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함인희-
dc.contributor.author김승민-
dc.creator김승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6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10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4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103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우리 사회를 반영하고 있는 문화적 대상으로써 그림책을 보고 유아그림책에서 가족은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지, 그리고 그 관계는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가족과 관련된 연구에서 가족을 하나의 정상적인 형태로 보는 시각에 대한 비판은 있었으나, 유아가 접하는 가족에 대해서는 거의 논의되어 있지 않았다. 하지만 유아시기부터 사회적 발달을 시작해 가족에 대한 개념이 정립됨에 따라 유아가 접하고 있는 가족은 어떠한지를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가 접하고 있는 가족을 분석하기 위해서, 유아교육에서 가족주제로 선정된 그림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그림책에 나타난 가족을 분석하는 기준으로써 가족형태, 주제, 가족구성원과의 관계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족관계에서는 부모, 형제-자매, 조부모와의 관계에서 그 형태와 구성원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또한 부모의 역할은 그림책 출판 국가의 문화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이에 따른 비교 분석도 진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156권의 책을 내용분석의 방식으로 분석하였고 이에 따라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의 방식에 따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에 나타난 가족관련 주제는 부모 및 가족 간의 사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오누이간의 우애, 조부모에 대한 이해와 사랑이 뒤이었다. 이는 그림책에서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가 중요시 나타나고 있으며 또한 이는 가족의 사랑 및 애정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이는 우리가 가족을 신화적인 존재로 이상화하고 있음과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둘째, 부모-자녀관계에서는 모(母)의 등장이 부(父)보다 2배 이상 많았고 조부모-손자녀 관계에서도 조모(祖母)의 등장이 조부(祖父)의 등장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이는 가족 내 아이와의 관계에서 여성의 역할이 더 부각되고 있음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형제-자매의 관계에서는 남매의 형태가 가장 많이 등장했다. 셋째, 가족 구성원의 역할에서 부모의 역할은 정서적안정감과 가정융화의 역할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형제-자매의 역할은 보호자의 역할이 가장 크게 나타나고 조부모의 역할은 지적·정서적 조력자로서의 역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위의 부모의 역할은 아시아와 비아시아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권에서는 가정융화가, 비아시아권에서는 정서적안정감이 주요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아시아의 가족주의와 서구의 개인주의의 관련성으로 볼 수 있다. 넷째, 가족의 형태 및 구성은 2대로 이루어진 핵가족과 5인 이하의 소가족이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했고 이는 실제 인구총조사의 결과와도 비슷하게 나타나 그림책이 현실의 가족형태를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비전통적가족형태는 전체 156권의 책 중 30권에서 등장하고 있었고 한부모가족, 입양가족, 이혼가족, 재혼가족, 조손가족, 노인가족, 다문화가족, 맞벌이가족 등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가족들은 실제 가족관련 통계와 비교해봤을 때, 비교적 많은 수로 존재하나 그림책에서는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그림책에서 비전통적가족형태는 주로 결핍의 대상으로서 묘사됨에 따라 지원과 관심의 대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들이 정상가족 외의 가족의 형태로 여겨짐을 알 수 있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에 나타난 가족형태와 가족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유아들이 어떤 가족형태와 가족 관계에 노출되어 있는지를 밝혔다. 둘째, 그림책을 선정해 보려는 부모나 교사, 그림책을 쓰고자하는 작가들에게 다양한 가족에의 접근과 분석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셋째, 부모의 역할과 유아기가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는 유아교육 내의 가족에 대한 시각에 의문을 제기한 데에 의의가 있다. 넷째, 유아가 보는 가족의 모습을 밝혀 가족에 대한 미시적인 시점을 제시했다. 이는 학문적 수준에서 논의되는 가족과 실제 가족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유아가 접하는 가족이 다름에 대해 생각할 관심의 기초를 마련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types and relationship of family described in children’s picture books as the cultural objects that reflect our society. Although previous studies on family have provided critical standpoint on the perspective of viewing only a certain type of family as the normal one, however, almost no focus has been given to the family that children face. However, this topic is worthy of consideration given the fact that socialization and formation of concept of family start in the early childhood. This study involves the analysis of children’s picture books selected to have a theme about family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ype of family, theme about family, and relationship among family members were selected as the major areas of analysis of family described in those picture books. As of family relationship, the aspect and role of family members were reviewed in young children’s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siblings, and grandparents. In addition, as parental role differs in different cultures of the publishing countries, comparis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gure out such difference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mentioned above, this study analyzed 156 children’s books selected for this analysis. The result of collected data was displayed in the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tabul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ve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among family members appeared with the highest frequency, followed by love among siblings, and understanding of and affection for grandparents. As a whole, these picture books illustrate that relationship among family members is crucial and focus intensely on love and affection of family. Such findings are in the same line with the phenomenon in which we idolize family as mystified object. Second, when it comes to parent-children relationship, mother appeared twice more frequently than fathers did, and grandparent-children relationship, grandmother appeared twice more than grandfather did. It can be interpreted that female role is more highlighted in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in the family. Also, when it comes to relationship of siblings, the relationship of brother and sister was the most favored type, outnumbering that of only brothers or only sisters. Third, regarding roles of family members, parental role was outstandingly described as provider of emotional stability and harmony of family, fraternal role as guardian, and grandparents’ role as intellectual or emotional supporter. Parents’ role diverged in Asian and non-Asian regions. Asian picture books consumed more portions about harmony of family, whereas non-Asian books, about emotional stability. This finding seems to be correlated to Asia’s familism and the West’s individualism. Fourth, nucleus family comprising of two generations and small family comprising of five or less family members accounted for more than 80% among family types and compositions. It reflects the actual family types in the reality, as shown in the census result. Non-traditional family types were illustrated in the 30 out of 156 books; one parent family, adopted family, divorced family, family with grandparents, and without parents, family with only seniors, multicultural family, and double-income family. Such family types were not proportionally described in those books, when compared to the actual portion out of the whole family types based on the census result. Also, such non-traditional families were described as with deficiency, or, as a result, as the subject in need of support and attention. These books imply that these family types are not the normal family type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reveals the type and the relationship of family that children are exposed to through analyzing family types and family relationship described in the children’s picture books. Second, this study provides various approaches and analysis of family to parents and teachers who want to choose the right picture books for kids, and to writers who create picture books for children. Third, this study raises question against early childhood education’s conventional viewpoint about family that takes much importance on parental role and early childhood. Fourth, this study provides another micro perspective about family by revealing the family that young children experience. This holds implication in that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basis on which to speculate the gap between the family discussed in academia and the family that children experience as the ones influenced by family the mos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문제의 제기 1 B. 연구 문제 5 II. 이론적 배경 7 A. 정상 가족 논의 7 B. 유치원 교육에 나타난 가족 9 C. 그림책의 개념과 교육적 기능 12 D. 선행연구 개관 14 III. 연구방법 17 A. 분석 대상 17 B. 분석 기준 20 1. 가족 주제 20 2. 가족 관계 21 가. 부모-자녀 관계 21 나. 형제-자매 관계 25 다. 조부모-손자녀 관계 28 라. 문화적 차이 30 3. 가족 형태 31 C. 연구 절차 33 1. 예비 연구 33 2. 본 연구 33 3. 자료 분석 34 4. 자료의 처리 34 IV. 연구결과 및 해석 36 A. 그림책에 나타난 가족 주제 및 가족 관계 36 1. 그림책에 나타난 가족 주제 36 2. 그림책에 나타난 가족 관계 38 가. 부모-자녀 관계 38 나. 형제-자매 관계 41 다. 조부모-손자녀 관계 43 B. 그림책 속 가족의 문화적 비교 47 1. 문화권별 차이에 따른 부모-자녀 관계 47 2. 삽화로 보는 문화권별 차이에 따른 부모-자녀 관계 50 C. 실제 가족과 그림책에 나타난 가족 비교 55 1. 가족구성원 수와 혈연범위에 따른 가족형태 55 2. 비전통적 가족형태 58 가. 한부모가족 60 나. 입양가족 62 다. 맞벌이가족 66 라. 이혼 및 재혼가족 68 마. 다문화가족 72 바. 기타 비전통 가족형태 75 V. 결론 및 제언 77 참고문헌 81 <부록> 분석 대상 도서 85 ABSTRACT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994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유아 그림책에 나타난 가족형태 및 가족관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실제와 허구 그리고 문화적 차이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Analysis of Family Types and Family Relationships in Children’s PictureBooks : With Focus on Reality Versus Fiction, and Cultural Difference-
dc.creator.othernameKim, Seng Min-
dc.format.pageviii, 9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