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3 Download: 0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담당인력으로서의 보건교육사 역할 분석

Title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담당인력으로서의 보건교육사 역할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roles of health educator as the person in charge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at community health center
Authors
최승희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보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명
Abstract
As health promotion is a value that a nation must pursue, the role of community health center - a hub of community health programs, is emphasized more than ever. It is essential to define the role of a health educator as a health promotion workforce in community health center in order to develop health promotion programs.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oles of workforce required for effective execut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of community health centers in Korea. This study consisted of three phases to fulfill its purposes. In phase 1, I analyzed what health promotion specialists at home and abroad were actually doing in their work settings. In Phase 2,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twice for ten people practicing health promotion at community health center. It was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of those preliminary role items. Going through such process, 5 categories and 20 sub-categories of role items were produced in the end. In phase 3, survey was undertaken on 92 people responsible for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community health centers an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was employed in order to obtain results regard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role required for health educators to perform based upon the roles structured in phase 2. The roles of health educators, practicing health promotion, in community health centers that have been finally defined through this study are composed of 5 categories including ‘Assess needs for health education’, ‘Plan health education’, ‘Implement health education’, ‘Manage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Create a healthy environment’, and ‘Evaluate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conduct related research’ along with 20 sub-categories. Sub-categories of each main category are as follows. First, ‘Assess needs for health education’ consists of ‘Survey methods and Knowledge and Skills related to health statistics’, ‘Collect health-related data’, ‘Use existing health-related statistical data’. Second, ‘Plan health education’ consists of ‘Prioritize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allocate budget’, ‘Develop goals and objectives’, ‘Understand and apply health education planning theories’, ‘Select and design health education interventions’, ‘Write a health promotion program plan’. Third, ‘Implement health education’ comprises ‘Select and Use health education media’, ‘Offer health advice’, ‘Provide health education linking with the daily life settings of residents’, ‘Execute health-related promotion and campaign’. Fourth, ‘Manage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Create a healthy environment’ comprises ‘Manage fiscal, human and other resources for health promotion program’, ‘Create a healthy environment’, ‘Collaborate and cooperate with community’ ‘Use related resources’, ‘Manage records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write a report’. Fifth, ‘Evaluate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conduct related research’ comprises ‘Develop an evaluation plan’, ‘Conduct research for health promotion programs’, ‘Write an evaluation report’, ‘Disseminate evaluation findings and apply them in following programs’. AHP analysis was applied to gain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main category of health educators’ roles and the analysis suggests that out of all 5 categories, ‘Assess needs for health education’ and ‘Evaluate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Conduct related research’ are relatively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three categories of role. To sum up, as a health promotion expert of community health center, a health educator is preferentially required to perform 1) the role to analyze the needs of the community and enable the planning for a customized health promotion program, 2) the role to execute evaluation throughout a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disseminate evaluation findings and apply them in following programs, in consideration of higher relative importance of these roles.;국민 건강 확보를 위한 최우선적 접근 방식인 건강증진사업의 효율적 수행과 발전을 위하여 우리나라 보건소 건강증진 담당인력으로서 보건교육사의 역할 규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건강증진서비스제공의 핵심 기관인 보건소 건강증진 담당인력으로서 보건교육사가 수행하여야 하는 역할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 고찰, 포커스그룹인터뷰, 내용 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보건소 건강증진 담당인력으로서의 보건교육사 역할을 도출하였고, 보건교육사 역할의 상대적 중요도 인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담당인력 92명을 대상으로 2012년 10월 10일부터 2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AHP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v.19.0, Expert Choice 20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담당인력으로서 보건교육사 역할은 ‘지역사회 건강증진 요구도 진단’, ‘보건교육의 기획’, ‘보건교육의 수행’, ‘건강증진사업 관리와 건강환경조성’, ‘건강증진사업 평가와 연구’ 등 5개 대영역으로 도출되었다. 각 대영역별 세부역할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역사회 건강증진 요구도 진단’과 관련하여 지역사회 건강관련 자료수집 및 통계분석, ‘보건교육의 기획’에서는 건강증진사업의 우선순위 선정, 기획이론․중재방법의 적용, 계획서 작성 등의 내용이 도출되었다. ‘보건교육의 수행’에서는 생활터별 보건교육 수행 및 의사소통, ‘건강증진사업 관리․건강환경조성’에서는 자원의 관리와 배분, 건강환경조성, 지역사회 연계․협력, 마지막으로 ‘건강증진사업 평가․연구’에서는 건강증진사업 평가계획 수립․평가, 연구 수행, 평가결과의 확산․환류의 내용이 도출되었다. 역할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에서 대영역에서는 ‘지역사회 건강증진 요구도 진단’, ‘건강증진사업 평가․연구’, ‘보건교육의 기획’의 상대적 중요도가 높았다. 세부 영역에서는 ‘조사방법․보건통계 관련 지식․기술’, ‘평가 보고서 작성’, ‘지역사회 건강관련 자료수집’, ‘보건교육 기획이론 이해․적용’ 등의 상대적 중요도가 높았다.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의 수행을 위하여 지역사회 건강증진 요구도 진단, 건강증진사업의 기획 및 평가 부분의 전문성을 갖춘 인력의 배치가 필요하며 이는 보건소 건강증진업무가 기존의 진료 및 행정 업무의 일부분으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기획․조정․평가 등 독립적인 고유 역할로 업무의 기능적 전문화가 요구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보건소 건강증진 담당인력으로서 보건교육사의 역할 정립에 근거하여 보건소에 특화된 건강증진업무의 표준화된 수행지침, 보건교육사 업무수행의 질 관리를 위한 보수교육 체계 마련 등의 후속 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보건소 현장 실무자를 대상으로 역할에 대한 중요도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의 현주소를 파악하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으나 이와 함께 기존 보건소 인력을 대상으로 한 결과의 한계점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추후 보건교육사 자격 취득 후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에 신규 유입된 인력을 대상으로 역할정립에 대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