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8 Download: 0

핑크색과 일상적 사물의 정물사진 표현연구

Title
핑크색과 일상적 사물의 정물사진 표현연구
Other Titles
Still photo expression study of pink and everyday life matters
Authors
이화진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사진과편집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인숙
Abstract
예술가는 일상에서 무심히 지나쳐 버릴 수 있는 미묘한 감정의 움직임을 붙잡고 예민하게 감지하여 이를 예술적 소재로 반영함으로서 일상 사물을 예술로 재창조 한다. 일상생활 속에서 사물들을 바라볼 때 그것은 예술가에게 있어서 창조적인 새로운 매개체가 되며 그것은 곧 현실을 반영하여 독자적인 결과물로 창조된다. 일상적 삶 속에서 경험과 관계를 통해 대상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만의 주관적 감정 언어로 표현하게 되는 것이다. 즉 예술은 대상을 그대로 복사하는 재현이 아니라 주관에 의해 다시 구성하는 표현이다. 따라서 본 작품 논문은 일상 속에서 무심히 지나쳤던 일상적 사물을 그대로 표현하는 것이 아닌 작가의 경험적 표상을 색채의 조작을 통해 새로운 시각으로 해석하여 제작된 작품으로 감상자와 소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성에 대한 이론과 이미지표현 방법의 하나인 정물사진의 전개와 조형적 구성요소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예술에서의 상징성과 작품의 중요한 표현적 속성인 색채의 상징성에 대해 이해하고 핑크색의 상징적 표현을 위해 핑크색의 색채감정과 연상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리고 오브제의 상징성을 표현한 사진작가들의 작품과 오브제의 색채를 통해서 주제를 드러낸 작가의 작품을 분석 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본 작품은 핑크색을 통한 일상적 사물에 새로운 해석을 정물 사진의 이미지로 표현하였고 그 작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색채는 합리적인 사고가 설명해 주지 못하는 것을 전달하고 암시적인 언어작용을 한다. 대상에 의도 하고자 하는 감성을 불어넣어 주며 상징성을 가지고 상상을 하도록 도와준다. 핑크색은 여성스러움과 부드러움, 평온함을 상징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적 오브제에 핑크색을 덧입혀 오브제에 내제되어 있는 본래의 의미와 효용을 벗기고 핑크색의 상징성을 갖게 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당연한 것으로 간주되는 일상적 사물을 환기시킴으로 예술에 있어서 일상이라는 소재가 갖는 중요성을 파악하였고 본 연구의 주제인 일상적 사물의 색채 조작을 통한 새로운 해석을 표현하기 위한 사진 적 시도를 하였다. 또한 일상성을 사진 이미지로 표현함에 있어 색채의 상징성을 이용하여 본인의 일상에 대한 주관적 정서를 보다 심도 있게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의미의 재생산을 통해 사물에 대한 고정적 집착과 이해로부터 자유로워지길 유도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일상이 갖는 의미와 일상이미지를 통한 작품세계를 성찰하고, 예술표현 장르로서 정물사진의 지속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Artist catch movement of delicate feelings that can be easily neglected in daily life and sensitively detect it and reflect this as artistic material and recreate the daily subject matter. When viewing matters in daily life that becomes a new creative medium and that shortly is created as a independent outcome by reflecting the reality. It is not portraying the object through the experiences and relationship within the daily lives but it is expressing by their own subjective emotion words. In other words, art is not a reenact, copying the object exactly but a reconstructing expression by subjectivity. Thus, one's work is not a exact reenact of daily image that was easily passed by as an artist living in daily life but interpreting author's experiential symbol in a new perspective through color manipulation and a work study trying to communicate with the appreciator and this can be referred as an critical subject.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a still photo and plastic compositions, the methods for image expression, have been organized after reflecting theocratically of everyday life. Also understand the symbolism in art and have organized of the color symbolism which is a critical expressive attributes and studied about the pink's color analyzation and association for pink color's symbolic expression. Afterwards, I have analyzed the artist works which revealed its theme through objet colors and works of artists of a still photo who expressed the symbolism of objet. Personally, on behalf of the contents above expressed a still phot image of a new interpretation of daily matters in pink and written in details of the work. Colors deliver things that rationalization can't explain and work as a allusive language. It arouses the emotions that is intended to the object and lead us to a liberal imaginative space carrying symbolism. Pink symbolizes feminine, tenderness and peacefulness. In this research, by manipulating pink over daily objet the original meaning and use within the objet was lost and made to have symbolism of pink. By these works, reminding once again the everyday life matters which is considered as rather obvious, I was able to grasp the importance of the daily life as a material art and have proceeded a photographical try to express a new interpretation through color manipulation of daily life matters which is myself's theme. Also I have tried to deeply express subjective emotions of myself's daily life by the use of color symbolization when expressing the everyday life as a picture image. In addition, I have tried to lead to view the matters with liberal perspective from the structured attachment and understandings of matters through reproduction of meanings. From now on, myself will reflect the world of art through everyday life image and the meaning of everyday life and develop the still photo which I keep it as the base of the art production with own characteristics and seek of the still photo's substantiality as a art gen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사진과편집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