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연경-
dc.contributor.author최예진-
dc.creator최예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6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99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4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9975-
dc.description.abstract인터넷 서점의 비중과 이용이 해마다 높아지고, 최근 국민소득의 증가와 생활수준의 향상, 의학의 발달로 인해 평균수명이 크게 증가하고 삶의 질과 건강을 중시하는 시대적 조류가 등장함에 따라 다양한 건강관련 정보를 담고 있는 도서와 전자책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인터넷 서점의 이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건강과 같은 특정 주제 분야에 대한 이용자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인터넷 서점에서 이용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주제별로 분류하여 검색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주제별 검색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 서점들은 상업적인 목적의 분류와 전통적 문헌분류가 혼재된 분류체계를 사용하고 있으며, 주제 분야별로 분류된 카테고리의 구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이용자들의 효율적인 접근이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서점에서 건강분야 도서를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면담조사, 그리고 전문가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인터넷 서점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인터넷 서점에서의 주제별 분류체계에 대해 살펴본 후, 국내·외 8곳의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 현황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KDC, DDC의 해당 주제 분류항목과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 개선안을 설계하기 위하여 대학생 및 대학원생 22명을 대상으로 건강분야 분류체계의 이용에 대한 이용자 면담을 진행하였다. 이용자 면담을 통해 도출한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의 개선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분야를 다른 주제와 복합적으로 조합하지 않고, 단독 카테고리로 전개해야 한다. 둘째, 건강분야의 중분류 항목에서 배열의 기준을 명확히 설정해야 한다. 셋째, 건강분야의 분류 항목 전개에 있어 웰빙, 힐링과 같은 최근의 트렌드와 관련하여 이용자들의 관심사를 반영한 주제항목을 추가하여 전개해야 한다. 넷째, 다이어트, 질병치료 및 예방, 건강 식단, 운동과 같이 이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주제에 대해서는 건강분야에서 보편적으로 전개하는 분류항목으로 설정하고, 이를 상세하게 전개해야 한다. 다섯째, 이용자가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를 사용하여 분류항목의 명칭으로 제시한다. 여섯째, 주제항목에 대한 이용자의 이용 빈도가 높은 경우, 이용자에게 다양한 접근점을 제공하기 위해 분류항목을 중복적으로 전개하는 것을 고려해야한다. 국내·외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 현황 비교·분석 결과와 이용자 면담 결과를 기초로 하여 설계원칙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 설계안을 제시하였으며, 이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을 대분류 항목으로 13개의 중분류 항목과 63개의 소분류 항목, 27개의 세분류 항목을 제시하여 총 103개의 주제항목을 전개하였다. 둘째, 건강분야에서 전개되는 중분류 항목과 소분류 항목은 자모순에 따라 배열하여 전개하였다. 그러나 서점만의 특화된 주제항목인 ‘건강시리즈/총서’는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가장 마지막에 배치하였다. 셋째, 다이어트는 인터넷 서점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는 주제 분야이고, 이용자 면담결과에서도 가장 선호하는 건강 키워드로 나타났기 때문에 ‘다이어트’를 중분류 항목으로 제시하고, 이용자 요구를 반영한 주제항목을 3개의 소분류 항목으로 전개하였다. 넷째, 웰빙, 힐링과 같은 최신 트렌드에 대한 이용자의 정보요구가 있었기 때문에 ‘웰빙’과 ‘정신건강/스트레스’ 카테고리를 중분류 항목으로 제시하였다. 다섯째, 질병치료/예방은 건강분야와 관련하여 가장 기초적인 주제항목이므로 ‘질병치료/예방’ 카테고리를 중분류 항목으로 제시하고, 하위 주제로 병명과 신체부위별로 총 20가지 소분류 항목을 전개하였으며, 관련된 도서의 수가 많고, 병의 종류도 다양한 ‘암’의 경우, 한국인에게 가장 많이 발병되는 8가지 암으로 세분류 항목을 전개하였다. 여섯째, ‘투병기/완치기’는 국내 인터넷 서점 한 곳에서 전개하는 항목이지만 이용자 면담 결과 매우 긍정적이며, 필요한 주제항목이라고 평가 받아 중분류 항목으로 전개하였다. 일곱째, ‘대체의학/자연요법/민간요법’의 소분류 항목으로 전개되는 ‘한방치료/한의학’은 이용자에게 검색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중복 분류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의 개선방안은 전문가 평가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 수정 설계안으로 제시하였다. 전문가 평가 결과, 실무자와 도서관 자료조직 전문가, 학계 전문가는 모두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 설계안이 국내·외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항목을 비교분석하고, 이용자의 요구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인터넷 서점의 주제별 분류체계에 적합하며 이용자 측면에서 효용성과 유용성을 확보하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그러나 실제 업무에 있어 세분류 항목들은 유용성이 떨어지며 중분류 항목의 경우, 자모순의 배열보다는 관리의 편의와 이용자의 검색을 위해 유사 주제들을 근접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여, 수정 설계안에서는 이를 반영하여 건강을 단독으로 대분류 항목으로 제시하고, 12개의 중분류 항목과 63개의 소분류 항목, 21개의 세분류 항목까지 총 96개의 주제항목을 제시하고, 일반적 배열 기준을 준용하여 건강의 상태(건강유지/관리-건강문제발생-대처요법-서점특화 컬렉션)에 따라 중분류 항목을 배열하고, 소분류와 세분류 항목은 자모순으로 배열하여 전개하였다. 본 연구는 인터넷 서점의 분류체계 특성을 반영하여 인터넷 서점에서 건강분야의 자료를 효율적으로 분류 할 수 있도록 국내·외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의 현황을 조사·분석하고, 이를 문헌분류체계와 비교한 후, 이용자 면담을 통해 이용자의 요구를 반영해서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 설계원칙과 설계안을 제안하였기 때문에, 인터넷 서점이나 기타 건강분야 웹사이트에서 자료를 분류할 때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With the development of e-commerce in the book market, the use and the proportion of internet bookstores are growing each year. Due to the increases in national income,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and the advances of medicine, the life expectancy has increased significantly. These days the trend focuses on health and quality of life. And there is a high demand and interest in a variety of health-related e-books and books which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s use of internet bookstores are increasing rapidly and users' interest in the field of a specific topic such as health are growing, the importance of search by themes, which allows efficient use of valuable information to users from the internet bookstores and providing convenient quick retrieval is increasing. However, internet bookstores currently use mixed classification with library classification and commercial purposes classification. And also each internet bookstore use different configuration of subject category, users who use this type of system lacks efficienc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plan of improvement for the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health category for internet bookstores which would allow efficient searching for a book in the health category at the internet bookstore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subjects in the internet bookstores were discussed.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current state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health category in eight internet bookstores in domestic and abroad. And comparative analysis is done on the two classification schemes KDC and DDC, using name of subdivision category within health category of internet bookstore classification system. Then conducted interview survey to 22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to find out user's information need about the health category of internet bookstore. To summarize the improvement of internet bookstore’s health category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e result of in person interview are as follows. First, the health category should not be combined with other subject categor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ategory within itself. Second, it is necessary to set a clear standard of category array in the health category. Third, when new sub categories appear from new trends, the topic that reflects the user's interest in such as well-being and healing should be added and expanded in the classification of health category development. Fourth, there are topics that has a higher preference like ‘Prevention & Treatment of Disease’, ‘Diet & Weight loss’, ‘Healthy Diet’, ‘Exercise’. These categories should has more micro managed categories not to confuse the users so that users are not misleaded. Fifth, for name of the category should be used the common used terms for actual users. Sixth, if there were a high usage of a certain topic in health category, there should be various access points that users can use in the categorical system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of eight internet bookstores’s health category classification and interview survey from 22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this study established the design principle and suggested the improvement of the health category of internet bookstore, these are as follows. First, ‘Health’ as a main category was set and expanded to a total of 103 topics in the category; 13 topics of division category, 63 topics of subdivision category, and 27 topics of sub-subdivision category. Second, the division and subdivision of health categories should be arranged by alphabetical order. However, for user’s convenience, ‘Series/Edition’ category that specializes only for the internet bookstore should be placed at the end. Third, Diet is a very important topic that most internet bookstores cover as a topic category. Also Diet was the most preferable health keyword by the in person survey result. So, ‘Diet’ presents as a division topic in the health category and with an expanded three subdivision to reflect the request of the users. Fourth, there was a request about users’ information need for latest trends like Well-being and Healing, So categories of ‘Well-being’ and ‘Mental Health/Stress’ presented within the division of categories. Fifth,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the disease is the most fundamental topics related to the field of health, so the category of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isease’ presented in division topic and expanded 20 subdivisions topic by using the name of disease and parts of the body. In case of the ‘Cancer’ category, there is a wide variety types of cancers and there are many cancer related books, so an expansion to eight sub-subdivision categories with the type of cancer. Sixth, ‘Essays of Fighting or Recovery from a Disease’ is not commonly used topic category in korean internet bookstores, but user suggested that topic is very positive and useful category in the health field. So, in this study presented ‘Essays of Fighting or Recovery from a Disease’ as a division category. Seventh, ‘Oriental Medicine and or Korean Medicine’ category has expanded subdivision of ‘Alternative Medicine, Naturopathy, or Folk Remedy’, but to provide convenience for searching those categories, it should be cross referenced so that users can access it with the equivalent keyword. The final improvement plan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health category for internet bookstores are finally suggested throughout the review by experts. All experts who are professional experts of academia and the person in charge to organize and classify in the library and internet bookstore evaluated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health category in internet bookstores reminded the improvement plan is suitable and usable subject classification scheme for the internet bookstores from the side of users. However, they mentioned that in a real world situation sub-subdivision categories’ usefulness is reduced. And rather than an alphabetical arrangement of the division categories, it is necessary to place similar topics closely for administrative convenience and users’ retrieval. To reflect these suggestions, the modified design was set ‘Health’ as a main category and expanded it to a total of 96 topics in the category; 12 topic of division category, 63 topic of subdivision category and 21 topic of sub-subdivision category. And, generally arranged division category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s of the health condition (Health maintenance/management - Health problem occur - Therapy - A collection of specialized in bookstores) and expanded subdivision and sub-subdivision by arranging it in alphabetical order. This study proposed a design principles and an improvement plan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health category on the internet bookstores to classify books efficiently in health category. For this, comparation analysis of the current health classification system on internet bookstores in Korea and abroad, and interviewed 22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survey to reflect the information needs of users, so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oundation for when classifying data from internet bookstores and other web-sites in the health fie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의 방법과 범위 3 C. 선행연구 6 Ⅱ. 인터넷 서점과 주제별 분류 12 A. 인터넷 서점의 의의 12 B. 인터넷 서점의 주제별 분류체계 17 Ⅲ.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 체계 현황 19 A. 국내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 19 B. 국외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 36 C. 비교·분석 49 Ⅳ.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 개선방안 61 A. 이용자 심층 면담 61 B. 설계원칙 및 설계안 73 C. 실무자 및 전문가 평가 81 V. 결론 85 참고문헌 92 부록 1: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에 관한 이용자 면담지 97 부록 2: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에 관한 실무자 평가지 99 부록 3: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에 관한 전문가 평가지 103 ABSTRACT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020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국내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mprovement for Classification of Health Category in Internet Bookstores in Korea-
dc.creator.othernameChoi, Ye Jin-
dc.format.pageviii, 10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문헌정보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