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9 Download: 0

朝鮮時代의 神仙圖 硏究

Title
朝鮮時代의 神仙圖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f the Taoist Immortal Paintings of the Chosun Dynasty (1392-1310)
Authors
宋蕙丞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홍남
Abstract
This study is an investigation of those Taoist Immortal Paintings(神仙圖) produced in the entire Chosun(朝鮮) dynasty in which their types and styles are classified and analyzed and the peculiar characteristics of them are examined. Taoist Immortals(神仙) are supernatural god-like beings, and Taoist Immortal Painting is a kind of portrait that imaginarily depicts the appearances and behaviors of these auspicious Immortals on the basis of the Taoistic religious traits oriented to this life. Therefore, the purport of Taoist Immortal Paintings is concentrated on the auspice such as longevity and good fortune, and most of Taoist Immortal Paintings are characteristically drawn under practical goals to celebrate long life or wish good luck. The origin of making shape of Taoist Immortals motif goes back to the wall paintings of Koguryo(高句麗) period, In many ancient tomb wall paintings of Koguryo(高句麗) , there are soaring wizards to heaven or supernatural beings mounting on a bird(乘鳥神仙) like crane(鶴) of Chinese phoenix(鳳凰), and this can be interpreted as from eamest wish for the buried to smoothly ascend to heaven. Meanwhile, we can trace back to those Shouxings(壽星) or objects of worship as the originating elements of pictures since Taoism has been transmitted centering around rituals at national level. This kind of religious tradition, however, once disappeared but by the Chosun period Taoist Immortal Paintings began to blossom. And it is noteworthy that the royal court played a main role in introducing and developing Taoist Immortal Paintings, In court, Taoist Immortal Paintings were demanded as auspicious pictures, also to celebrate important royal events such as birthday, wedding or New Year's Day. Looking into various literary references and works, we can see that Taoist Immortal Paintings as court paintings were typically drawn upon big silk cloth with five primary colors(五彩) and fine brush outlines in accordance with loyal family's and upper classes' taste in which repetition of somewhat fixed matter and form was conspicuous. In Chosun dynasty, Taoist Immortal Paintings, like other pictorial genres, made the existing traditional styles their basis while accepting various stimuli and influences from outside. Especially it seems China, the portraits of the late Ming(明) dynasty, had the greatest influence upon the Taoist Immortal Paintings, and it is worthy of attention that wood printing which was in full blossom in Ming dynasty was also employed to develop Taoist Immortal Paintings anew. In particular, as we see in many works of the Taoist Immortal Paintings, illustrations in Xianfuqicong(仙佛奇?), biographical tales written by Hong Zi-xing(洪自誠) published in Wanli(萬?) a period of Ming dynasty and introduced to Chosun later, directly exerted a great influence upon Taoist Immortal Paintings, and Chosun artists set those illustrations as the mati?re for their figuration to create their own unique scenes. Taoist Immortal Paintings, based on Taoistic religion and Taoist Immortals are beings symbolizing various kinds of religious faith, characterically emphasize and make repeat of some fixed, definite diagrams. In Taoist Immortal Paintings of the Chosun period, though there appears lots of Taoist Immortals, figures like Shouxing(壽星), Liuhaichan(劉海蟾), and Ludongbin(呂洞賓) are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ones, and appearance of Taoist Immortals in Painting of A Group of Immortals(群仙圖) is strongly fixed unlike the differentiated expressions in other Taoist Immortal Paintings. Taoist Immortal Paintings were popular throughout the Chosun period, especially after middle period they began to form various types and styles as they became greatly prevalent. Therefore, existing Taoist Immortal Paintings of the Chosun dynasty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sole type(單獨形), combination type(聚合形), and group type(群集形); each of them reveals the stylistic uniqueness of their own. The sole type which depicts only one taoist immortal can be again classified into figurative portrait and landscape portrait. The former aims at symbolization of the auspice above all things while the latter shows a stronger tendency of the Taoistic, academic transformation. Here we can see that the usage of Taoist Immortal Paintings, artist's or seer's social position, and the difference of artistic aim from those positions might determine the various characters of Chosun dynasty's Taoist Immortal Paintings from the theme to expressional modes. The gentry and upper class in Chosun Age demanded Taoist Immortal Paintings as one pathway to soothe their desire for auspice, and on the other hand adopted freer descriptive methods to depend upon those Taoistic transcendent beings, Taoist Immortals. In the next two types, combination and group types, we can see the settlement of our own peculiar pictorial modes. That is, in the combination type, there appears every auspicious factors people of that time aspired, and at the same time as time went by figures became indigenous and remiss. The group type Taoist Immortal Paintings such as Painting of A Group of Immortals Celebrate Longevity (群仙慶壽圖), Painting of A Group of Immortals on the Sea(波上群仙圖), and Painting of Taoist Immortals on Their Way to Xi Wang Mu's Banquet(瑤池宴圖) shows its own unique repetition of the peculiar expressional formulae that yielded the pictorial modes inherent to the Chosun dynasty and reached the peak by Kim Hong-do(金弘道), and this tendency has been followed every since.;본 논문은 조선시대 전시기를 통해 제작되었던 神仙圖를 대상으로 하여 유형과 양식을 분류,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드러나는 조선시대 신선도의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신선은 超越的이며 飛翔하는 神的인 존재이며, 신선도는 不老不死하는 이 상서로운 신선의 형상과 그들의 고사를 그린 인물화로서 도교의 현세지향적인 종교적 성격에 그 기반을 둔다. 따라서 신선도는 무엇보다도 壽·福과 같은 吉祥性에 그 의미가 집중되며 또한 祝壽畵나 歲畵와 같이 실용적인 목적을 갖고 제작되는 예가 많다는 특성을 갖게 된다. 한국회화에서 신선의 모티프를 형상화한 시초는 高句麗 벽화에서부터 찾을 수 있다. 飛仙이나 학, 봉황을 탄 乘烏神仙의 형상이 고구려의 여러 고분벽화에서 형상화되고 있는데, 이는 피장자가 순조롭게 승천하기를 염원하는 의미에서 그려진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한국에서의 도교는 국가차원의 의례를 중심으로 이어져 나갔으며 여기에서 수요되는 老人星을 비롯한 도교의 尊像으로부터 또한 신선도의 기원을 더듬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예배도의 전통은 명맥을 잇지 못하고 있으며 조선시대에 와서야 비로소 본격적인 신선도의 전개를 보게 된다. 그런데 조선시대 신선도의 전개와 발전에 있어서 왕실이 그 주된 배경의 역할을 담당하였다는 점은 주목된다. 궁중에서는 주로 길상화로서의 수요에 의해 신선도를 제작하였으며 왕실의 연례행사인 歲畵나 생일이나 혼인, 冊立 등의 중요한 왕실 행사를 기념하기 위한 용도로 쓰였다. 여러 문헌자료와 작품들을 통하여 볼 때 궁중화로서의 신선도는 왕공사대부라는 계층의 기호에 맞게 주로 대폭의 비단바탕에 五彩를 중심으로 한 강한 채색과 工筆의 윤곽을 사용하는 것이 전형적인 기법이었으며 정형화된 내용과 형식을 반복하는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조선시대 신선도는 다른 회화장르와 마찬가지로 기존의 전통 양식을 토대로 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과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되었다. 특히 로부터는 吳偉를 중심으로 한 明朝의 後期浙派 화풍의 인물화로부터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또한 순수회화 외적으로는 명대에 전성기를 이루었던 판화미술을 회화적 원천으로 운용하여 새롭게 소화해 내었다는 점이 주목된다. 특히 明 萬曆년간에 출간되어 조선에 유입된 洪自城의 傳記說話集 『仙佛奇?』의 삼화는 여러 작품에서 드러나듯이 직접적으로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조선의 화가들은 이를 도상의 원료로 삼아 개성있는 화면을 창조해 내고 있다. 신선도는 도교라는 종교를 원천적으로 하는 회화장르로서 신선은 여러 가지 종류의 종교적 신념을 상징하는 존재이기 때문에 일정하게 정해진 도상이 중시되고 반복된다는 특성을 갖는다. 조선시대 신선도에서는 다수의 도상이 출현하고 있기는 하지만 화제로 인기를 누렸던 것은 壽星, 劉海蟾, 呂洞賓 을 위시한 소수의 신선도상에 집중되며 또한 群仙圖에 나타나는 신선의 도상들은 개별표현에서와 달리 더욱 고정된 형태만을 묘사하는 경향이 강하다. 신선도는 조선시대 전 시기에 걸쳐 그려졌으며 특히 조선 중기 이후로는 크게 성행하면서 여러가지 다양한 유형과 양식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현존하는 조선시대 신선도는 單獨形, 聚合形, 群集形의 세가지로 크게 분류되는데 각 유형의 양식적인 특징들을 통해 조선시대 신선도의 성격이 드러난다. 하나의 신선을 그리는 단독형 신선도는 다시 圖像人物畵式 신선도와 山水人物畵式 신선도로 분류되는데 전자는 吉祥의 상징에 최우선의 목적을 두는 유형이며 후자는 문인취향의 도가적 변용이 보다 강하게 나타나는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신선도의 용도와 화가 및 감상자의 신분, 그에 따른 작화의도의 차이는 그림의 주제에서부터 표현양식 등에서 보이는 조선시대 신선도의 다양한 성격을 결정하는 요건이 됨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의 사대부 및 상류계층은 길상적 욕구의 한 가지 통로로서 신선도를 수요, 제작하였고 한편으로 신선이라는 초월적인 존재에 도가적인 심의를 기탁하여 더욱 자유롭게 묘사하는 방식을 택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취합형 및 군집형에서 역시 우리나라 고유의 양식적인 정착이 이루어지고 있다. 즉 취합형에서는 당시인들이 희구했던 길상적 요건들이 나타나며 동시에 후기로 갈수록 도상이 토착화되며 해이해지는 시대적 변화를 볼 수 있다. 그리고 群仙慶壽圖, 波上群仙圖, 瑤池宴圖 등의 군집형 신선도는 특징적인 표현상의 공식을 반복하면서 김홍도를 정점으로 조선시대 고유의 양식을 만들어 내었으며 이후로는 그것이 답습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