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인수-
dc.contributor.author한수민-
dc.creator한수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1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3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4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363-
dc.description.abstract한 개인의 삶에서 직업이 차지하는 부분은 상당히 크며 그 의미 또한 중요하다. 이러한 직업 생활을 위하여 고등학생 때부터 자신의 진로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준비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은 장차 미래의 직업 생활에 도움이 되고, 학생 스스로도 자기 이해와 자신감을 갖는 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고등학생의 진로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를 키우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최근 교육 및 진로 상담분야에서는 청년기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능감, 부모 양육 태도 및 부모 지지 등과 관련한 연구가 계속되어 왔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에서는 주로 대학생의 진로 관련 변인을 검증하는 데 좀 더 치중되어 있어 고등학생들의 진로와 관련된 변인을 밝히는 연구가 더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에서 성별은 연구자에 따라 서로 일치하지 않는 측면이 있으므로 성별의 차이를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찾아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진로성숙도와 관련된 변인들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명확하게 확인하고자 하였다. 성별에 따라 진로성숙도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확인하고, 진로자기효능감 및 부모지지에 따라 진로성숙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라 진로자기효능감, 부모지지, 진로성숙도에 차이가 있는지, 둘째, 성별에 따라 진로자기효능감 및 부모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200명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진로자기효능감, 부모지지, 진로성숙도를 측정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진로성숙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한 결과, 진로성숙도의 경우 성별에 따라 하위 변인에 차이를 보였다. ‘진로결정도’는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높게 나타났고, ‘진로참여도’와 ‘진로준비도’및 ‘진로타협도’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따른 부모지지는 ‘진로관련모델링’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성별에 따른 진로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자기효능감 및 부모지지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결과, 진로자기효능감과 부모지지 모두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자기효능감에서는 ‘목표선택’과 ‘미래계획’이 진로성숙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지지에서는 ‘진로관련모델링’과 ‘언어적 격려’가 진로성숙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의 정도를 성별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보았을 때에는, 남학생 집단은 진로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 중 ‘미래계획’이 진로성숙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학생 집단은 진로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 중 ‘목표선택’과 ‘미래계획’이 진로성숙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성별에 따라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자기효능감과 부모지지의 하위 변인들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진로자기효능감과 부모지지가 진로성숙도를 예측하는 데 유의미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진로자기효능감, 부모지지와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성별의 차이를 고려하여 분석함으로써 차별화된 진로교육의 개입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In the recent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field, a research has been continued in relation to self-efficacy,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parent support, which have influence upon career maturity in adolescence. However, prior researches are a little more concentrated on verifying variables related mainly to university students' career. Thus, it is the real situation of being more necessary for a research, which clarifies variables related to high school students' career. Also, according to prior research, gender has aspect of being not mutually consistent according to researcher among variables of having influence up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Hence, it can be considered to be needed to find variables of generally having influence upon career maturity in consideration of difference in gender.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relationship of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gender targeting high school students. Also, the aim was to definitely confirm variables of having influence upon career maturity by integrally considering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related to career maturity. The aim was to confirm which difference the gender-based career maturity shows and to confirm which difference the career maturity has according to career self-efficacy and parent support.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presented. It confirmed, first, whether there is difference in career self-efficacy, parent support, and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gender, and second, whether there is influential difference of self-efficacy and parent support upon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gender. To verify these research problems, it analyzed materials by measur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areer self-efficacy, parent support, and career maturity of 200 students in the 1st grade of high school where i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Summarizing the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confirming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in career maturity, the difference was shown in sub-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in case of career maturity. ‘Career decision level’ was shown to be higher in girl students than boy students. In ‘career participation,’ ‘career preparation,’ and ‘career compromise,’ the girl students were shown to be higher than boy students. Also, the parent support according to gender was indicated to be higher in girl students than boy students in 'career-related modeling.' On the other hand, career self-efficacy according to gender was indicated to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influence of career self-efficacy and parent support upon career maturity, both career self-efficacy and parent support were indicated to have influence upon career maturity. In career self-efficacy, ‘goal choice’ and ‘future plan’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upon career maturity. In parent support, ‘career-related modeling’ and ‘verbal encouragement’ were indicat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upon career maturity. Examining by dividing this influential level according to gender, a group with boy students was indicated that 'future plan' among sub-variables of career self-efficacy has significant influence upon career maturity. A group with girl students was indicated that 'goal choice' and 'future plan' among sub-variables of career self-efficacy have significant influence upon career maturity. In this way, the sub-variables of career self-efficacy and parent support, which have influence upon career maturity, were shown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Career self-efficacy and parent support are significant variables in predicting career maturity. Through this study,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self-efficacy, parent support, and career maturity was analyzed by considering difference in gender. Consequently, implications on intervention plan for the differentiated career education were suggest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연구모형 6 Ⅱ. 이론적 배경 7 A. 진로자기효능감 7 1. 진로자기효능감의 개념 7 2. 진로자기효능감의 발달 8 3. 성별에 따른 진로자기효능감의 차이 11 B. 부모지지 13 1. 부모지지의 개념 13 2. 진로발달에서 부모지지의 중요성 15 3. 성별에 따른 부모지지의 차이 16 C. 진로성숙도 18 1. 진로성숙도의 개념 18 2. 진로성숙도의 구성요인 19 3. 성별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 20 4.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요인 22 Ⅲ. 연구방법 29 A. 연구대상 29 B. 측정도구 29 1. 진로자기효능감 척도 30 2. 진로 관련 부모지지 척도 31 3. 진로성숙도 척도 32 C.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33 1. 자료의 검토 및 처리 33 2. 자료의 분석 34 Ⅳ. 연구결과 35 A. 성별에 따른 진로성숙도, 진로자기효능감, 부모지지의 차이 35 1. 성별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 35 2. 성별에 따른 진로자기효능감의 차이 36 3. 성별에 따른 부모지지의 차이 36 B. 진로자기효능감, 부모지지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관계 37 1. 진로자기효능감, 부모지지,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 37 2. 진로자기효능감과 부모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43 Ⅴ. 논의 및 결론 47 A. 요약 및 논의 47 B. 결론과 제한점 및 제언 57 참고문헌 60 부록(설문지) 70 ABSTRACT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282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성별에 따른 고등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및 부모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High School Students' Career Self-Efficacy and Parent Support upon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Gender-
dc.creator.othernameHan,Su min-
dc.format.pageviii,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