits, attitude, cultural ability, cultural activities, appearance, and eating habits that were already found as characteristics of upper class. The students' economic standard teachers preferred also over mid and upper level and the atmosphere of family was similar to characteristic of upper class, too. The author of this study verified that students teachers preferred actually had background and cultural disposition of upper class. The noticeable point was that teachers preferred these students because of cultural disposition students naturally acquired from their background of class such as language habit and attitude which was standard of teachers' direct preference not economic standard. Teachers preferred students when the students showed their cultural disposition naturally born, and teachers tended to perceive that students had these kind of cultural disposition excelled educational outcome. In this study, even though that was difficult to find that how teachers active acted that socioeconomic status of students' family affected education outcome, the author found that teachers had conditions which could select students who had cultural disposition of upper class by checking cultural disposition of upper class and cultural capital students had. Moreover, this study provisionally found that there were corresponding rel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cultural disposition teachers preferred because students who teachers preferred had cultural disposition of upper class. This study could find the shape of space of school occurred educational inequality by focusing on performer, 'teachers', not addressed many previous studies which wanted to examine Bourdieu's theory of the reproduction of educational inequa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문제제기 1 Ⅱ. 이론적 배경 3 A. 교육과 불평등: 교육 불평등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3 B. 계급과 교육 불평등 7 1. 부르디외의 교육재생산 이론 7 2. 국내외 교육재생산 이론을 검증한 연구들 10 3. 교육재생산 이론을 검증한 연구들의 한계 14 Ⅲ. 연구문제 17 Ⅳ. 연구방법 및 절차 20 A. 양적 자료 20 1. 자료수집 20 2. 설문대상 특성 21 3. 설문문항 구성 및 내용 25 가. 교사의 문화자본 26 나. 학생 평가 시 고려하는 요소 및 선호하는 학생의 특성 29 4. 분석방법 34 B. 질적 자료 35 1. 자료수집 35 2. 면접 대상자 특성 36 3. 면접 내용 37 4. 분석방법 39 Ⅴ. 교사의 문화자본 43 A. 문화적 소양 43 1. 문화적 소양에 대한 자기 평가 43 2. 문화예술관련 교육에 대한 생각 및 경험 48 B. 문화 활동 53 1. 문화/여가 활동 54 가. 문화/여가 활동 선호 54 나. 문화/여가 활동 참여 56 2. 독서 활동 62 C. 문화 지식 69 1. 클래식 음악 작품 인지 69 2. 미술 작품 인지 73 3. 문학 작품 인지 78 D. 교사의 가정 배경 83 1. 부모님의 교육정도 83 2. 직계가족이 보유한 자본의 양 87 3. 유년시절 가정 내 문화적 환경 89 4. 유년시절 부모님과의 관계 91 Ⅵ. '교사'와 문화자본의 관계 94 A. 문화적 소양 97 B. 문화 활동 102 C. 문화 지식 105 Ⅶ. 학생의 문화자본 110 A. 교사가 학생을 평가할 때 고려하는 학생들의 특성들 111 1. 입학 시 학생들이 갖추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항목들 111 2. 학생들을 평가할 때 고려하는 항목들 114 3. 교사가 실제로 선호하는 학생의 특성 116 B. 학생의 문화자본과 교사가 선호하는 학생들의 유형 119 1. 학생의 문화자본 120 가. 교사가 선호하는 학생의 특성: 문화자본의 성격 120 나. 교사가 선호하는 학생의 문화자본 보유 정도 126 2. 교사가 선호하는 학생들의 유형 133 가. 교사가 선호하는 학생들의 유형 133 나. 교사가 선호하는 특성 간 유사정도 143 Ⅷ. 결론 및 한계 148 A. 결론 148 B.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52 참고문헌 155 <부록 -1> 설문지 162 <부록 -2> '문화적 소양' 요인분석 결과 182 <부록 -3> 문화적 소양에 대한 자기평가 평균 비교: 전국,교사 183 <부록 -4> 문화적 소양에 대한 자기 평가 평균 비교: 중상계급,교사 184 <부록 -5> 문화적 소양에 대한 자기 평가 평균 비교: 출신계급별 185 <부록 -6> 문화예술관련 교육 적정 시작 연령: 출신계급 별 185 <부록 -7> 문화예술관련 교육 배우기 시작한 시기 비교: 출신계급 별 186 <부록 -8> '문화/여가 활동' 참여도 요인분석 결과 187 <부록 -9> '문화/여가 활동' 선호도 평균 비교: 전국, 교사 188 <부록 -10> '문화/여가 활동' 선호도 평균 비교: 중상계급, 교사 189 <부록 -11> '문화/여가 활동' 참여도 평균 비교: 전국, 교사 190 <부록 -12> '문화/여가 활동' 참여도 평균 비교: 중상계급, 교사 191 <부록 -13> '문화/여가 활동' 선호도 및 참여도 평균 비교: 출신계급 별 192 <부록 -14> 책 장르 별 자주 읽는 정도 요인분석 결과 192 <부록 -15> 책 장르 별 자주 읽는 정도 평균 비교: 전국, 교사 193 <부록 -16> 책 장르 별 자주 읽는 정도 평균 비교: 중상계급, 교사 193 <부록 -17> 클래식 음악작품 인지 정도 빈도 및 평균 비교: 전국, 교사 194 <부록 -18> 클래식 음악작품 인지 정도 빈도 및 평균 비교: 중상계급, 교사 195 <부록 -19> 클래식 음악작품 인지 정도 평균 비교: 출신계급 별 196 <부록 -20> 클래식 음악작품 인지 정도 빈도 비교: 출신계급 별 197 <부록 -21> 미술작품 인지 정도 빈도 및 평균 비교: 전국, 교사 198 <부록 -22> 미술작품 인지 정도 빈도 및 평균 비교: 중상계급, 교사 199 <부록 -23> 미술작품 인지 정도 평균 비교: 출신계급 별 200 <부록 -24> 미술작품 인지 정도 빈도 비교: 출신계급 별 200 <부록 -25> 문학작품 인지 정도 빈도 및 평균 비교: 전국, 교사 201 <부록 -26> 문학작품 인지 정도 빈도 및 평균 비교: 중상계급, 교사 202 <부록 -27> 문학작품 인지 정도 평균 비교: 출신계급 별 203 <부록 -28> 문학작품 인지 정도 빈도 비교: 출신계급 별 204 <부록 -29> 아버지 교육 정도 빈도 비교: 출신계급 별 205 <부록 -30> 어머니 교육 정도 빈도 비교: 출신계급 별 205 <부록 -31> 직계가족이 보유한 자본 총량 평균 비교: 출신계급 별 206 <부록 -32> 초등학교 입학 시 준비시켜야 할 항목들 요인분석 결과 206 <부록 -33> 학생 평가 시 고려하는 항목들 요인분석 결과 207 <부록 -34> 선호하는 학생의 특성 요인분석 결과 208 <부록 -35> 선호하는 학생의 가정배경 특성 요인분석 결과 209 ABSTRACT 2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7949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교육 불평등에 관한 부르디외 이론의 실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문화자본 비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Positive Research of Bourdieu's Theory of the Reproduction of Educational Inequality : based on comparing cultural capita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cultural capital of students-
dc.creator.othernameJun, Hye Jin-
dc.format.pagexi, 21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