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李貫胤-
dc.contributor.author尹芝永-
dc.creator尹芝永-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1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34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4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346-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에서는 독보 학습이 단순히 기술적인 습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음악의 본질적인 목적에 부합되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브루너의 지도 원리를 적용함으로써 음악 지도 방법의 개선의 길을 찾고자 하며 그러한 과제의 하나로서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각종 문헌과 논문을 통해 독보 학습에 대한 단계별 지도 원리와 방법을 고찰하고, 음악의 구성 요소 중 리듬, 가락, 셈여림 읽기에 한하여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를 중심으로 수업 모형을 구안하였다. 수업안을 구안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초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지도 내용을 살피고 이를 토대로 학습 위계를 선정하였다. 학습 수준에 따라 경험적 수준, 분류적 수준, 상징적 수준, 기보적 수준의 4 수준으로 위계를 작성하였다. 지도 과정은 삼단계로써 행동과 경험을 통한 활동적 단계에서 기호나 그림을 사용하는 영상적 단계를 거쳐 마지막으로 언어를 통해 기호를 설명하는 상징적 과정의 순이다. 가락 읽기 수업 모형에서는 경험적 수준에서 라솔미 삼음의 음높이를, 분류적 수준에서 가락의 진행 방향을, 상징적 수준에서 음계의 개념을, 기보적 수준에서 선율 창작을 통한 악보 읽기와 적기의 순으로 단계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작성되었다. 리듬 읽기 수업 모형에서는 경험적 수준에서 박과 박자의 개념을, 분류적 수준에서 음길이에 따른 리듬 패턴을, 상징적 수준에서 셋잇단음표를, 기보적 수준에서 당김음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셈여림 읽기 수업 모형에서는 경험적 수준에서 큰 소리 작은 소리 개념을 지도하고, 분류적 수준에서 세게 여리게의 개념을, 상징적 수준에서 점점 세게와 점점 여리게의 개념을 지도하고, 기보적 수준에서 아주 세게와 아주 여리게의 개념 이해를 통해 셈여림 읽기 지도를 하였다. 위의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이 몇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초등학교 현장의 교사들은 독보 학습이 그 자체의 기술 습득에만 목적을 두어서는 안되고 학생 스스로 음악적 성장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 주는데 중점을 두어야 하겠다. 둘째, 독보와 병행하여 균형 있는 음악성 신장을 위한 체계적 구성의 개념 학습을 유도하는데 중점을 두고 학생들의 수준에 알맞은 다양한 수준의 교재가 폭넓게 개발되어야겠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a music score read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based on the Bruner’s theory of instruction. The study has been accomplished by examining the teaching principle and the methods of learning music-reading, and by analyzing the content of teaching, centering on the music textbooks used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related literature and theses. The model of teaching music-reading is limited to reading rhythm, melody and stress of sound, among the possible components of music. As a basis for designing the teaching plan, I have examined the content of the instruction, centering on the music textbook used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selected the level of learning based on an examination of the students. Four levels were determined : experimental, categoric, symbolic and notational level. In the course of teaching, the student passes through three stages from the enactive forms of representation through behaviors and experiences, iconic forms of representation which uses signs or pictures, on to the symbolic forms of representation which explains the signs through language. In the teaching model of melody of melody reading, the plan is designed to teach the students how to distinguish the pitches of three notes, la, sol and mi. The experience level teaches the direction of the flow of rhythm. The category level teaches the concept of the melody contour. The symbolic level teaches the concept of the scale and in the notational level the students are taught to read and note the score through creating melodies. In the teaching model of reading rhythm, some suggestions are given to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 of a beat in the experience level, the rhythm pattern according to the length of a note in the categoric level, three-consecutive notes pattens in the symbolic level and syncopations in the notational level. In the teaching model of reading the sound dynamics level, the plan gives instruction on reading sound dynamics through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loud and soft in the experience level, the concept of dynamic level in the category level, crescendo and decrescendo in the symbolic level, and fortissimo and pianissimo in the notational level. From my study of current music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and from the application of Bruner’s teaching principle(s), elementary teachers could promote music development in their students more effectively by incorporat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eachers in the elementary schools should place more emphasis upon providing the students with the ability to develop their music by themselves by learning to read music rather than forcing them to master the skill of music for performance sake only. Second, the teachers should emphasize concept-centered learning through a systemic structure for the balanced growth of music ability together with learning to read music. Levels of textbooks should be developed which are suitable for the various levels of the stud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iii 논문개요 = iv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Ⅱ. 이론적 배정 = 4 A. 독보 지도의 역사척 변천 = 4 B. 브루너의 학습 지도 원리 = 6 C. 달크로즈의 지도법 = 8 D. 코다이의 지도법 = 12 E. 오르프 지도법 = 17 F. 독보 학습 지도 = 19 Ⅲ. 독보 학습 지도 모형 = 23 A. 기본 방침 = 23 B. 지도 단계 = 26 C. 지도 내용 = 29 D. 지도 방법 = 34 E. 수업 모형 = 45 Ⅳ. 결론 및 제언 = 53 참고문헌 = 55 부록 = 58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552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音樂性 伸長을 위한 國民學校 讀譜學習의 段階別 指導 方法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eaching Methods for Elementary School Music Score Reading Throught a Graduated Structure for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Music Skills-
dc.format.pagev,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초등교육분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