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7 Download: 0

한국사회 복지태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사회 복지태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Welfare Attitude in Korean Society : Focusing on Class, Self-interest and Ideological Factors
Authors
전주현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주희
Abstract
복지태도는 복지에 대한 찬반의견 차원을 넘어서 복지제도 전반에 대한 가치평가와 행동지향을 아우르는 사회적 태도를 의미하며, 민주주의 정책결정 과정에서 복지정책 형성의 기본토대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복지 전반의 방향성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서구 복지국가들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국민들의 복지태도가 복지정책을 결정하는 주요요인으로 간주되었으며, 관련 경험적 연구들에서도 복지태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토하는 작업들이 꾸준히 누적되어 왔다. 그러나 서구와 달리 한국의 복지정치는 비교적 뒤늦게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민주화를 계기로 시민사회가 활성화되면서 복지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초적 환경이 조성되었으며, IMF 경제위기와 참여정부를 거치고서야 비로소 국민들의 복지 관심의 증대와 더불어 사회구성원들의 복지태도가 복지제도 방향성의 근간을 구성하는 요소로 간주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한국 복지의 역사적 맥락에서 한국사회 복지태도에 관한 경험적 연구 또한 서구 대상의 연구들보다 뒤늦게 수행되기 시작하였으며, 여전히 복지태도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에서 복지태도의 집단 별 분화가 나타나는지, 그리고 나아가 한국사회 복지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지태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계급, 자기이해적 요인, 이념적 요인의 세 가지 큰 카테고리에 속하는 각각의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전국 만 19세 이상의 성인남녀 1,0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SPSS 18.0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라이트의 계급모형에 따른 복지태도의 계급별 차이 및 계급변수의 복지태도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복지태도의 계급 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계급변수가 복지태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복지태도의 다차원적 검토를 위해 단일범주가 아닌 네 가지 차원에 걸쳐 다섯 가지 하위 범주로 나누어 복지태도를 측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 중 어떠한 범주에서도 계급변수에 있어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한국사회에서 계급 별 복지태도 분화가 나타나지 않으며, 계급적 지위가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력 또한 몹시 미약하다는 선행연구들과 같은 맥락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 중 생활수준, 가구소득, 성별, 연령, 학력을 자기이해적 요인으로 포함시켜 복지태도에 대한 이들 변수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현재 생활수준과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인 성별, 연령, 학력이 복지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내용면에서는 자기이해적 논리에 근거한 양상이 일관성 있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남성에 비해 여성이, 그리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높은 복지태도를 보인다는 결과는 자기이해적 논리의 연장선에 있는 결과였다. 그러나 학력이 높을수록 오히려 친복지적인 태도를 보이거나, 생활수준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복지의 정부책임도와 정부의 복지재정지출 확대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다는 결과는 자기이해론의 관점과 상반되는 결과였다. 따라서 한국사회 복지태도는 현재생활수준, 성별, 연령, 학력이 영향을 받으나, 이는 일관적 자기이해에 기반 한 양상은 아니라는 점이 확인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지역, 선호정당, 정치성향이 이념적 차원에서 복지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상 하에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들 세 변수 모두 복지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정치성향과 선호정당은 복지태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치성향과 선호정당에 있어 진보적 정치성향 및 진보정당에 대한 선호가 높은 복지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는 서구 국가들 대상의 경험적 연구들과도 유사한 맥락에 있다는 점에서, 한국에서도 이념적 요인이 복지태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복지태도에 대한 경험적 분석에 있어 복지유형에 대한 태도, 복지기능에 대한 태도, 복지책임 주체에 대한 태도, 복지비용에 대한 태도라는 각각의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봤다는 점에서 종속변수인 복지태도에 대한 다면적 접근을 시도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위치 관련 변수, 인구 사회학적 변수, 지역변수, 정치성향, 선호정당, 지역변수를 자기이해적 요인과 이념적 요인이라는 두 차원에 포함시켜, 이들 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인 경우, 해당 차원의 관점에 기반한 해석을 시도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그간 복지태도 연구에서 자주 다뤄지지 않은 지역변수를 고려하였으며, 국내 선행연구들 보다 세분화 된 지역구분을 통해 복지태도의 지역 간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났음은 물론 복지태도에 미치는 지역변수의 영향력도 상당하다는 결과를 밝혀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Welfare attitude means not just deciding for or against about welfare but of social attitude that covers evaluation and behavior orientation of general welfare system. Through a policy making process on democracy, welfare attitude functions as basis for welfare policy formation, also affects significantly on general direction of welfare. In Western welfare countries, it has already been regarded that public welfare attitude towards social welfare is a main factor determinating welfare policy. In addition, lots of works also have been accumulated which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welfare attitude as dependent variable in empirical research studies. But, in contrast to Western welfare countries, welfare politics has started to be developed belatedly in Korea. As democratization vitalizes civil society, basic social environment that can discuss about welfare has been created. Not until the IMF economic crisis and (President) Roh’s administration, people's interest to welfare increased, and social members' welfare attitude has been regarded as a basic factor of direction for welfare system. In this historical context of Korean welfare, therefore, empirical research of Korean welfare attitude has conducted far behind than the studies of Western, and still, Korean studies about factors that determining welfare attitude are insufficient. For this reas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whether there has been distinction of welfare attitude between groups in Korean society, and what the factors are which influence welfare attitude in Korea. To attain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set welfare attitude as dependent variable, and three big categorical factors - class, self-understanding factors and ideological factors - a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To verify research hypothesis, the study examined collected data by survey of 1020 people aging over 19, using SPSS 18.0. Below are the summaries of this study’s result. First, in this research, class differentiation of welfare attitude according to Wright’s class model and influence to welfare attitude of class variation were examined.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in welfare attitude among classes, and it was appeared that class variation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over welfare attitude. Although welfare attitude in the research were measured by five sub-categories over four levels to examine multiple dimensions, there was not a single category that has significant influence in classical variation among those sub-categories. This result lies with precedent researches that there is no class differentiation in welfare attitude in Korean society, and the influence of class status over welfare attitude is very weak. Second, among the independent variations, this study included standard of living, household income, gender, age and education background as self-understanding factors to verify their influence over welfare attitude. As a result, standard of living and also social demographic variations -gender,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 had significant influence statistically over welfare attitude. In content-wise, however, aspects based on self-understanding logics were not consistently appeared. The result that women, compared to men, and as age increases shows higher welfare attitude was relevant to self-understanding logics. On the other hand, the result that people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is pro-welfare attitude, or people with lower standard of living shows passive attitude towards the governmental responsibility about welfare and the expansion of government's welfare expenditure was contrast with the view of self-understanding. Therefore, this study finds that in Korean society, welfare attitude is affected by current standard of living, gender,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but it is not the aspect which is based on coherent self-understanding. Thir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nder the assumption that preference of political party, political orientation and region will affect welfare attitude in ideological level. As a consequence, all these three variations affected significantly on welfare attitude. Especially, political orientation and political party preference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welfare attitude. For political orientation and political party preference, the result that progressive political orientation and preference to progressive party affect high welfare attitude showed similar results with the empirical studies of Western countries. For this reason, the study can argue that ideological factors affect significant influence over welfare attitude also in Korea. In empirical analysis for welfare attitude, this study has its importance for trying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welfare attitude, in terms of examination divided into each dimension - attitude of welfare types, attitude of welfare function and attitude of welfare expansion. Moreover, in this study, economical status variation, social-demographic variation, region variation, political orientation and political party preference were included into two categories, which is self-understanding factor and ideological factor. It has a meaning that with these variations showing significant result statistically, the study tried the interpretation based on each categorical perspective. Lastly, this study has regarded regional variations that has been not often dealt with by welfare attitude researches which are done so far. Thus, the study has its importance of finding out that there is clear difference among the regions through detailed region division than other precedent domestic studies, and also that regional variations affecting welfare attitude has significant influ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