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경림-
dc.contributor.author박선영-
dc.creator박선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4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2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3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22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성인간호학교실, 대한여성건강학회, 서울시 동작구 보건소와의 산ㆍ관ㆍ학 협동 사업인 여성건강다지기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시도된 폐경 여성건강 참여행위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스스로가 집단 활동을 통해 폐경기 건강에 대한 실제적 지식을 개발 및 공유하고, 자신의 건강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고 의식을 향상시킴으로써 자신의 삶은 물론 사회구조를 개선하려는 의지를 고취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여성건강다지기 프로그램에 등록한 여성 중 본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7명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수집 방법으로는 개별 인터뷰, 포커스 그룹 토의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질적 내용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참여행위 연구는 연구문제도출, 사회현실조사와 지식개발공유, 행위변화추구의 3 단계로 구성된다. 연구문제도출 단계에서는, 우선 여성건강다지기 프로그램을 평가한 결과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완적 전략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게되었다. 따라서 다음 작업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점을 규명하는데 목표를 두고 참여자와의 개별인터뷰를 시행하였다. 개별인터뷰에서는 현재의 건강상태와 폐경과의 관련성, 폐경에 대한 지금까지의 지식과 여성건강다지기 프로그램에서 학습한 내용에 대한 이해정도, 자신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하여 더 알고 싶은 내용 등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폐경과 관련한 여러 건강문제를 경험하여 왔으나, 이 건강문제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관리하는 것인지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무엇보다도 자신의 건강관리를 우선적으로 생각하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포커스 그룹을 결성하여 이 문제에 대하여 더깊이 탐구할 필요가 있었다. 사회현실조사와 지식개발공유 단계에서는 4회의 포커스 그룹 토의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모임에서 참여자와 연구자는 여성의 몸의 의미에 대하여 토의하는 가운데 자신의 몸의 중요성에 대하여 자각하게 되었다. 두 번째 모임에서는 폐경에 대한 개인적ㆍ사회적 맥락에서의 의미를 조사하면서 폐경을 질병이 아닌 자연스러운 삶의 단계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세 번째 모임에서는 폐경과 관련된 호르몬 치료에 대한 경험과 정보를 공유하고 사회의 인식을 조사하는 가운데 호르몬 치료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하게 되었다. 네 번째 모임에서는 폐경과 성생활의 변화를 집중적으로 토의하였는데, 참여자들은 폐경으로 인해 성생활에 부정적인 영향만이 있는 것은 아니며,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행위변화추구 단계에서 4회의 포커스 그룹 토의를 시행하였다.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 모임을 통해 폐경 여성건강을 위해서는 일상생활에서 건강행위를 추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이를 위해서 몸과 마음을 다스리는 건강행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몸을 다스리는 건강행위로는 바쁘게 살아가기, 규칙적인 생활하기, 좋지 않은 음식 피하기, 건강식품 섭취하기, 대체요법 적용하기 등에 대하여, 마음을 다스리는 건강행위로는 참기, 표현하기, 입장 바꿔 생각하기, 원인 찾기, 마음 고쳐먹기, 종교생활 하기 등에 대하여 토의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일곱 번째 모임에서 그룹 활동의 과정과 그 안에서의 토의 내용을 정리하였고, 참여자들이 소속한 보건소 여성건강다지기 프로그램 수료식을 이용하여 발표 하였으며, 마지막 여덟 번째 모임에서 참여자들은 연구과정을 통해 폐경 여성건강에 대한 경험과 정보를 교환하면서 자신의 몸과 건강의 중요성에 대한 의식의 향상과 이를 위한 행위변화 추구와 같은 개인적인 변화를 경험하였음을 평가하였고, 또한 폐경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의 변화가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이와 함께 참여자들은 소규모 그룹 모임을 결성하여 자발적으로 운영하는 가운데 주체성을 가지게 되었고, 스스로 정보를 찾고 이를 실제적인 경험과 함께 공유함으로써 폐경 여성건강에 대한 이해를 높였으며, 모임에 대한 소속감과 친밀감을 가지게 되었음을 지적하면서 이러한 그룹 활동의 장점을 보건소 여성건강다지기 프로그램 운영에 적용하기를 제언하였다. 이상과 같이 참여자들은 연구과정을 거치면서 여성 자신의 몸과 건강에 대한 기존의 사회적 인식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던 자세를 바꾸어 자신의 몸에 대한 능동적인 건강관리자로서 의사결정을 하고 행위변화를 추구하는 전환학습을 경험하였다. 또한 참여자들은 연구의 전 과정에 주도적으로 관여하고, 폐경여성의 건강문제를 규명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폐경에 대한 그들의 경험과 인식을 중요한 지식으로 여기게 되었으며, 또한 자신의 몸과 건강의 중요성을 인식함으로써 자존감이 증진되고 자신의 몸에 대한 권한을 스스로 부여하게 되었다. 또한 본 참여행위연구는 참여자에게 여성의 몸과 폐경 여성건강에 대한지식을 개발하고 공유하는 기회뿐 아니라 폐경기 건강관리에 있어서의 문제를 인식하고,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인식으로 전환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고 본다. 이상의 결과는 폐경 여성을 대상으로 간호중재를 계획하고 수행함에 있어서 연구자로서의 간호사와 참여자로서의 간호대상자간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 그리고 지역사회 여성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어떤 전략을 적용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안을 제시해줄 것이다.;This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for promoting the menopausal women's health is performed as a part of "Women's Health Da-Ji-Ki"* program, which is an industry-government-academia cooperative project jointly sponsored by Adult Health Nursing, College of Nursing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Korean Academic Society of Women's Health and Dongjak-Gu Public Healthcare Center. * * Women's Health Da-Ji-Ki is the name of women's health promotion program. It is intended to enable women to pursue the will to improve social structure as well as their own life through empowerment to and increased self-awareness of their health problems by sharing practical knowledge about the health of menopausal women developed from group activiti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generating research problems, through researching social reality and sharing the developed knowledge, and pursing the behavioral change. In the phase of generating research problems, researcher and participants worked together to reach an agreement of research procedures at the evaluation process of the "Women's Health Da-Ji-Ki" program and held a series of interviews with individual participants to form a specific definition on research topics. In interviews with individual participants, participant's present health conditions and its relation with menopause, existing knowledge on menopause, and desired further information on her own health from the program were identified. In this process, participants found that they lacked knowledge on menopause and always laid aside their own health, though they have experienced a variety of health problems resulting from menopause. Thus, researcher and participants made a decision to further investigate this topic by organizing focus group. In the phase of researching social reality and sharing the developed knowledge, focus group discussion was carried out four times. At the first meeting, both participants and researcher reached to increased level of awareness on their body while discussing the meaning of female body. At the second meeting, participants came to a shared thought that menopause is not a disease but a natural course of life while discussing the individual and social meaning of menopause. At the third meeting, participants shared experience and information about hormone therapy related to menopause and acquired critical perspective on the hormone therapy while investigating generally accepted thought about it. At the fourth meeting, participants discussed changes in their sexual life due to menopause. Participants pointed out that menopause did not always adverse effects on sexual relationship with spouse and it, thus, should be addressed in a positive way. In the phase of pursing the behavioral changes, four focus group discussions were carried out. At the fifth and sixth meeting, participants discussed the health promoting activities helping keep harmonious balance of their body and soul, pointing out the importance of pursuit to health care in daily life. At the seventh meeting, participants evaluated the process of group activity and discussions in that process and presented recapitulated contents at the commencement day of the program held in their community public healthcare center. At the eighth and final meeting, participants said that they experienced an increased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their physical health and individual changes such as pursuit of behavioral changes for physical health, while exchanging experience and information that they obtained from the program. They also pointed out the need of changes in social consciousness about menopause. In addition, participants indicated that they established their subjecthood while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small groups, increased their understanding of menopausal women's health, and had sense of belonging and familarity to small groups. They suggested to apply advantages of group activities to the operation of "Women's Health Da-Ji-Ki" progrma. Through research process, participants turned their stance on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er and subject and thought about women's body and its health from uncritical, passive adapters to critical, active participants. They also did transformative learning that enabled participants to make decision upon their physical health and to pursue behavioral changes as a active health carer. Moreover, participant took the lead in the participation in research, acknowledged their experience and recognition on menopause as a critical knowledge while examining and analysing the health problems of menopausal wome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ir body and its health resulted in the increased sense of self-esteem and empowerment. This study successfully provided women in community as nursing subject with opportunity to change their existing thought into critical one by sharing the knowledge about the importance of women's body and their menopausal health developed in this research. In addition, this study offered is believed to offer practical data about the necessity and useful approach to construct a different relationship between nurses as researcher and participants as nursing subject when nurses plan and implement nursing intervention for menopausal women. Process and results of this study will also contribute to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women's health promotion program in local commun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질문 = 6 C. 연구 가정 = 7 II. 문헌고찰 = 8 A. 보건소 여성건강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 8 B. 폐경 여성건강 = 15 C. 참여행위연구 = 26 III. 연구 방법 = 40 A. 연구 참여자의 모집과 선정 = 40 B. 자료 수집 = 41 C. 자료 분석 = 47 D. 연구의 엄밀성 = 48 E. 윤리적 고려 = 50 IV. 연구 과정, 결과 및 평가 = 51 A. 연구 과정 = 51 B. 연구 결과 = 62 1. 연구문제도출 단계 = 64 2. 사회현실조사와 지식개발공유 단계 = 71 3. 행위변화추구 단계 = 95 C. 연구 평가 = 109 V. 논의 = 119 VI. 결론 및 제언 = 133 A. 결론 = 133 B. 제언 = 135 참고문헌 = 137 부록 = 160 Abstract = 1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142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폐경 여성건강을 위한 참여행위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보건소 여성건강다지기 프로그램 참여자 중심-
dc.format.pageviii, 165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