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1 Download: 0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통제노력의 조절 효과 분석

Title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통제노력의 조절 효과 분석
Other Titles
Interactive Effects of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Effortful Control on Suicide Ideation among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Authors
이혜진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서서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대학생의 심리적 부적응의 보호요인을 밝히기 위하여 Bowlby(1969)의 애착이론과 Rothbart와 Derryberry(1981)의 기질이론을 근거로 심리적 부적응을 예측하는 대표적인 변인인 성인애착과 심리적 부적응의 사이에서 통제노력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였다. 우선, 성인애착과 통제노력, 자살사고, 우울, 사회불안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 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는 성인애착 불안/회피 차원이 높더라도 통제노력이 높다면 자살사고, 우울, 및 사회불안이 낮을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연구에 앞서 조절변수인 통제노력 척도의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해 예비 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 연구에는 전국의 성인 남녀 243명이 온라인으로 설문에 참여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통제노력 척도, 간편형 한국어 BFI(Big Five Inventory)및 인구통계학적 질문을 포함한 질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을 실시했다. 수집한 자료로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선행 연구와 마찬가지로 3요인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수용할 만하였고, 관련 척도인 BFI 척도와의 수렴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는 수도권 소재 4개의 대학교와 경북 지역(60부)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들이 참여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통제노력 척도, 친밀관계경험검사, 자살사고 척도, 우울 척도,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 및 인구통계학적 질문을 포함한 질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단계에서는 우선, 연구변인들 간의 관련성의 방향과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통제변인을 추출하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성인애착과 심리적 부적응과의 관계에 통제노력이 조절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가정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ult attachment and effortful control on psychological distress. Furth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effortful control. 583 undergraduates completed the Effortful Control Scale―Short Form (ECS-SF). Adult attachment was determined using th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Revised questionnaire. Relations of effortful control and adult attachment to Social anxiety,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e ideation were also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was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correlations between adult attachment insecurity and psychological distress (social anxiety,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were positive, whereas those between effortful control and distress were negative. Furthermore, both adult attachment insecurity and effortful control explained significant proportions of variance in psychological distress (social anxiety,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Finally, an interactive effect of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effortful control on suicide ideation was found. More importantly, the combination of high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low effortful control exhibited the highest suicide ideation score among college students. To conclude, the first study on the interaction of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effortful control on suicide ideation concurs with previous studies suggesting an important protective role of effortful control for suicide ideation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However, effortful control did not moderate the effects of adult attachment insecurity to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