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8 Download: 0

학령기 아동의 학교 상황 어휘 연구

Title
학령기 아동의 학교 상황 어휘 연구
Authors
이영미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re academically and socially integrated, require sufficient communication skill to effectively participate in classroom activities. Those with limited speaking skill may ne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that provides access to appropriate vocabulary for classroom communication with teachers and classmates.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collect vocabulary used by the non-disabled in the elementary school to build the vocabulary list and to find the core vocabulary, fringe vocabulary, and acceleration vocabulary. Those are the first step for developing th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means. To do this, the researcher collected play and spontaneous situation speech from 91 children who were enrolled in Grades 3 at the elementary school. The frequency of word occurrence was calculated form all 11 situations in the elementary - science, letter writing, mathematics, music, art, lunch time, and play time, etc. The research was analyzed from 23,998 vocabularies collected in elementary schools. The process of the results was finding core vocabulary in all 11 situations based on the frequency rate of the vocabulary, finding core vocabulary according to subjects or situations, and analyzing the acceleration vocabulary. The researcher was also to compare and contrast core vocabulary in all situation and vocabulary with high commonality score, and to find fringe vocabulary among small talk.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1) NDW(number of different words) of the core vocabulary was 276, these vocabularies amounted to 81.13% of all vocabularies collected in the elementary school, (2) NDW of the core vocabulary according to subjects or situations was 34-52. In these NTW and NDW, there were differences based on the number of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subjects or situa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or tasks, (3) When analyzing the core vocabulary in all situations of the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categories, NTW of the pronoun was 4,689, which was the highest frequency among all categories, NDW of the action verbs was 68, which was more various than any other categories. (4) The vocabulary with high commonality score also showed high frequency of word occurrence. When collecting and selecting the core vocabulary, commonalty score was not such an important element as the frequency rate, (5) NTW of the fringe vocabulary was 2,894, which was 9.709% of all vocabularies collected in the elementary school. Although the rate of the fringe vocabulary was not high, the fringe vocabulary made such an important role, when children talk to each other.;언어장애를 지니고 있어서 구어로써 의사전달을 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이로 인해서 교육, 직업, 일상생활의 전반적 활동에 제약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개발된 것이 보완·대체 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이하 AAC)이다. 말을 원활하게 할 수 없거나 알아들을 수 없는 사람들의 의사소통을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보충적인 방법을 사용하거나 말(speech)과 다른 것으로 대치하는 체계를 말한다. 최근에 이루어진 연구를 살펴보면, 외국의 경우는 장애아동뿐만 아니라 일반 아동, AAC를 성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성인, 노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대상에게서 다양한 환경에서 어휘를 수집하고 있다. 핵심어휘, 부수어휘뿐만 아니라 말 패턴, 대화 주제와 같이 다양한 부분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학령전기 아동의 어휘 발달 이론 검증이나 언어발달 양상을 분석하기 위한 어휘수집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AAC를 위한 어휘 연구에서는 소수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거나 부모 및 교사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상황에서 다수의 일반 아동이 교사나 또래와 상호작용을 하면서 나누는 대화를 수집함으로써, 장애 아동의 실제적인 AAC 적용을 위한 어휘 목록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개별 AAC 어휘 목록 개발에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상황에서 다수의 일반 아동이 사용하는 어휘를 수집하여, (1) 초등학교 전체 상황에서 고빈도 핵심어휘를 산출하고, (2) 과목 및 상황별로 고빈도 핵심어휘를 산출하고, (3) 전체 상황 핵심어휘에 대해서 범주별 분석을 실시하고, (4) 고빈도 핵심어휘와 상황간 공통성점수가 높은 핵심어휘간의 일치도를 통해서, 저빈도지만 공통성이 높은 어휘를 AAC 목록 개발에 고려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서 알아보고, (5) 아동이 산출한 부수어휘와 그 비율을 살펴봄으로써, 개별 AAC 목록 개발에 부수어휘를 고려할 필요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의 한 초등학교 3학년 세 학급에 속해있는 아동 91명(남 50명, 여 50명)이었으며, 이들은 담임교사로부터 어떤 장애나 행동 문제를 지니고 있지 않다고 보고된 일반 아동으로 담임교사에 의해서 선발되어졌다. 아동이 자연스럽고 활발하게 참여하는 수업시간, 점심시간, 자유놀이·쉬는 시간에, 각 아동 당 90-120분 정도로 발화 녹음이 이루어졌다. 이들의 전사 자료를 축약어휘로 전환하여 빈도수와 빈도백분율을 산출하고, 전체 상황과 과목 및 상황별 핵심어휘, 공통성점수가 높은 핵심어휘, 부수어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전체 상황 핵심어휘가 의사소통에 사용되는 빈도가 현저하게 높았다. 전체 상황 핵심어휘의 다른 낱말수(NDW)가 전체 어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3.64%였지만, 전체 낱말수(NTW)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81.13%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핵심어휘가 종류는 많지 않지만, 의사소통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 높은 빈도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과목 및 상황별로 산출한 핵심어휘는 참여한 아동 수, 과목과 상황의 특성, 아동이 참여하는 과제와 활동에 따라 영향을 받고 있었다. 아동이 참여하는 활동의 개별성, 협동성에 따라서, 아동간의 상호작용의 빈도가 차이를 나타내었다. 과목 및 상황에 따라서 아동의 참여하는 과제의 특성이 달라지며 상호작용의 빈도에도 영향을 주었다. 이로 인해서 과목 및 상황별 핵심어휘의 전체 낱말수(NTW)와 다른 낱말수(NDW)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살펴보았다. 셋째, 핵심어휘의 범주별 분석에서 의사소통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대명사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대명사와 대신하는 말의 범주의 다른 낱말수(NDW)의 비율은 다른 범주에 비해서 현저하게 적지만, 전체 낱말수(NTW)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AAC 어휘 목록을 개발시 저빈도지만 여러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는 어휘를 고려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빈도 핵심어휘와 상황간 공통성점수가 높은 핵심어휘와의 일치도는 선행연구에 비해서 높지 않게 나타났지만, 저빈도지만 공통성점수가 높은 어휘는 전체 상황 어휘의 전체 낱말수(NTW)에서 매우 낮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 상황에서 아동이 산출한 부수어휘가 전체 어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높지 않았지만, 의사소통의 주제 제공과 대화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부수어휘는 아동이 대화, 특히 또래관계를 형성하고 자유롭게 이야기를 시작하고 유지하는데 중요한 촉매제 및 주제 제공 역할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초등학교 상황에서 다수의 일반 아동이 교사나 또래와 자연스럽게 대화를 나누는 자발화에서 어휘를 수집함으로써, 장애 아동의 실제 AAC 적용을 위한 핵심어휘와 부수어휘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이와 함께 개별 장애 아동을 위한 AAC 어휘 목록을 개발할 때, 상황간 공통성점수에 대해 고려할 필요는 높지 않지만, 아동이 또래와 자연스럽게 상호작용을 하기 위한 부수어휘를 고려해야 할 필요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