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3 Download: 0

벽지학교의 미술학습 지도에 관한 일연구

Title
벽지학교의 미술학습 지도에 관한 일연구
Authors
구주경
Issue Date
197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李俊
Abstract
본 연구는 벽지 중학교 미술교육의 현황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찾아보고 특수화 학교에 적합한 지도방법을 연구함으로서 벽지학교의 미술과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구하고 동시에 일선교사들의 지도방법을 위한 자료개발에 터전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조사연구를 통하여 기초자료를 구하고 현장연구를 하였다. 조사연구는 미술과 학력조사를 비롯한 미술과 실태조사로서 대상은 강원도내 문교부지정 5개 산간벽지 중학교의 2학년 학생 전원 400명(남자: 283명, 여자: 117명)과 5개교의 미술과 2학년 담당교사 5명이었으며 현장연구의 대상은 5개교중 B교의 2학년 학생전원 48명(남자: 33명, 여자: 15)이었다. 조사분석 결과에 의하면 학생들은 미술과 학습경험의 부족으로 기초적 지식이 결핍되어 학력이 매우 저조하다. 그러나 특기할 사항은 공작(목공작) 영역의 성적이 양호하게 나타난 점이다. 그 원인의 하나는 여학생의 수에 비하여 남학생의 수가 훨씬 많은 점, 즉 성별에 따른 학습흥미이며 다음은 산간벽지의 생활환경 및 가정환경에 기인한다. 미술과에 대한 흥미는 타교과에 비교하여 매우 낮으며 대부분의 학생들은 미술에 무관심하거나 싫어하고 있다. 그 원인은 열등감, 교사의 소홀한 지도, 학부모의 이해부족, 재료준비의 애로에 기인한다. 학생들은 이론학습보다 실기학습을 더 원하고 있으며 공작영역에 가장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교사의 적극적인 지도를 원하고 있는데 교사의 소홀한 지도의 원인은 미술 비전공 교사의 지도능력 부족에 기인한다. 벽지학교는 사규모성, 공간적인 원격성, 교통통신의 불편등 불리한 지역적 조건으로 말미암아 전교과의 교사가 배치되지 않으며 따라서 교사가 부족하다. 교사배치는 주지교과 순서대로 배치되기 때문에 예능과 교사는 배치되지 않으며 예능교과는 주지교과 교사의 이중 혹은 삼중의 교과로 배당된다.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웠다. 가설 1. 공작을 중심으로 파생적인 지도방법을 적용하여 지도하면 미술학습의 능률을 올리고 미술의 생활화가 이루어질 것이다. 가설 2. 재료와 요구의 사용법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체득하게 지도하면 창의적인 제작활동을 하게 될 것이다. 가설 3.발표할 기회를 가지면 미술에 대한 흥미를 갖게 될 것이다. 이상의 가설을 실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의 실행 결과 공작 영역에 능동적인 학습태도를 나타냈으며 타영역의 미술학습도 능륙적이었다. 가설 2에서는 재료준비에 경제적인 부담감을 느끼지 않고 자료의 성질과 용구에 대한 기본적인 사용법을 체득하며 즐거운 미술학습을 할 수 있었다. 가설 3에서는 교내 전시회가 학생들에게 미술에 대한 흥미를 갖게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미술과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기초적 지식이 결핍되어 있는 벽지학생들에게는 전영역에 걸쳐 지도를 서두르는 것 보다도 특수화대인 지역성과 학생들의 흥미를 고려하여 한 영역을 중심으로 파생적인 지도방법을 적용하면 학습의 능률을 올릴 수 있다. 가설 2에서는 경제적으로 빈곤한 가정환경을 고려하여 재료준비는 그 영역에 따른 자연성과 폐물에서 구한다. 가설 3에서는 지역적으로 문화적 배경이 빈약하여 미적경험을 풍부히 할 수 없으므로 교내 미술전시회는 학생들에게 미술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하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학생들은 교사의 지도에 예민한 학습반응을 나타내므로 교사는 체계적인 지도방법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 미술교사가 배치되지 않은 벽지학교에서는 정상적인 미술교육을 위하여 군내의 인근학교 미술교사의 출장지도와 미술과 담임교사의 재교육이 필요하다. 위와같은 해결방안에 의하여 벽지학교의 미술과 지도방법이 시급히 개선되어야 하고 앞으로도 이 방면에 관한 계속직언 연구가 필요하다.;This thesis is aimed at seeking out the fundamental data for art teaching in remote schools, as well as providing the teachers in service with a ground to develop the proper teaching methods, by researching the present conditions of remote schools and the problems in art teaching there. For this purpose, I have studied the problems discovered during the research. A total of 400 second grade students of 5 middle schools in the remote mountainous countries in Gang Won-Do, which are authoriz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5 art teachers of there 5 schools are included among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48 persons, all the second grade students of school B of these 5 schools, participated in the project. The problems discovered during the research are as follow; 1. The want of the basic knowledge for art lessons owing to inexperience in teaching art. 2. The lower degree of interest in art compared with the other subjects. 3. The difficulties in preparing materiels for art lessons as a result of poor family environment. 4. The lack of art-majored teachers and the neglected lessons by the teachers of the other subjects. 5. The scarcity of equipments and teaching aids. I worked out several hypotheses to solve these problems montioned above. They include; 1. The more effective art lessons and the application of art to life can be accomplished if work (making something during art lessons) is intensified through derivative art-teaching methods. 2. Creative activities will be attained if the students are taught the basic knowledge for the use of materials and implements. 3. Students will come to be interested in art of they have opportunities to exhibit their own works. I reached several conclusions after these above-mentioned hypotheses had been carried out. They are ; 1. It is effective to teach art through derivative teaching methods in view of the peculiarity of the region where the school is located and the interest of the students. 2. It is desirable to use the natural or used things as materiels for works, and it is available to let the students have opportunities to exhibit their own works. 3. More teachers should be assigned to the remote schools for normal education, and for those without art teacher, it is necessary to teach art by inviting of the art teachers teaching art. The methods mentioned above, I think, will be solve the problems in teaching art, and from now on more studies in this area should be continu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