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7 Download: 0

이주여성 모자가족의 자녀 돌봄에 있어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

Title
이주여성 모자가족의 자녀 돌봄에 있어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in the Form of Childcare Among Single-mother Immigrant Families : Focusing on the Changing Role of "A" Community Childcare Center
Authors
이정은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함인희
Abstract
This paper poses the question “How would social support impact a single parent family of immigrant women in Korea”. On this paper, Single parent families of immigrant women are defined as immigrant women from countries in Asia who have had their marriage terminated with divorce, separation, or death of a spouse. It is a new type of family in Korea that has no support either from a husband or a family-in-law. While this type of family experiences such changes, a child and mother may go through a challenging period that would weaken the family with visible depression and emotional anguish. It is important to provide social support for the single parent family of immigrant women. A mother needs to play several roles as an immigrant, a single parent, a mother and a breadwinner. However, it is a relatively rare case to study such regards to social support for a “single parent family of immigrant women in Korea”. Therefore, this paper studies a case of “A” community childcare center that provides support system for a family of this kind. A qualitative study was used with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several times with members of such families. First of all, the reasons of a social support system for those families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s have increased over the years with an extension of scope and criteria of mass immigration all over the world. Korea is not an exception for immigrants and in fact it has seen an increase in international marriages annually. Inter-Asian marriages of Asian women and Korean men rank the top amongst the kinds of cross-cultural marriages. Immigrant women married to Korean men are drawing massive attention as they become a quite a new type of Korean citizen. In earlier times, the adaptation of marital immigrant women to Korean society was more of an issue and it has become a matter of family and child care. As children from those families become school aged, new dilemmas emerge such as adapting to school and identity and development of kids become more important. Any given immigrant woman was objectified not as an individual but as a group that shares a sort of common interest. This also brings up a negative social stigma as it focuses on immigrant single mothers with a child of Korean heritage to have a problems adapting at Korean schools. Therefore, it is more essential to understand immigrant women’s individualities and diverse problems that they face in everyday life rather than their culture and language barriers as a whole. Now,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this new kind of family structure and trying to find a solution to help them in the society to which they belong has since become an issue. When a Korean husband cannot carry his duty in his family with an immigrant wife anymore under such circumstances due to divorce, separation, or death, the immigrant woman starts to live off a totally different life than before. Providing a proper care to kids may be an issue as well. Generally, when a family falls apart due to the divorce of parents, it becomes not only a matter of individual, but of society’s burden as well. Broken families now need more intervention from outside the family. As the numbers of this type of divorced families increase, the adaptation of the families has become a prospective field to study nowadays. Many studies prove that social welfare and support systems function as positive assets to those who are in need. It needs interaction with members involved in this family’s creation to lessen the risks of immigrant women’s lack of capability of childcare and support. It is also expected to provide aids to resolve many various problems to occur. It is needless to say that social support is to provide reasonable intervention geared to any individual’s family and its uniqueness. Furthermore, social support systems need to consider a mechanism of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with people in general which brings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That is why this paper focuses on the idea that social support comes from interrelated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that occur within the given society. Previous studies emphasized how social support functions for kids with a divorced immigrant mother work as society’s capacity to provide proper care and education. The results were lacking. Not surprisingly, empirical research for this specific of a study are not easy to locate. This is why qualitative and empirical research over this subject are more needed. “A” community childcare center that this paper studies is modeled after “H” private 24 hour operating daycare which had 10 years of social support to divorced immigrant women’s family. “A” community childcare center may play a role in this paper as an empirical reference. It provides all sorts of support; child protection, education, culture and welfare. It bridges the community and the family who comes to this daycare for support. Social support for divorced immigrant women can be as innocent as building a supportive friendship among themselves. According to this thesis, social support for single parent family of immigrant women is rather diverse and dynamic. First of all, a family structure of a single parent family of immigrant women experiences major troubles such as adapting to new culture and language as an immigrant, lack of parenting skills and making a living as the primary breadwinner. Inevitably, parenting and child support from divorced immigrant mothers has an outwardly influence on society. Social support also needs to familiarize itself as immigrant mothers’ adapt to Korea and improves children’s developmental periods. Through this, “A” community childcare center experiences changes in social support step by step. Secondly, a rapport between a daycare manager and divorce immigrant women has optimistically influenced how single parent families stands on their own feet. With the help a daycare manager provides, such as contacting any related community service, school personnel and household of which this family were not able to contact for any reasons, gainful use can be seen. On the other hand, an overly attached relationship, lack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control and intervention have resulted in unintended, negative outcomes. A daycare service that operates 24 hours a day for children create emotional distance between a mother and her child. It is clear that a social support system needs to function for school-aged kids differently than before. “A” community childcare center has changed its notion from full time care center to after school program provider. Also, the family meets every day instead of weekends only. Single parent families from this daycare started realizing the value of family time spent together. Social interaction between a child and a mother in divorced immigrant families indicates how social support system works. Although a communication problem and lack of stability in caring, the daycare started looking for new ways of support. It is a remarkable change that an immigrant mother has shown her eagerness and independence to initiate her opinions while “A” daycare manager and an immigrant mother had a conflict over a concept of child care. Single parent families of immigrant women also require their autonomy as mothers. Therefore, “A” community childcare center started seeing and supporting the strength and potential to gain independence for the sake of the mothers. Lastly, it is learned that rapport, time and aptness of the family to a daycare can affect possibilities of unintended results. In other words, social support can function as its own criteria but at some point it could result in negativity depending on how it is interpreted and used. “A” community childcare notices quite delicately in early stages what single parent family of immigrant women’s needs are. They develop a social support system step by step. It gives both a daycare and mothers a chance to either maintain or improve a rapport between them. According to the outcome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lies as follows. Most of all, it attempts to take an empirical method over a social support from a 24 hour operating daycare for divorced immigrant women. It studies the changes of the support system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daycare and mothers, as well. This helps to view immigrant women as independent breadwinners rather than simply caretakers. Also, a broken family structure would no longer pose a need for social support. On the other hand, it varies what a single parent family of immigrant women would demand for social support while facing changes in family. Immigrant mothers and children’s unique and individual experience and development may demand various kinds of supports. Without a doubt, due to the nature of qualitative case studies, results cannot be generalized in any quantitative fashion. As this study suggests, it can become a primary resource of understanding “a life of single parent family of immigrant women” and a follow-up study can be taken in regard of the lifespan of this unique family type.;이 논문은 ‘이주여성 모자가족의 자녀 돌봄에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하였다. 이 연구에서 이주여성 모자가족이라 함은 아시아 국가 출신의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인 남편과의 이혼, 별거, 사별 등으로 인하여 남편과 시댁가족의 도움 없이 자녀 돌봄을 책임지는 새로운 가족 형태를 의미한다. 가족의 변화로 이주여성 모자가족은 우울이나 불안 등 정서적 변화를 겪기도 하며 가족의 안정성이 약화되기도 한다. 이주자, 여성 한부모, 어머니라는 다중적인 위치에서 자녀를 돌봐야 하는 이주여성 어머니에게나, 또한 보호를 받아야 하는 아동에게나 돌봄 환경요소로서 사회적지지 경험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이주여성 모자가족의 돌봄 환경에 있어 사회적 지지원이 되는 A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지지를 주고받는 각 구성원에 대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등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이주여성 모자가족의 형성과정과 사회적 지지의 필요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국제이주의 규모와 범주의 확대와 함께 한국 사회 내에서도 국제결혼을 통해 형성되는 새로운 가족이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그중, 아시아 국가 출신의 여성과 한국인 남성과의 혼인이 대다수를 차지함에 따라, 한국 사회에서 새로운 성원으로 등장한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었다. 초기에는 결혼이주여성 개인의 한국 사회 적응에 주로 초점이 맞춰졌다면, 점차 가족 유지와 자녀 양육이 관건이 되었다. 특히, 자녀 세대가 성장하고 학령기 아동의 수가 급증하면서 학교 적응 문제 등 아동의 건강한 성장에 대한 접근이 중요해졌다. 결혼이주 동기나, 보유한 사회적 자원 등 개인에 따라 다양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결혼이주여성을 동질적인 집단으로 상정하는 것이나 자녀의 학교 부적응 문제 원인을 주 양육자인 이주여성의 언어 및 문화적 배경과 같은 개인 혹은 가족 구조의 특성으로 환원하는 것은 국제결혼가족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를 저해한다. 따라서 이제는 가족 체계를 둘러싼 사회적 환경에 대한 모색이 중요해지는 시점이다. 한편, 남편과의 이혼, 별거, 사별 등 다양한 원인으로 결혼이주여성은 이전과 다른 양상의 삶을 살게 된다. 이때에 어머니가 경험하는 현실은 곧 아동에 대한 돌봄의 환경으로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가족 해체의 결과가 가족문제, 나아가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가족구조상의 결핍에 대한 사회적 개입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가족의 해체 만이 아니라 해체 이후에 가족 구성원이 점차 적응하며 새로운 삶을 살아가는 과정 역시 중요한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또한 사회적 지지에 있어서도 일방적이며 무조건적인 개입이 아니라 가족체계에 적합한 형태로 주관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지각해야 함이 강조된다. 다양한 학문을 기반으로 한 실증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회적 지지가 긍정적 자원으로서 기능하고 있음이 보고되었다. 사회적 지지는 가족체계 안에서 주 양육자로서 이주여성이 경험하는 양육 스트레스 등 위험요인으로부터 보호하는 등 가족의 체계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사회적 지지 역시 인간관계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관계적 역동성을 고려해야 하며 긍정적인 영향 뿐 아니라 부정적인 영향도 미친다는 사실을 간과할 수 없다. 이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가 상호작용을 통한 쌍방향적인 관계에서 진행된다는 맥락에 중심을 두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주여성 모자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지를 강조함에 있어 이주여성 개인에게 제공되는 사회적 지지와, 가족구조와 환경의 취약함으로 적절한 돌봄과 교육의 기회가 제공되지 못했던 아동들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기능적인 측면들이 부각되었다. 그러나 사회적 지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미비한 편이었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이 주로 횡단연구로 진행되었던 것과 달리, 사회적 지지가 이주여성 모자가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체계적으로 관찰하여 경험적으로 증명하기 위한 종단연구 역시 요구된다. A지역아동센터는 24시간 돌봄 지지체계였던 하늘어린이집을 원초로 하여 민간차원에서 이주여성 모자가족의 돌봄 환경에 있어 사회적지지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따라서 A지역아동센터는 이주여성 모자가족을 포함하여 한국 사회 이주여성의 자녀 돌봄의 경험에 대한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다. A지역아동센터는 기관을 이용하는 가족에게 아동 보호, 교육, 문화, 복지 등의 지원과 지역사회와의 연계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한편, 가족이 기댈 수 있는 버팀목이 되어 주었다. 이주여성 모자가족들은 서로 의지할 수 있는 유대감을 느끼며 친구이자 이웃으로서 ‘가족’과 같은 공동체를 형성하는데 이것은 그 자체로 사회적 지지망이 된다. 연구 질문에 따른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변화로 인한 이주여성 모자가족의 가족 체계는 한부모 이주여성이 이주자로서 유입국 사회에 적응함과 동시에 자녀 돌봄과 생계부담자로서의 현실적인 문제에 직면하면서 삼중고에 놓이는 특성이 있다. 돌봄의 위기에 대해서는 불가피하게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사회적 지지체계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주여성이 경험하는 현실 상황과 아동의 발달주기에 따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욕구가 달라졌고, 이 때문에 A지역아동센터는 단계별로 사회적 지지체계가 변화하는 과정을 겪게 되었다. 둘째, 이주여성 모자가족 자녀 돌봄에 있어 사회적 지지원이 되는 A지역아동센터와 이주여성 모자가족과의 관계적인 특성을 살펴보았다. 기관의 담당자와 이주여성 모자가족의 구성원 간에 획득되는 유사 가족적 친밀성과 기관의 담당자가 제공하는 지역사회·학교와의 중재, 가족을 단위로 하는 지지로의 확장은 일차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반면, 기관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경향이나, 이주여성 모자가족과 외부 체계의 소통기회 단절, 사회적 지지체계 단계에서는 영유아기에 요구되었던 24시간 돌봄 지지체계가 장기화됨에 따라 가족 간의 정서적 공백이 발생되었고 학령기 아동에 적합한 사회적 지지체계로의 변화가 요구되었다. 기관-가족이 협력하는 사회적 지지체계 단계에서는 생활형 시설에서 방과 후 이용시설로 변화가 모색되며 ‘주말가족’은 ‘일일가족’으로 변화하였고 또 가족 결속성에 대한 경험이나 일상성을 회복하였다. 또한, 가족공간으로서 ‘집’에 의미를 부여하기 시작하였다. 이를 통해 어머니와 아동 사이에서 일어난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사회적 지지가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모-자녀 간의 소통이나 돌봄 방식의 일관성에 대해서는 문제가 초래되었다. 따라서 기관의 차원에서는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데 나타난, 의도하지 않은 결과에 대해 성찰하며 새로운 발전을 모색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기관 담당자와 어머니의 자녀 돌봄에 대한 가치에 있어 갈등이 발생하였는데 대응 과정에서 이주여성 어머니는 지지를 받는 수동적인 입장에 그치지 않고 능동적인 존재임을 드러내기도 했다. 또한 기관을 이용하는 이주여성 모자가족은 자율성이 보장될 것을 요구하였다. 한편, 이주여성 모자가족의 자녀 돌봄 환경을 ‘결핍’의 관점에서 보완해야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던 기관은 가족의 ‘강점’을 발견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지지하며 기관과 가족이 동반자적 협력관계를 맺어야 하는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A지역아동센터의 역할 변화과정을 통해, 사회적 지지가 몇 가지 조건, 즉 관계성, 시간성, 적합성 등에 의하여 의도하지 않은 결과로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지역아동센터는 이주여성 모자가족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필요성을 민감하게 파악하고 이에 따라 단계별로 사회적 지지체계의 변화시켰다. 따라서 변화 단계에 있어 전후 상황의 맥락에서 이주여성 모자가족과 기관은 관계를 유지하며 다양한 상호작용을 했다. 일련의 사회적 지지체계의 변화과정은 이주여성 모자가족에게 있어 최적화된 돌봄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A지역아동센터는 과거처럼 기관 중심적으로 사회적 지지를 제공했던 입장에서 벗어나 점차 상호 작용에 따른 신뢰를 기초로 어느 한쪽으로 힘의 균형이 치우쳐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성찰하게 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주여성 모자가족의 돌봄 환경 안에서의 기관과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A지역아동센터의 역할이 변화하는 과정을 경험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로써 이주여성 모자가족을 수혜자로서 정형화하거나 가족 구조의 결핍에 주목하여 이주여성 모자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제공을 강조하는 기존의 논의에서 한발 나아갈 수 있었다. 한편, 이주여성 모자가족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욕구는 고정불변한 것이 아니라, 이주여성의 경험과 아동의 발달단계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난다는 사실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A지역아동센터의 사례는 이주여성 모자가족의 삶을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이주여성 모자가족의 생애주기를 고려한 후속연구를 제안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