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60 Download: 0

삶의 의미추구 및 발견, 기본심리욕구와 안녕감의 관계

Title
삶의 의미추구 및 발견, 기본심리욕구와 안녕감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the search for and presence of meaning,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well-being
Authors
김유진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human basic psychological needs(BPNs), in the relation of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and the influence of the search for and the presence of meaning on well-being. Reviewing relevant theories and earlier studies, the present study assumed that BPNs mediate between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and the search for meaning was expected to increase well-being via fulfilling of BPNs and the presence of meaning. To examine both hedonistic and Eudaimonistic aspects of well-being, subjective(SWB) and psychological well-being(PWB) were measured altogethe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63 undergraduate students at several universities in Seoul, South Korea. The questionnaire were composed of four scales such as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Basic Psychological Need Scal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Ultimately, 363 valid data were tes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SEM, And Sobel method.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arch for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s significantly positive. However, the search for meaning did not directly affect SWB and PWB, whereas the presence of meaning did. This implies that those who try hard to find a meaning in life are more likely to find it, but well-being can not be experienced when they are in search for meaning only. Second, BPNs were found to partially mediate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Additionally, the search for meaning led to SWS and PWS through fulfillment of BPNs and the presence of meaning. Based on the fact that the fulfillment of BPNs itself affected SWB and PWB, BPNs seem to be crucial variables of well-being. This study demonstrates several interesting implications. First, it was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es’ findings(Steger, et al., 2006; Jeong, et al., 2007) that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are independent although they are correlated to certain extent. Second, the finding that well-being can be increased by satisfaction of BPNs without the presence of meaning gives significant implication in college counseling. This suggests that well-being of clients, who are suffering from the absence of meaning in their life, can be increased through satisfying need of competence, autonomy and relatedness as well as encouraging them to find meaning in life.;본 연구는 ‘인간은 무엇을 통해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가?’, ‘의미를 찾고 발견하는 과정이 인간의 안녕감(well-being)과는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따라 삶의 의미 추구와 발견을 독립된 구인으로 보는 최근의 연구 흐름과 인간의 기본심리욕구의 충족을 의미발견의 예측요인으로 제시하는 기본심리욕구 이론을 바탕으로 의미를 발견함에 있어 기본심리욕구가 도움을 주는지, 그리고 의미 추구 및 발견이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기본심리욕구의 충족이 안녕감을 예측하는 동시에 의미 추구와 의미 발견을 매개할 것으로 보았으며, 의미를 추구하는 것만으로도 안녕감을 느낀다고 가정하였다. 이때 안녕감의 쾌락적·자아실현적 측면을 모두 살피기 위해 주관적·심리적 안녕감을 함께 측정하였다. 연구에는 서울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367명의 학생이 참여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기본심리욕구 척도, 삶의 의미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삶에 대한 만족 척도 및 인구통계학적 질문을 포함한 질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을 실시했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심리욕구의 충족이 주관적 안녕감 및 심리적 안녕감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본심리욕구가 안녕감의 주요한 예측 변인임을 확인하였다(이명희, 김아영, 2008; 안도희 등, 2008; 이주일 등, 2009; Ryan & Deci, 2000). 또한 기본심리욕구의 충족이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의미추구에서 의미발견으로 이어짐에 있어 기본심리욕구의 충족이 중요함을 새롭게 확인하였다. 둘째, 삶의 의미와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발견이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삶의 의미(의미존재)가 안녕감과 강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음(원두리, 김교헌, 2006; 정주리, 2006; Tedeschi & Calhoun, 2004; Zika & Chamberlain, 1992)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의미추구는 주관적·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기본심리욕구 및 의미발견을 통해서만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의미를 추구하는 것만으로는 안녕감으로 이어지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권선중, 2005; 정주리 등, 2007; Davis, Wortman, Lehman & Silver, 2000; Steger 등, 2006),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이 안녕감과의 관계에 있어 다른 양상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의미추구가 기본심리욕구 및 의미발견을 통해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의미추구에서 주관적·심리적 안녕감으로 이어짐에 있어 기본심리욕구가 매개하는 경로와 의미발견이 매개하는 경로, 기본심리욕구와 의미발견 두 개의 매개변인이 매개하는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본심리욕구 및 의미발견이 의미추구와 안녕감의 중요한 매개변인임을 확인시켜주는 동시에, 의미추구가 의미발견으로 이어지지 않더라도 기본심리욕구를 통해 안녕감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종합해 보면, 본 연구를 통해 의미추구 및 발견, 기본심리욕구와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를 추구하는 것만으로는 안녕감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것(권선중, 2005; Steger 등, 2006; 정주리 등, 2007; Davis, Wortman, Lehman & Silver, 2000)과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이 안녕감과의 관계에 있어 다른 양상을 보임을 확인함으로써 관련 연구를 누적하였다. 또한 기본심리욕구의 충족이 의미추구와 안녕감을 매개한다는 것을 새롭게 확인하였으며, 의미추구가 의미발견으로 이어지지 않더라도 다른 변인을 통해 안녕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이에 대한 논의를 확장시켰다. 이는 상담 장면에도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미의 부재로 인해 고통 받는 내담자들에게 의미탐색 외에도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을 충족시키도록 도움으로써 안녕감을 높이고 의미발견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