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동열-
dc.contributor.author이수지-
dc.creator이수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5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97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4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9728-
dc.description.abstractThe public libraries should be obliged to provide all the constituents of society with necessary informations through web sites without discrimination. However, older adults feel difficulties in access to the web sites of public libraries due to their physical and mental degradation caused by aging. The public libraries should the web accessibility of public library web sites for older adult's use, resolving the information alienation with responsibility ensuring their proper access to and use of information services. This study, therefore, intends to present enhancement plan of web accessibility for older adults. It first have conducted the web accessibility appraisal of public libraries in a bid to enhance the web accessibility for older adults so that they, information minor group, can use web sites of public libraries more freely. And it also has examined requests of information, the status of use and ways of access to information. It has performed the research to come up with enhancement plans by grasping the real status of web accessibility of public libraries for older adults and examining the problems through this. We have researched the related literatures, abroad case studies, and domestic situation surveys for this. It has examined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their information access and functions of public library, after searching through the concept of web accessibility and standards trends of domestic and foreign web accessibility through related literatures. It has also conducted abroad case studies, examining the efforts they have poured to enhance the web accessibility at public libraries of United States. It has examined four public libraries with dedicated web sites for older adults among nine best-practice libraries which have been introduced at ‘Keys to Engaging Older Adults @your library’ published by OLOS of American Library Association(ALA) in 2010, focusing on three different types of enhancing elements of web accessibilities for dedicated use of older adults. It has conducted the domestic situation survey, using public library list of year 2012 extracted from statistic system of national library administered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t has also conducted the survey of 126 libraries from Apr 10 2013 to Apr 24 using K-WHA 4.3, automatic appraisal tool of web accessibility, and a series of appraisal standards distributed from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in Korea. It has also conducted on-site satisfaction survey of 7 public libraries for web accessibilities for older adults from Apr 26 2013 to May 8, and 139 of them responded for this survey. Enhancement plans of web accessibility can be categorized into elements of web accessibility and expansion of information services. Elements of web accessibility has been suggested such as perceivability, operability, understandability, progressivity of technology. First, web sites should offer the alternative texts, layout oriented designs, changing function in font size and background color for older adults to clearly understand the information based on compliance with web accessibility in the context of perceivability of public library web sites. Second, web sites should improve the web accessibility in the context of operability to allow older adults to access and use functions which web sites offer to older adults. They should offer the easy title and proper links on the web pages. They should also offer the proper titles for pages, frames and content blocks for older adults who suffer with deterioration in understandability of information, along with the properly linked texts to help them move to the position they want with understanding on usage of link texts. Third, web sites should improve the web accessibility in the context of understandability for older adults who feel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owing to weakening understandability caused from being afraid of changing environments. It should further enhance the basic language definition, prior notice function by opening new window, offering labels and logicalities of contents. And expansion of information services for enhancement plans of web accessibility has been suggeseted such as informatization training, development of web sites for older adults and boosting the understanding of web accessibility. First, Training programs should be set up and operated for older adults. To reduce the digital divide from other generations, meet their diverse requirements, and enrich the life of older adults who have the limited mobility due to their physical aging, the informatization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bout necessary data and information accessibility for them. Second, Exclusive web site for older adults should be developed. It should offer target programs, library services and recommended reading list to them. Third, with improving awareness of web accessibility, periodic appraisal of web sites should be conducted so that information minor group, older adults and disabled people, can access web sites and use library information equally. This study has suggested enhancement plans for web accessibility of public libraries for older adults so far, reflecting the results derived from abroad case studies, domestic situation survey for web accessibility of public libraries, and satisfaction survey for web accessibility for older adults.;정보화 사회에서 모든 사회구성원에게 정보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은 홈페이지를 통해서 누구에게나 차별 없이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의무를 진다. 공공도서관에서는 노화로 인하여 이동성에 제약을 받는 고령자를 위하여 홈페이지를 통해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고령자는 노화로 말미암은 신체적, 정신적인 변화 때문에 공공도서관 홈페이지에 접근하여 공공도서관의 정보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움이 따른다. 고령자의 홈페이지를 통한 정보서비스 이용 제약은 일반인과 고령자의 정보격차를 초래 할 수 있다. 이에 공공도서관은 고령자의 정보 소외를 줄이고 정보서비스의 접근과 이용을 보장해줘야 하는 의무를 지고 고령자를 위한 공공도서관 홈페이지의 접근성을 개선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2625호)』(2012)의 개정 연혁의 제21조(지식정보 취약계층 등) 법 제43조 제2항 각 호 외의 부분에 따라 고령자를 65세 이상으로 정의하고, 고령자의 웹 접근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웹 접근성을 고령자 중심으로 평가해 봄으로써 고령자가 좀 더 자유롭게 공공도서관 홈페이지를 활용할 수 있도록 웹 접근성을 개선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고령자의 정보요구와 정보 접근 이용형태를 알아보았다. 고령자의 공공도서관 웹 접근성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도출해 내어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국외 사례 조사 및 국내 현황 조사를 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하여 웹 접근성의 개념 및 국내외 웹 접근성의 표준화에 대해서 살펴보고, 고령자의 개념 및 특성과 정보격차, 고령자의 정보 접근과 공공도서관의 기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국외 사례 조사를 위해 미국 공공도서관에서 고령자의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해 어떠한 노력이 있는지 사례를 분석하였다. 미국도서관협회(ALA)의 정보문해 및 아웃 리치 서비스부서(Office for Literacy & Outreach Services: OLOS)에서 2010년 발행한 ‘Keys to Engaging Older Adults@your library’에 소개된 공공도서관 고령자 서비스 우수사례 9개 도서관 중 고령자 전용 홈페이지를 가지고 있는 총 4개관을 대상으로 고령자 전용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요소를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국내 현황 조사는 문화체육관광부 국가도서관 통계시스템에서 제공하는 『2012전국 공공도서관 명단』의 정보를 이용하였다. 곽동철(2011)의『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 취약계층 서비스 확대 전략연구』와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2012)의『2011년 전국도서관운영평가』에서 도출해낸 고령자 서비스 유형을 참고하여 공공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서 고령자 서비스 여부를 조사 하였다. 이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138개관의 도서관을 선정하고 선정된 도서관 중 점검 오류 도서관 12개관을 제외한 126개관의 도서관을 대상으로 국내 웹 접근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배포한 웹 접근성 자동평가 도구인 K-WHA 4.3을 이용하고, 한국정보화진흥원(2009)의 『웹 접근성 실태조사』 평가 기준을 참고하여 126개관을 대상으로 2013년 4월 10일부터 24일까지 실시하였다. K-WHA 4.3을 이용해 공공도서관의 웹 접근성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식의 용이성은 준수율 평균 80∼89%로 준수 수준은 보통이었으며, 운용의 용이성은 준수율 평균 90% 이상으로 준수 수준이 우수한 편이었다. 또한, 이해의 용이성과 견고성은 준수율 평균 80% 미만으로 준수 수준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별 준수율은 제목제공(90.9%), 대체 텍스트 제공(87.6%), 새 창 열림 사전공지(83.8%), 기본언어정의(73.0%), 레이블 제공(68.5%), 마크업 문법(48.5%) 순으로 확인되었다. 항목별로 웹 접근성 준수율 평가는 아래와 같다. 첫째, 인식의 용이성에 해당하는 대체 텍스트 제공 항목의 준수율은 평균 87.6%로 보통의 준수 수준을 보였다. 둘째, 운용의 용이성에 해당하는 제목 제공 항목의 준수율은 평균 90.9%로 평균적으로 우수한 준수 수준을 보였다. 셋째, 이해의 용이성 요소는 기본언어정의, 새 창 열림 사전공지, 레이블 제공이 해당된다. 준수율은 새 창 열림 사전공지, 기본언어정의, 레이블 제공 순으로 조사되었다. 새 창 열림 사전공지의 준수율 평균은 83.8%로 보통의 준수율을 보였고, 기본언어 정의 준수율은 평균 73.0%로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레이블 제공 준수율은 평균 68.5%로 평균적으로 미흡한 수준을 보였다. 넷째, 견고성 원칙에 해당하는 마크업 문법 준수율이 평균 48.5%로 조사되었으며 평가 항목 중 가장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국내 공공도서관 고령이용자의 웹 접근성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 2013년 4월 26일부터 5월 8일까지 7개의 공공도서관에서 139명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공공도서관 고령자 웹 접근성 만족도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도서관 홈페이지 인식의 용이성에 대한 고령자 만족도는 홈페이지 색상 대비 때문으로 인한 글자의 선명도, 홈페이지 글자 크기, 홈페이지 색상, 홈페이지 내용 배치에서 모두 낮은 점수가 나타나 고령자들은 공공도서관 인식의 용이성 측면에 대해 만족하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화면을 보기 쉽고 간편하게 확대, 축소할 수 있는 기능, 글자크기 조정기능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공공도서관 홈페이지 운용의 용이성에 대한 고령자 만족도는 링크 콘텐츠의 이동, 원하는 메뉴의 위치 파악의 용이성, 원하는 메뉴로 이동 절차의 편리성에서 모두 불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공공도서관 홈페이지 이해의 용이성에 대한 고령자 만족도는 첫 화면의 적절한 정보 제공의 여부, 홈페이지에 제공된 단어의 이해도, 제공된 정보 클릭 의향, 정보 위치 파악의 편리성, 원하는 위치로의 이동의 편리성, 정보의 논리적인 순서 제공에 대한 만족도 평가로 이루어졌지만, 고령자들은 공공도서관 홈페이지의 이해 용이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고령자의 공공도서관 홈페이지 사용성 만족도 조사를 위하여 도서관 홈페이지의 간단한 이용, 검색기능 사용 편의성, 검색 결과 해석 유용성, 검색기능 인식의 용이성, 정보 검색 편리성, 도서관 홈페이지 가입 문항 작성의 편리성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고령자들은 공공도서관 홈페이지 사용에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국외 사례 조사와 국내 현황 조사를 바탕으로 웹 접근성의 개선 방안을 웹 접근성 개선 요소와 정보서비스 확대로 나누고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웹 접근성 개선 요소는 인식의 용이성, 운용의 용이성, 이해의 용이성, 견고성으로 나누었다. 첫째, 고령자의 공공도서관 홈페이지 인식 용이성 측면에서 웹 접근성을 준수하여 고령자가 정보를 올바르게 인식하게 하려면 대체 텍스트의 제공, 레이아웃을 고려한 설계, 글자 크기, 배경 색상의 변경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고령자가 홈페이지에 접근하여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기능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려면 웹 접근성 운용의 용이성 요소를 개선해야 한다. 쉬운 제목 제공, 적절한 링크사용을 제공해야 한다. 정보에 대한 인지능력이 부족한 고령자들을 위하여 공공도서관에서는 페이지, 프레임, 콘텐츠 블록에 적절한 제목을 제공하고, 고령자가 링크 텍스트의 용도를 이해하고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적절한 링크 텍스트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변화하는 상황에 두려움을 느끼고 인지능력이 저하되어 정보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고령자를 위하여 웹 접근성의 이해 용이성을 개선해야 한다. 기본언어 정의, 새 창 열림 사전공지, 레이블 제공, 콘텐츠의 논리성을 개선해야 한다. 넷째, 웹 접근성의 견고성을 높이기 위하여 마크업 오류를 개선하여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사용자의기술과 관계없이 제공되는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정보서비스 확대에서는 정보화 교육, 고령자 전용 홈페이지 개발, 웹 접근성 인식 제고를 통한 웹 접근성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고령자를 대상으로 정보화 교육을 시행해야한다. 공공도서관에서는 컴퓨터를 이용한 고령자의 자료 및 정보 접근에 관한 정보화 또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고령자가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그들을 위한 프로그램 및 도서관 서비스를 안내하고, 추천 도서목록을 제공해 주는 고령자 전용 홈페이지를 개발해야 한다. 셋째, 웹 접근성의 인식개선과 함께 고령자, 장애인 등 정보 취약 계층이 일반인과 동등하게 홈페이지에 접근하여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평가를 시행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웹 접근성에 관한 국외사례와 국내 현황조사, 고령자의 정보요구와 정보접근 이용 형태 및 웹 접근성 만족도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과를 반영하여 고령자를 위한 공공도서관 웹 접근성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정보소외계층인 고령자가 공공도서관의 홈페이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고령자 중심의 웹 접근성 평가를 통해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웹 접근성 준수 수준을 제고함으로써 고령자의 정보 접근 및 이용을 보장하고, 공공도서관의 정보서비스 확대에 기여하는데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C. 선행연구 6 Ⅱ. 고령자와 웹 접근성의 개념 13 A. 고령자의 개념과 정보격차 13 B. 웹 접근성의 개념 및 표준화 18 Ⅲ. 공공도서관 웹 접근성 평가 29 A. 국외 사례조사 30 B. 국내 공공도서관 웹 접근성 평가 47 C. 고령자 웹 접근성 설문조사 60 Ⅳ. 공공도서관 웹 접근성 개선 방안 73 A. 웹 접근성 개선 요소 73 B. 정보서비스 확대 87 Ⅴ. 결론 93 참고문헌 101 부록 1. K-WHA 4.3 자동 점검 규칙 107 부록 2.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 개요 109 부록 3. 웹 접근성 평가 국내 공공도서관 목록 113 부록 4. 국내 고령자 대상 설문지 114 ABSTRACT 1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962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공공도서관의 고령자를 위한 웹 접근성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web accessibility for older adult of public library-
dc.creator.othernameLee, Su Sie-
dc.format.pagexi, 12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문헌정보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