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5 Download: 0

한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사회자본과 생활 만족도

Title
한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사회자본과 생활 만족도
Other Titles
Soci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of Migrant Woman in Korea
Authors
이상흔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성남
Abstract
본 연구는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생활만족도와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이들의 삶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적용범위가 넓은 사회적 자본이라는 대안을 적용하는 데 있어서 더 적합한 유형이 있다면 실증적으로 과연 어떠한 유형의 사회적 자본이 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요인인지 알아보고, 그들의 삶에 대한 이해를 도모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하는 결혼이주 여성들의 생활만족도와 이들의 개인적 요인 및 네트워크와 사회참여들을 포함한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자료는 설문지를 통한 양적 자료가 수집되어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증, 일원배치분석, Pearson의 이 변량상관 분석을 이용하였다. 이주여성의 한국사회에 적응을 위한 전제조건으로서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가운데 사회적 자본을 세 단계로 유형화 하여 인구사회적요인(가족 및 개인적 변인), 한국인관계망 모국관계망(내부자본), 공적사회서비스, 정부지원 참여 수(외부자본)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거주기간이 짧을수록,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특히 한국인네트워크가 발달해 있을수록, 한국 관계망과 모국 관계망여부가 생활만족도를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는 사회적자본이 영향력이 있으며, 한국인 네트워크와 모국인 네트워크가 잘 이루어질수록 생활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적 사회서비스와 같은 정부지원서비스의 영향력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This study aims at finding an influence factor for life satisfaction of migrant woman among the various types of social capital which has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as an alternative. Targeting soci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of immigrant wives, the study tried to confirm if there is more effective type of social capital for the target and to find it through empirical method so we can enhance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an.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 study. For this study, the quantitative data based on the survey was collected and analyzed to review the relation between life satisfaction of immigrant wives and social capital including personal factor, networks and social participation of immigrant wive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WIN 12.0 statistical program and frequency, percentage, the standard deviation, T verification, One-way ANOVA(Analysis of Variance),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used. The study categorized social capital into three types, among various factors influencing on immigrant wives' life satisfaction which is a precondition for their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Then tried to discover the relation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sociodemographic factor(family and individual variable), networks with Koreans & networks with home country people(inside capital), public social services and number of participation for government supports. For this, the influence factor for immigrant wives' life satisfaction was analyzed through hiera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s result showed that if immigrant wives have a shorter sojourn period, a higher income and especially various networks with Koreans, the networks(not only with Koreans but also with ones from home country) became a key factor for their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life satisfaction of immigrant wives will be high according to an influence of social capital and development of both networks-one with Koreans and the other with home country people-. It also showed an influence of public social service such as a government support was significa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