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연경-
dc.contributor.author최연진-
dc.creator최연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6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99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4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9993-
dc.description.abstractDue to rapidly changing world and widely spread individualism, lack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becomes a growing issue in the modern society and the emergence of social networks using smartphone shows the desire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Nowadays social networks are wildly being used as an important part of advertising and interaction among companies and public services, which is developed on the communication between individuals. To go along current trends, public libraries try to use social network services effective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nderstanding the actual status of utilization and adop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s for domestic public libraries, and to propose how to activate social network services for the future public libraries. First, through literature study, various definitions of social network services were searched to study features, types and the developing processes. Second, the usage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s by domestic public libraries was investigated. Utilizing the 2011 National Library of statistical system in order to select the survey object, targets from national or public libraries were selected. Among 778 public libraries, only 181 (96 accounts) public libraries were using social network services. Third, based on the actual condition, the usage of various types of social network services was investigated . Fourth, 83 of them (48 accounts) were at least once used social network services before 2012, so a survey to library representatives who directly manage those 48 account was conducted. After contacting representatives on the phone, 40 people (83%) were participated in questionnaire survey on the Web. According to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in responsibilities of the libraries wer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 ‘culture program’- 13 people. 10 of them were mainly in charge of ‘Information services’, 9 of them worked for ‘Social network services’, 7 of them were in charge of ‘Public relations and marketing services’, 6 of them worked on computing part and so on. Some of them worked for two tasks. Second, the social network service perception of respondents, most of them-21 people (52.5%)- were well-acquainted with the basic concepts of services. Third, most of them -24 respondents- were using ‘Twitter’. Only 3 of them has their own rules for social network services, and 18 of them irregularly handled social network services' tasks. Fourth, 31 people mostly used social network services to inform events of library. The ideal update cycle is within a week –answered by 14 people (45.16%) and most of them -19 people (61.29%)- were monitoring their social network service once a day. Fifth, 13 of them (41.94%) want to be familiar with users as an effect of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12 of them (38.70%) want to make an synergy effect with their websites and 5 of them (16.13%) have a desire to diversify utilization of library. Sixth, 9 of them were not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currently due to manpower shortage. Seventh, 14 people of 31 (45%) cited the strengthening of monitoring to vitalize social network service, and next 9 of them (29%) want to employee professionals and secure finances. On the other hand, 9 people who don’t currently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answered that the most important methods for activating is employing professionals and securing finances. One hundred nighty eight public library users administered by representatives who answered users' survey. The results of users’ survey are as follows. First, most users -151 people (76.26%) were familiar with the concept of social network service. And 80 of them (52.95%) used social network services more than 3 years. Second, the ideal update cycle was within a day in the perspective of users, 61 people (40.40%) were answered. Only 54 people (27.27%) had been used social network services of library, it was lower then expectation. And most of them-52 people- used social network services of library to get information about the collection of library. Third, 46 users want to have up-to-date information via social network services of library. And cause of using social network services, the image of library has been changed smartly which comes up to demand of times. Fourth, 62 people (43.06%) counted the reason of not using social network services of library is unnecessary. And 37 people (25.69%) even didn’t know the existence of service. Based on those results, methods for activating social network service for public libraries were suggested. First, it is needed to diversify promotion channels. Information published via social networks adopt tagging system enables searching and provide link address of library's social network accounts to web portal sites. And also supporters to promote social network services of library should be recruited. Second, accounts of representative libraries vitally to share information and reduce the burden for social network service is needed. Third, the network between users should be strengthened. And last, through the education of users should be increased their understanding of social network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lay the groundwork to vitalize public libraries’ social networking.;소통이 부족한 현대사회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등장은 타인과의 소통에 대한 욕구를 채워주고 있다. 개인 간의 소통을 기반으로 개발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이제 소통을 넘어 기업의 제품과 브랜드 이미지 광고, 공공기관의 서비스 향상을 위한 주민과의 소통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공공도서관 역시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이용자를 위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도입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도입 현황과 활용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정의, 특징,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 그 발전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국외 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 사례에 대해 알아보고 국내 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 사례와 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국내 공공도서관 중 조사 대상을 선정하기 위하여 2011년 국가 도서관 통계 시스템을 활용하였으며 설립 주체가 국·공립, 교육청인 조사대상 778개 공공도서관 중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도입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은 181개관(96계정)이었다. 셋째, 현황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013년 1월과 2월에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을 사용한 65개 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게시물 활용 사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넷째, 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은 96개인데 그중 2012년 이전 개설한 계정은 48개(50%)였다. 이 계정을 직접 운영하고 있는 대표도서관 48명의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화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담당자를 문의한 후 이메일을 통한 웹 설문지를 배포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0명(42%)의 담당자들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40명의 설문조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주요 담당 업무는 평생교육 프로그램/문화 프로그램 담당이 13명, 정보봉사 업무가 10명, 도서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업무는 9명, 홍보 및 마케팅 업무 담당이 7명, 전산담당이 6명, 도서관 업무 총괄 담당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2명, 기타 수서 및 정리, 디지털 콘텐츠 담당이 2명으로 조사되었으며 중복업무를 담당하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 9명 있었다. 둘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담당자들의 서비스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였는데 21명(52.5%)이 기본적인 개념만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현황에 대한 질문에서 공공도서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트위터로 24개관에서 사용하고 있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업무 규정을 가지고 있는 도서관 수는 3개관(7.5%)에 불과하였으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업무가 차지하는 비중을 묻는 질문에 18명(58.06%)이 부정기적으로 업무를 처리한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관리현황에 대한 질문에서는 현재 소셜 네트워크를 제공하고 있는 담당자들이 가장 많이 전달하고 있는 정보는 도서관 행사에 대한 것으로 31명이 응답하였다. 담당자들이 생각하는 이상적 콘텐츠 업데이트 주기는 일주일 이내가 14명(45.16%)으로 가장 많으며, 모니터링 주기는 하루에 한 번이 19명(61.29%)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섯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담당자가 바라는 운영효과는 도서관이 친숙한 이미지로 이용자에게 인식되는 것이 13명(41.94%)으로 가장 많았으며 12명(38.70%)은 도서관 웹사이트의 활발한 활용, 5명(16.13%)은 도서관 활용의 다변화라고 응답하였다. 여섯째, 계정을 개설하였지만 현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지 않은 9개 도서관의 사용 중단 이유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인력의 부족으로 6명이 선택하였다. 일곱째, 현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31명의 담당자들이 생각하는 활성화 방안으로 14명이 모니터링의 강화를 꼽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9명이 전담인력의 배치와 재원 조달을 선택하였다. 반면 현재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하지 않는 9명의 담당자들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활성화 방안은 5명이 응답한 전담인력의 배치와 재원 조달로 조사되었다. 담당자 설문이 이루어진 공공도서관의 총 등록이용자 수는 2,768,958명인데 이 중 이용자 198명이 응답한 이용자 설문을 분석하였다. 이용자 설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들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인식에 관한 질문에서는 151명(76.26%)의 이용자들이 개념과 방법을 모두 숙지하여 이용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기간 역시 3년 이상이 80명(52.98%)으로 이용자들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 기간이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이용자들이 생각하는 가장 이상적인 콘텐츠 업데이트 주기는 하루 이내로 61명(40.40%)이 응답하였다. 도서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해 본 사람은 54명(27.27%)으로 도서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해 본 사람의 비율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용자들이 도서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얻고자 하는 정보의 내용은 추천도서라고 응답한 사람이 46(46%)명으로 가장 많았다. 셋째, 이용자들이 도서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부터 얻고자 하는 기대효과는 최신 정보의 신속한 제공으로 46명(85.19%)이 선택하였다. 또한 도서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후 변화한 도서관 이미지를 묻는 질문에 공공도서관의 이미지가 시대의 변화에 맞는 스마트한 도서관으로 바뀌었다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 넷째, 도서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하지 않는 사람들의 이유는 이러한 서비스가 불필요하다고 생각한다는 사람이 62명(43.06%)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서비스 존재 자체를 모르는 사람이 37명(25.69%)로 나타났다. 이상의 문헌 연구와 국내외 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 현황, 담당자와 이용자의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자들의 서비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둘째, 공공도서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전담 인력과 재원이 부족하다. 셋째, 동일한 기능을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중복적으로 운영하는 등의 비효율적인 운영 방식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넷째, 도서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여부에 관한 홍보가 부족하다. 다섯째, 이용자의 적극적 참여가 저조하다. 이러한 다섯 가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담당자들을 위한 교육과 연수의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담당자들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일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또한 공공기관의 특성상 직무가 순환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메뉴얼화 된 업무규정을 만들어 일관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 전담인력을 배치해야 한다. 이를 위해 관련 기관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으로 인한 효과를 알리고 예산을 지원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전담인력 지원이 어려울 때에는 기존의 인력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할 것이다. 도서관 이용자들을 교육을 통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에 참여시키는 방법도 생각해볼 수 있다. 셋째, 도서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비효율적 운영을 줄이기 위해서는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종류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용자가 원하는 모니터링 주기에 따라 모니터링을 강화해야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여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규모와 운영 환경에 차이가 있는 도서관들이 모두 일괄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대표도서관을 활용하여 통합계정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도 검토해 보아야 한다. 넷째, 이용자들이 도서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공 여부에 대해 알지 못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홍보채널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키워드 검색을 도입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에서 도서관의 검색을 가능하게 하고 웹 포털사이트에 도서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링크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도서관 서포터를 모집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알리는 적극적 홍보활동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도서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이용자 참여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공공도서관에서는 적극적으로 이용자들을 찾아 친구 맺기 등으로 네트워크를 강화해야 한다. 또한 이용자 교육을 통해 이용자들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필요성을 인식시켜 도서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방법과 범위 3 C. 선행연구 6 II.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의의 및 활용 14 A.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개념과 특성 14 B.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발전과 유형 20 III. 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례와 현황 26 A. 국외 공공도서관 사례와 현황 26 B. 국내 공공도서관 사례 분석 37 C. 국내 공공도서관 현황 분석 58 IV.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성화 방안 87 A. 현황분석에서 도출한 문제점 89 B. 개선 방안 92 V. 결론 108 참고문헌 115 부록1 : 대표도서관과 포함되는 도서관 122 부록2 : 공공도서관 페이스북 URL 123 부록3 : 설문 응답도서관 126 부록4 : 공공도서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담당자 대상 설문지 127 부록5 : 공공도서관 이용자 대상 설문지 135 ABSTRACT 14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745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ctivating social network services for public libraries in Korea-
dc.creator.othernameChoi, Yeon Jin-
dc.format.pagex, 14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문헌정보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