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경실-
dc.contributor.author이경진-
dc.creator이경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9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0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5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044-
dc.description.abstract경제 문화의 급속한 발전으로 현대 도시는 빠르게 변화하여 고밀화-광역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장소의 개념이 공간과 시간에 의해 바뀌면서 이전에 상호 관계가 불가능하였던 공간 프로그램들의 접촉이 증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을 수용하는 복합 문화공간의 필요성이 대두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복합문화공간은 단일 기능의 공간에서 만족하지 못한 대중의 문화적 욕구 충족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대중이 함께 참여하여 체험할 수 있는 대중과의 교류의 장으로서 구실을 한다. 이러한 복합 문화공간에서 매개공간은 기능이 서로 다른 공간 사이에 있어 연속된 공간 중에서 주요한 공간에 이르기까지의 전이적이고 과정적인 역할을 하며 다른 공간 간에 유연한 연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매개공간은 공간 구성 프로그램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활동지원 공간, 다목적 미학 공간,내외부를 연계한 친환경 공간, 위계성에 의한 기능 충족공간이 된다. 3장에서는 이러한 매개공간을 공간의 연결관계에 대해 따른 유형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공간의 특징 및 공간 요소를 알아보았다. 이 공간 요소를 통해 매개공간의 특성을 도출해 내었다. 4장에서는 기존의 복합문화공간 사례를 분석하여 이렇게 적용된 사례를 분석하고 그 특성을 알아본 후 매개공간으로 적용 가능성을 찾았다. 5장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지로 대전 유성구 도룡동에 위치한 엑스포 아트홀 부지를 선정하고 엑스포 과학공원으로 접근하는 매개공간이라 생각했다. 엑스포 아트홀은 엑스포 과학공원과 함께 1993년도에 개관했으나 기존 시설의 노후화 및 부가 시설의 부재 때문에 활성화가 떨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현재 활성화가 떨어져 있는 엑스포 아트홀 부지에 대전의 다양한 과학 자원을 문화자원으로 발전시켜 창조도시로 변모해 나갈 기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지역주민과 과학단지의 중추 구성원인 과학자들과 창조계층인 예술가들에게 소통의 공간을 제공하여 창의적인 활동을 지속해서 펼칠 수 있는 복합 문화공간을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는 매개공간의 기능을 강화시켜 지역사회에서 요구하는 복합 문화공간 디자인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시의 다양성과 복합성을 수용하여 지역공간에서 커뮤니티와 문화, 예술, 과학 등의 여러 방면에서 다양하고 창조적인 소통의 공간을 디자인하는데 의의가 있다.;As modern cities has rapidly changed and transformed into a state of overpopulation and conurbation following to the economical and cultural development, the spatial concept based on the space and time has changed and the interaction among space programs - which was not possible before - is being promoted.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there is growing attention to the need of mixed cultural space that includes diverse functions. First, the mixed cultural space is an alternative to the space of single function in the respect of satisfying general public’s cultural appetite, by allowing public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with one another in a public field. Second, the intermediate space is located between spaces of different functions within the mixed cultural space, and plays a role as an intermediate in the course of transmitting and flexibly connecting between spaces. Depending on its space composition program, the intermediate space is functions as a space for connection, buffer, visitor attraction, or environmentally-friendly relaxation. In chapter 3, the intermediate space was categorized depending on connecting position as four types of interlocking spaces, adjacent spaces, spaces linked by a common space, and space within a space, and spatial constituents of each categorized space were discussed. Drawing on these spatial components, som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mediate space were derived. In chapter 4, it analysed cases of existing mixed cultural spaces and examined its application cases and characteristics, and sought its possibility of application to the intermediate space. In chapter 5, the EXPO Art Hall was selected as our subject place, assumed as an intermediate space accessing to EXPO Science Park. Though both EXPO Art Hall and EXPO Science Park were established in 1993, currently are not actively utilized because of its worn-out installations and the lack of additional facilities. It was aime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Daejeon to become a creative city by transforming a variety of science resources into cultural resources in EXPO Art Hall which is now obsolete. In addition, it designed a mixed cultural space that enables people to continue working creatively by offering a communicative space for local residents, scientists who are main members of International Science Business Belt, and artists of the creative field. In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rengthen the function of the intermediate space and to design a mixed cultural space which is needed in the community. It is significant to design a diverse and creative communicative space in multiple areas, including local communities, culture, art, and science, by accepting diversity and complexity existing within the c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Ⅱ. 지역문화시설의 복합 문화공간화 4 A. 복합 문화공간의 개념 4 B. 지역사회에서의 복합 문화공간의 기능 6 Ⅲ. 매개공간 의 개념 및 역할 9 A. 매개공간의 개념 9 B. 매개공간의 역할 10 C. 공간 연결적 관계에 따른 매개공간의 유형 12 1. 주위환경과 연계된 매개공간 12 2. 내부공간에서의 매개공간 16 D. 매개공간 디자인의 공간적 특성 20 1. 다양한 활동지원 공간 20 2. 다목적 미학 공간 20 3. 내외부를 연계한 친환경 공간 21 4. 위계성에 의한 기능 충족공간 21 Ⅳ. 매개공간기능을 강화한 복합문화공간 사례분석 22 A. 사례조사 선정 및 분석방법 22 B. 사례조사 23 1. 이화여대 캠퍼스센터 23 2. 크링 25 3. KT올레스퀘어 26 4. 두산아트스퀘어 27 5. 아트레온 28 C. 사례조사 분석 및 정리 29 Ⅴ. 매개공간기능을 강화한 복합문화공간 계획 31 A. 디자인 방향 및 목표 31 B. 디자인 개요 33 1. 대상지 선정 33 2. 대상지 분석 34 C. 디자인 계획 37 1. 디자인 개념 37 2. 공간 프로그램 39 3. 배치계획 41 D. 디자인 세부계획 44 1. 평면계획 44 2. 입면계획 48 3. 세부공간 계획 51 E. 디자인 종합 및 평가 63 Ⅵ. 결론 65 참고문헌 67 ABSTRACT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8633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매개 공간의 기능 강화를 위한 복합 문화공간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for design complex cultural space design for Strengthen the functions of the intermediated space-
dc.creator.othernameLee, Keung Jin-
dc.format.pagev,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실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