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순둘-
dc.contributor.author김고은-
dc.creator김고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3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10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4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106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노년기 어머니들이 성인 지적장애자녀를 돌보는 경험을 통해 인식하는 돌봄만족감에 대해 살펴보고, 장애자녀를 돌보는 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변인들의 관계분석을 통해 돌봄만족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지적장애인의 평균수명이 계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자녀의 도움을 받아야 할 노년기 부모는 죽을때까지 장애자녀를 책임져야 하는 영구적인 돌봄을 하게 된다. 또한 노년기 어머니에게는 자신의 노화와 죽음 등으로 인해 더 이상 장애자녀를 돌볼 수 없을때의 장애자녀의 보호에 대한 걱정이 가장 압도적인 어려움이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장애자녀로 인해 파생되는 돌봄자의 스트레스나 우울, 부담감 등의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나 노년기 돌봄자들이 이러한 고통스러운 과정속에서도 돌봄경험 가운데 만족감을 느낄 수 있고, 돌봄만족감의 긍정적인 경험은 노년기 돌봄자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촉진하여 성공적인 노후를 논하는데 주요한 요소가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인 지적장애자녀를 돌보는 노년기 어머니의 돌봄만족감을 살펴보기 위해 'Pearlin et al.(1990)의 스트레스 과정모델(stress process model)'을 기반으로 돌봄만족감 모형을 제시하였다. 돌봄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스트레스 요인으로 어머니의 노화인식, 평생계획 수립, 평생돌봄 부담을 제시하였고, 어머니가 사용하는 대처전략과 장애자녀와의 관계가 돌봄만족감을 어떻게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연구들에서 간과되어져 오던 돌봄만족감의 새로운 차원에서 노년기 가족의 돌봄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성인 지적장애인을 돌보는 노년기 어머니의 돌봄만족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과 경인지역에 거주하는 18세 이상의 성인 지적장애자녀를 돌보는 55세 이상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9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구성된 연구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기술적 통계분석은 SPSS 17.0을 활용하였고, AMOS 7.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지적장애자녀를 돌보는 노년기 어머니들은 스트레스 상황속에서도 돌봄경험으로부터 긍정적인 경험을 하는 편으로 나타났다. 돌봄만족감의 특성을 살펴보면, 돌봄으로부터 느끼는 뿌듯함이나 기쁨으로 인한 만족감 보다는 책임감이나 자신의 성장 등에서 돌봄만족감을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측정모형의 분석결과 각 측정변인들이 각 변수의 구성개념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검증한 연구모형의 적합도 지수가 충분히 수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직접효과에 대한 연구모형의 분석에서 노년기 어머니의 노화인식과 평생계획 수립정도는 문제중심대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노화인식과 평생돌봄 부담은 정서중심대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평생계획 수립정도는 장애자녀와의 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어머니의 평생계획 수립정도가 높을수록 장애자녀와의 관계가 긍정적이었다. 돌봄만족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변수들을 살펴보면, 평생돌봄 부담이 낮을수록, 평생계획 수립정도가 높을수록, 노년기 어머니가 문제중심대처를 많이 할수록 돌봄만족감이 높았다. 가설의 설정과 달리 어머니의 노화인식과 정서중심대처의 사용은 돌봄만족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매개변수를 통한 간접영향에 대한 검증결과, 정서중심 대처사용의 간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문제중심대처의 사용과 장애자녀와의 관계가 스트레스 상황이 돌봄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노화인식과 평생돌봄부담, 평생계획수립이 돌봄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문제중심대처가 유의미하게 매개하였다. 또한 평생계획 수립이 돌봄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장애자녀와의 관계가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주요 검증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지적장애인을 돌보는 노년기 가족의 연구에서 돌봄만족감의 의미와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부담감 중심 연구로부터 탈피하여 돌봄경험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가능성과 그에 대한 전략을 탐색할 수 있었다. 둘째, 기존에 간과되어져 왔던 노년기 어머니의 대처능력과 장애자녀와의 관계 등의 긍정적인 매개요인의 효과를 발견함으로써 새로운 차원에서 지적장애인을 돌보는 노년기 가족의 돌봄경험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실천적으로 노년기 어머니의 돌봄만족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평생돌봄 부담과 평생계획 수립, 대처전략의 사용, 장애자녀 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평생돌봄부담과 평생계획 수립에 대해서는 노년기 어머니의 불안감이나 죄책감 등의 정서적 감정을 다룰 수 있는 부모교육이나 자조집단의 지원과 구체적인 방식의 평생계획 서비스 제공 방안을 제안하였다. 어머니들의 문제중심 대처전략의 사용 증진을 위해서는 노년기 어머니의 인식의 전환과 더불어 전문가와의 관계 정립을 통해 어머니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장애자녀와의 관계개선을 위해서 친밀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관계개선 프로그램 마련과 함께 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대해 강조하였다. 넷째,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논의가 미흡했던 성인 장애인 가족을 지원할 수 있는 노년기 가족지원 정책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여 돌봄에 대한 부담 경감이라는 측면 뿐만 아니라 돌봄만족감과 같은 긍정적 인식에 기초한 제도적 지원도 포함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elderly mothers of intellectual disabled person get their caregiving satisfaction from the caring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comprehensive analysis on implications of variables affecting caregiving satisfaction focusing on stress elements and mediating effects related to mother’s caregiving satisfaction from cari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Based on 'stress process model' of Pearlin et al.(1990), major stressors suggested in relation to caregiving satisfaction were elderly mother's recognition of aging process, permanency planning making, and permanency caring burden. Mothers' coping strategy and relationship with disabled offspring were also taken into account in affecting caregiving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more understanding on aging familie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o provide grounds for further intervention by social workers to enhance elderly mothers’ contentment from caring. To validate the suggested model, mothers of over age 55, cari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over age 18, living in Seoul, Kyonggi and Incheon were subject to survey, and a total 392 surveys were used f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prove hypothesis on linkage among variables and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the model. For statistics analysis of collected survey results, SPSS 17.0 was utilized and AMOS 7.0 was used for analyz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proving the hypothesis.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in the measurement model analysis, all the variables were meaningful in representing relevant concepts. In addition, sufficient fit index of research model has shown its reasonable fitness in the analysis of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Second, in the direct effect analysis, elderly mother's recognition in aging and permanency planning making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problem-centered coping strategy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test result, as did the recognition on aging and permanency caring burden affect emotional coping strategy. And permanency planning making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mother and disabled offspring. Variables directly affecting caregiving satisfaction indicated that positive correlation exist between permanency planning making, problem-centered coping strategy, relationship with disabled offspring and caregiving satisfaction. Far from established hypothesis, mother's recognition on aging and emotional coping strategy didn't have significant impact on caregiving satisfaction. Third, in the caregiving satisfaction mediated effect analysis, stressor had a mediated effect in the path to the caregiving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or of the problem-centered coping strategy and tensed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intellectual disabled offspring. More specifically speaking, aging recognition, permanency caring burden, and permanency planning making were relevant with caregiving satisfaction when applying problem-centered coping strategy. And permanency planning making had a mediated effect in the path to the cargiving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mother and disabled offspring. However, indirect effect of emotional coping strategy was proven to be irrelevant through medium variabl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research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scope of study on caring was expanded from the focus on burden of caregiving by reviewing the meaning and the transition of caregiving satisfaction of elderly familie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econd, the unnoticed coping capabilities of elderly mother and her relationship with intellectual disabled offspring came into light to discover more positive aspect, giving an opportunity to approach caring experience of aging family with new perspective. Third, this study suggested concrete intervention strategy for practice in terms of establishing permanency planning, using coping strategy, and building relation with disabled offspring. For permanency caring and permanency planning making, parents education dealing emotional aspects including anxiety and a sense of guilt, supporting groups, and practical permanency planning service provision were suggested as possible options. To promote problem-centered coping strategy, transition of mother's perspective and expert's counseling were suggested so that they can actively participate in problem-solving. To enhance relation to disable offspring, relationship-building program and independent living of the disabled people were emphasized. Fourth, the study called for public attention on policies supporting elderly family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order to relieve burdens of the families and to provide systematic support based on caregiving satisfa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문제제기 1 B. 연구목적 6 C. 연구의 의의 7 Ⅱ. 이론적 배경 8 A. 성인 지적장애인의 노년기 어머니의 특성과 돌봄경험 8 B. 연구모형의 이론적 기반 11 1. 스트레스 모델 비교 11 2. 스트레스 과정모델 14 3. 본 연구의 개념적 모델 19 C. 연구모형의 주요개념 26 1. 돌봄만족감 26 2. 노화에 대한 인식 32 3. 평생돌봄에 대한 부담 35 4. 평생계획 수립 37 5. 대처전략 42 6. 장애자녀와의 관계 51 Ⅲ. 연구방법 56 A. 연구모형 56 B. 연구문제 및 가설 58 C. 연구대상 및 조사방법 61 1. 연구대상 61 2. 표집방법과 자료수집 62 3. 조사절차 63 D. 변수의 정의 및 측정 65 E. 자료분석방법 74 Ⅳ. 연구결과 77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77 1. 성인 지적장애자녀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77 2. 성인 지적장애 자녀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80 B. 주요 변수의 특성 83 1. 주요변수의 기술적 분석 83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돌봄만족감 비교 86 3. 주요 변수의 자료특성과 분포특성 87 C. 연구모형의 분석 90 1. 측정모형 분석 90 2. 구조모형 분석 93 3. 모형의 수정 96 4. 효과의 분해 100 D. 구조모형의 가설검증 104 Ⅴ. 결론 및 제언 108 A. 연구결과 요약 108 1. 연구대상자의 특성 및 기술적 분석결과 108 2. 구조모형 분석을 통한 가설검증 결과 109 B. 논의 110 1. 노년기 어머니의 돌봄만족감 110 2. 노년기 어머니의 돌봄만족감 모형 113 3. 스트레스 변인들이 내생변수에 주는 영향 114 4. 대처전략과 장애자녀와의 관계가 돌봄만족감에 주는 영향 117 C. 함의 122 1. 이론적 함의 122 2. 실천적 함의 123 3. 정책적 함의 132 D.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 136 참고문헌 140 부록 168 ABSTRACT 1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559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성인 지적장애인을 돌보는 노년기 어머니의 돌봄만족감-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Caregiving satisfaction of elderly mother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dc.creator.othernameKim, Go Eun-
dc.format.pagex, 180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