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3 Download: 0

컴퓨터 단층 촬영을 이용한 상악 전치부의 순측 골 두께 분석

Title
컴퓨터 단층 촬영을 이용한 상악 전치부의 순측 골 두께 분석
Other Titles
Evaluation of Labial bone thickness of Maxillary Anterior Teeth Using Computed Tomography
Authors
신순희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상치주과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방은경
Abstract
It needs plenty of alveolar bone to do esthetic implant at maxillary anteriors and it is essential to secure the appropriate thickness of facial bone especially on anterior region. In this study, the facial bone thickness of healthy adults was measured at maxillary anteriors using Computed Tomography(CT) by the teeth and by the region and it is evaluated the differences between parts, genders, and ages. Among patients aged 20 to 70 years, 31 patients who had healthy dentition in panoramic view were measured the thickness of facila bone at the Department of Dentistry at the Ewha Womens University from January 2005 to October 2009. 16 male patients and 15 female patients aged 20 to 73 years were studied and the average age was 46.41 years old. Among scanned CT views, the views of the each teeth of height of contour were chosen by using Para-Axial View. Cemento-Enalmel Junction(CEJ) perpendicular to long axis was standardized and the thickness of facial bone were measured 2, 4, and 6 mm below the CEJ at each of the 18 points per one patient. Measurement of bone thickness was gauged by using CT viewer program, π- viewer, at Department of Dentistry at the Ewha Womens University and the results are as below. 1. The mean facial bone thickness of maxillary anterior tooth was 1.11mm. 2. The mean facial bone thickness 2mm, 4mm, and 6mm below CEJ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thickness 4mm below CEJ was the most significant (P<0.05).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average of facial bone thickness between maxillary central incisals(mean 1.14mm), lateral incisals(mean 1.08mm), and canines(mean 1.12mm) by each tooth. 4. There was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facial bone thickness with age especially in aged above 60 (P<0.05). 5.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facial bone thickness by gender. It is essential to pre-diagnose the length of alveolar bone as well as width to secure long-term success and dental esthetic of implant. By using CT, measuring the facial bone thickness is a useful way to diagnose the amount of bone and the shape of bone. However, it is not spread out yet over the private dental clinic. So, if the amount of bone and the shape of bone of each patient are pre-diagnosed based on the data from the average of facial bone thickness and the wave trend of alveolar bone by parts, then it is quite effective to secure long-term success and dental esthetic of implant at maxillary anteriors.;상악 전치부에 심미적인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치조골이 필요하며 특히 적정한 순측 골 두께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이하 CT)을 이용하여 건강한 성인의 상악 전치부에서 치아별, 부위별 순측 골 두께를 측정하고 부위별, 성별, 연령별 차이를 평가하였다. 2005년 1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치과 내 구강외과와 치주과를 방문하여 CT를 촬영한 20대~70대 성인 환자 중 상악 전치부가 건전한 사람 31명의 순측 골 두께를 측정하였다. 연구에 포함된 환자는 남성 16명, 여성 15명이었고, 연령은 20세부터 73세까지 다양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46.41세였다. 촬영된 CT상 중 Para-Axial View를 활용하여 각 치아의 최대 풍융부의 상을 선택하였다. 치아의 장축에 수직이 되는 협설측 백악법랑경계(Cemento-Enamel Junction, CEJ)선을 기준으로 설정하고, CEJ 하방 2, 4, 6mm 지점에 CEJ와 평행한 선을 긋고 환자 1인당 18개의 측정지점에서 순측 골 두께를 측정하였다. 골 두께의 측정은 이대목동 병원 치과 내 CT 뷰어 프로그램인 ‘파이뷰어’ 프로그램의 길이측정 도구(calipers 기능)를 이용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악 전치부 치아의 순측 골 두께는 평균 1.11mm였다. 2. 측정부위에 따른 순측 골 두께는 CEJ 하방 2mm, 4mm, 6mm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CEJ하방 4mm에서 유의차 있게 가장 크게 나타났다(P<0.05). 3. 치아별 순측 골 두께 평균치는 상악 중절치 1.14mm, 상악 측절치 1.08mm, 상악 견치 1.12mm로 치아별로 통계학적 유의차는 없었다. 4. 연령에 따른 순측 골 두께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60세 이상에서 유의차 있게 좁게 나타났다(P<0.05). 5. 성별에 따른 순측 골 두께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임플란트의 장기적인 성공과 심미성 확보를 위해서는 환자의 치조골의 길이 뿐 아니라 폭경에 대한 사전 진단이 필수적이다. CT를 이용한 순측 골 두께 측정은 골량과 골 형태를 진단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그러나 일반 개원가에 CT가 널리 보급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건강한 성인에서의 평균적인 순측 골 두께와 부위별 치조골의 굴곡 양상을 기초자료로 삼아 환자 개개인의 골량과 형태를 미리 예측한다면, 상악 전치부 임플란트 시술에서 장기적인 성공과 심미성 확보를 예측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상치주보철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